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캐나다 첫 뉴럴링크 뇌 이식 수술 성공…BCI 글로벌 임상시험 확장 본격화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8월 27일과 9월 3일(현지시간), 토론토에 위치한 University Health Network(UHN)의 토론토 웨스턴 병원에서 캐나다 최초로 뉴럴링크(Neuralink) 뇌 이식 수술이 성공적으로 시행됐다.

 

이는 일론 머스크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미국 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임상 적용된 사례로, 전 세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및 상용화의 새로운 이정표가 됐다.

 

캐나다 UHN 공식 발표 자료, 뉴럴링크 임상시험 소개, Global News, CNW Group, ALS News Today의 보도에 따르면, 이 시술은 CAN-PRIME 연구(캐나다 정밀 로봇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이식 연구)의 일환으로, 뉴럴링크의 N1 이식체와 R1 수술 로봇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획됐다. 목표는 사지마비 환자가 자신의 생각만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외부 기기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UHN의 뇌신경외과 앨런 & 수잔 허드슨 코너스톤 석좌교수인 안드레스 로사노 박사가 수술팀을 이끌었으며, 이로써 UHN은 미국 밖에서 뉴럴링크 수술을 시행한 최초 병원으로 기록됐다.

 

로사노 박사는 “이 획기적인 연구에 캐나다 최초 수술을 이끄는 일원이 된 것을 매우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신경과학, 공학, 임상 치료가 융합된 성과”라고 평가했다. 또한, UHN 외과 최고책임자인 토마스 포브스 박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외과 및 연구진의 전문성과 헌신이 반영된 성과”라고 강조했다.

 

지난 2024년 11월 뉴럴링크는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CAN-PRIME 연구를 위한 환자 모집 승인을 받았으며, 이 임상시험은 최대 6명을 대상으로 최대 6년간 진행된다. 연구 대상은 경추 부위 척수 손상이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으로 인해 사지마비 상태인 19세 이상 환자들이다.

 

수술은 뉴럴링크의 R1 로봇을 활용해 초박형 전극 실 64개를 뇌 영역에 이식하는 방식으로, 이 전극이 신경 신호를 기록해 무선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한다.

 

뉴럴링크는 원래 2024년 1월 미국에서 인체 임상시험을 시작했으며, 이후 영국과 아랍에미리트(UAE)에서도 임상시험 승인을 받아 글로벌 임상시험을 확대 중이다. 2025년 5월에는 UAE 아부다비에서 첫 해외 임상시험을 개시하는 등 국제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뉴럴링크는 전 세계 임상시험에서 최소 9명의 환자에게 뇌 이식 장치를 성공적으로 이식했다. 미국 첫 환자 놀랜드 아보는 이식 후 컴퓨터 조작, 게임 플레이 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일론 머스크는 2025년 내에 20~30건 이상의 추가 시술을 계획 중이라고 밝혀 연구와 임상 적용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암시했다.

 

앞으로 두 명의 캐나다 환자는 장치 사용법 숙달을 위해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연구 세션에 참여할 예정이다. CAN-PRIME 연구는 여전히 경추 척수 손상이나 ALS 환자 중 양손 사용이 제한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 중이다.

 

이번 캐나다 첫 뉴럴링크 뇌 이식 성공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이 실용적 치료 분야에 깊숙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며, 신경과학과 의료기술의 융합이 가져올 미래 의료 혁신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전자 사용해 상온에서 다이아몬드 생성…도쿄대, 재료과학·나노기술·양자정보학 새지평 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본의 과학자들이 전자 방사선을 이용해 다이아몬드를 생성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 다이아몬드 합성 패러다임을 완전히 혁신한 연구로서 앞으로 재료과학과 나노기술, 양자정보학 등 첨단 과학기술 발전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전망이다. Science, Phys.org, 도쿄대학교, ChemRxiv에 따르면, 일본 도쿄대학교 화학과 나카무라 에이이치 교수팀이 2025년 9월 4일 세계적인 학술지 『Science』에 발표한 이 연구는, 기존에 수십 기가파스칼 압력과 수천 켈빈 이상의 극한 조건에서만 가능했던 다이아몬드 합성을 전자 방사선을 이용해 상온에 가까운 낮은 온도(100~296K)에서 실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탄소 케이지 분자인 아다만탄(C10H16)을 전자빔(80~200keV)으로 조사해 탄소-수소 결합을 정밀하게 절단하는 동시에 탄소-탄소 결합을 새로 형성함으로써, 결함 없는 최대 10나노미터 크기의 나노다이아몬드를 빠른 시간(수십 초) 내에 직접 합성했다. 아다만탄은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사면체 대칭을 가진 탄소 골격 구조 덕분에 이상적인 전구체로 평가받는다. 연구팀은 다른 탄화수소 분자들로는 나노다이아몬드 생성에 실패해

[이슈&논란] 마크 저커버그가 마크 저커버그 고소…사칭 오해에 페북 계정 정지 당한 美변호사, 메타 상대로 소송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인디애나주에서 38년간 파산 전문 변호사로 활동 중인 마크 S. 저커버그 변호사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동일한 이름 때문에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이 수차례 부당하게 정지되면서 사업에 큰 피해를 입었다는 이유에서다. 9월 4일 뉴욕포스트,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저커버그 변호사는 지난 8년간 사업용 페이스북 계정이 다섯 차례, 개인 계정은 네 차례 정지되거나 폐쇄됐으며, 광고비 약 1만1000달러(약 1530만원)가 부당하게 삭제된 피해도 입었다고 주장했다. 메타는 그가 소셜미디어 창업자 마크 엘리엇 저커버그를 사칭한다고 판단해 계정을 정지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변호사는 실명 인증을 위해 신분증, 신용카드, 여러 장의 얼굴 사진을 제출했으나 이 같은 조치가 반복됐다고 토로했다. 사업 홍보를 위해 광고를 낸 비용이 부당하게 차감된 것을 두고 변호사는 "고속도로 옆 빌보드를 사서 광고했는데, 광고판을 큰 담요로 가린 것과 같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자신은 마크 E. 저커버그 메타 CEO보다도 먼저 변호사 일을 시작했다고 강조하며, 사람들은 종종 자신을 메타 CEO로 오해해 호기심 어린 시선과 함께 심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