2025.04.16 (수)

  • 맑음동두천 10.4℃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의 뉴럴링크, 두 번째 칩 이식 신청자 모집…"美 FDA도 승인"

 

[뉴스스페이스=이승원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운영하는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두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할 두 번째 신청자를 모집한다. 올해 내에 11명에게 두뇌 칩 이식 수술을 하고, 2030년까지 2만2000명 이상으로 두뇌 칩 사용자를 확대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뉴럴링크의 최종 목표는 칩 이식을 통해 사지 마비인 사람이 컴퓨터 등을 사용하고, 시각 장애인의 시력이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뉴럴링크의 가치는 지난해 기준 약 50억 달러(약6조7889억원)다.

 

머스크 CEO는 엑스(X·엑스)에 “두번째 참가자 신청을 받고 있다”며 “생각만으로 휴대폰과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는 텔레파시 사이버네틱 뇌 임플란트”란 글을 지난 17일(현지시간) 게재했다. 뉴럴링크는 이식 대상자로 엑스(X·엑스)에 “사지마비를 앓고 있고 컴퓨터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싶다면 우리의 임상 시험에 참여하도록 초대한다”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경추 척수 손상이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으로 양손 사용 능력이 제한되거나 아예 없는 환자의 신청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모집은 지난해 9월 이후 두 번째다. 첫 번째 참가자의 머리에 칩을 이식한지 5개월 후,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겼단 사실을 인정한 지 불과 일주일 만에 나온 공고라 더욱 관심이 집중됐다.

 

첫 번째 임상시험 대상인 놀런드 아르보는 2016년 다이빙 사고로 인해 경추 손상을 입어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전신 마비 환자다. 그는 지난 1월 두뇌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심었다. 이어 지난 3월에는 사지마비 환자인 아르보가 휠체어에 앉아 손발을 움직이지 않는 채 눈앞의 노트북 스크린에서 마우스 커서를 조작하며 온라인 체스를 두는 모습을 생중계하기도 했다.

 

아르보는 ABC와의 인터뷰에서 “아침에 일어나서 할 일이 없었는데, 이것(칩)은 큰 변화를 줬다”며 “이것은 마비된 환자들을 돕는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뉴럴링크는 이식된 칩과 뇌를 연결하는 실이 제 위치에서 이탈해 뇌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신호는 컴퓨터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뉴럴링크는 알고리즘을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해당 문제를 해결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로이터 통신에 의하면 뉴럴링크가 스레드를 재설계하는 데엔 그 자체로 위험이 따르며 뇌 조직이 손상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지적했다. 또 뇌 임플란트를 연구한 전문가들은 두개골 내부에서 뇌가 움직이는 메커니즘 때문에 뇌 안에 있는 작은 실이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네티즌 의견 0

0/300자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테슬라 매장 불지른 40대男 "40년 징역형 가능"…미 법무부 “형량 협상 없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에서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 매장과 공화당 지역 사무소에 불을 지른 혐의로 붙잡힌 40대 남성이 기소됐다. 미 법무부는 14일(현지시간) 뉴멕시코주 앨버커키에 거주하는 제이미슨 와그너(40)를 테슬라 매장과 공화당 뉴멕시코 본부 방화 사건 용의자로 체포해 기소했다고 밝혔다. 와그너는 지난 2월 9일 새벽 테슬라 앨버커키 매장에 불을 질러 차량 2대를 파손하고, 지난달 30일 새벽에는 공화당 뉴멕시코 사무실에 방화를 시도해 정문과 입구 부분을 훼손한 혐의를 받는다. 수사관들은 두 사건 현장에서 같은 글자가 쓰인 유리병을 발견해 조사를 벌였고, 현장 일대 감시 카메라에 찍힌 영상 등을 통해 용의자를 와그너로 특정한 뒤 그의 집을 수색해 범행에 쓰인 인화성 물질과 같은 종류의 유리병 등 증거를 찾아냈다. 와그너는 방화에 의한 재물 손괴 등 2가지 혐의로 기소됐으며, 각 혐의당 5∼20년씩 최장 4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 팸 본디 법무부 장관은 “정치적 폭력의 물결에 동참하는 사람들에게 이 사건이 마지막 교훈이 되길 바란다”며 “우리는 당신을 체포해 기소할 것이며, (형량을) 협상하지 않을 것이다. 범죄에는 결과

오픈AI 前 직원들, 머스크 편들다…“영리법인 전환 반대, AI 스타트업도 창립"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과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오픈AI의 영리법인 전환 문제를 두고 소송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 오픈AI에 몸담았던 직원들이 머스크 편을 들고 나섰다. 오픈AI의 방향성에 대한 이견으로 회사를 떠난 직원들은 영리법인 전환에 반대함은 물론 인공지능(AI) 스타트업도 창립했다. 오픈AI가 AI 경쟁에서 성공적으로 앞서 나가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갈등 수위도 높아지는 모양새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 로이터통신 등 언론에 따르면 오픈AI의 전 직원 12명은 전날 법원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오픈AI가 기존의 비영리 지배구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만약 오픈AI의 비영리 법인이 그 지배적인 역할을 영리 구조에 빼앗기는 변화에 동의한다면 그것은 자신의 사명을 근본적으로 위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2018년에 공개된 오픈AI의 창립 헌장을 그 근거로 들었다. 해당 헌장은 오픈AI가 “어떤 개인의 사적인 이익을 위해 조직된 것이 아니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오픈AI에서 데이터 과학자와 전문적인 기술 영역에서 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