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릿속 생각도 언어로 바꿔준다"…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내적언어 74% 정확도 해독 성공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스탠포드 대학교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이용해 '내적 언어'(inner speech)를 최대 74% 정확도로 실시간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즉 사람들의 머릿속 무언의 생각인 내적 언어를 성공적으로 해독함으로써 신경기술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달성, 신경과학과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패러다임을 뒤흔들고 있다.

 

인간의 생각을 실시간 해독하다: 스탠포드 BCI, 내적 언어를 읽는 시대 선언

 

STAT News, El País, Cosmosmagazine, The Naked Scientists, Eurekalert, Smithsonianmag 등의 매체보도에 따르면, 2025년 8월 Cell 저널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심각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및 뇌간 뇌졸중 환자 4명을 대상으로 뇌 운동피질에 삽입한 미세전극 배열을 통해 진행됐다.

 

이 기술은 사용자가 단어를 시도하여 말하거나, 머릿속으로만 상상할 때 나타나는 신경 패턴을 분석해 마치 기계가 생각을 읽듯 해독해낸다.

 

기술의 작동 원리: 내적 언어와 발화 시도의 신경 지문


스탠포드 팀은 내적 언어와 실제 발화 시도가 뇌의 같은 영역(운동피질)을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다만, 내적 언어는 더 약한 신호로 나타난다. 연구진은 인공지능(AI) 모델에 이 신경 패턴을 학습시켰는데, 상상된 문장의 단어를 12만5000개의 대규모 어휘 집합에서 해독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에린 쿤츠 박사후연구원은 "인간이 말하는 것에 대해 단순히 생각만 할 때, 뇌 활동이 어떻게 보이는지 최초로 규명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시스템은 내적 언어 해독에 74%의 정확도를 보였지만, 정확도는 참가자별ㆍ상황별로 차이가 있었다.

 

공동 제1저자 베냐민 메쉐데-크라사(Benyamin Meschede-Krasa)는 "말을 시도할 필요 없이 생각만 하면 되므로, 환자에게 더욱 쉽고, 의사소통 속도 또한 빨라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인간 존엄성 수호: 독창적 개인정보 보호장치 내장


내적 언어 해독 기술의 잠재적 윤리 문제, 즉 ‘마음 속 비공개 생각’이 외부에 노출되는 위험을 인지한 연구팀은 ‘정신 암호(Passphrase)’ 시스템을 도입했다. 사용자가 BCI를 활성화하려면 머릿속으로 “chitty chitty bang bang”을 떠올려야 하며, 시스템은 이 구문을 98.75% 정확도로 감지해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엘 파이스(El País)는 “암호문이 평소 사고 패턴에서는 나타나기 어려운 문장이라는 점이 핵심”이라고 전했다. 실험 결과, 의도적 발화와 내적 발화는 판별이 충분히 명확해, 미래 BCI 시스템은 필요시 내적 발화를 완전히 무시하고 의도적 발화만 인식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랭크 윌렛 교수는 "암호 보호와 패턴 기반 필터링이 내적 언어 누출 방지에 극도로 효과적"이라고 평가했다.

 

의료 응용과 미래 전망: ALS·뇌졸중 환자에게 '생각의 언어' 선사

 

현행 BCI 기술은 발화 시도 해독에서 최대 98% 정확도를 낸다. 하지만 환자들이 실제로 발화 근육을 움직이려면 많은 체력 소모와 피로를 감내해야 한다. 통상적인 대화는 분당 150단어 수준이나, BCI 기반 발화 해독은 분당 약 90단어에 불과하다.

 

이번 내적 언어 디코딩 기술은 운동 신경 경로가 심각히 손상된 중증 환자들에게 훨씬 더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직 자유자재로 ‘자동 생각’을 해독하는 단계에는 못 미치지만, 윌렛 교수는 "이 연구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언젠가 일상적 대화만큼 유창한 의사소통을 완전히 복원할 수 있다는 진정한 희망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중국, 세계 최초 고속 수직 이착륙(VTOL) 드론 개발 "모든 군함이 항공모함 가능"…해군력의 판도 흔들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이 세계 최초로 제트 엔진을 탑재한 고속 수직 이착륙(VTOL) 드론을 개발하며 해군 항공 기술에서 또 한 번의 진일보를 이뤘다. 이 획기적 기술은 기존의 활주로 의존에서 벗어나 모든 군함을 소형 항공모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군사 전문가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SCMP, 신화통신, The War Zone의 보도에 따르면, 베이항대학교의 왕야오쿤과 추유팅 부교수 연구팀이 10년에 걸친 독자적 연구로 완성한 해당 드론은 거친 해상 상황에서도 일반 군함 갑판에서 발사, 고속 장거리 순항 비행으로 전환될 수 있어 국내외에서 ‘플랫폼 혁신’을 이끌었단 평가다. 기술 혁신과 설계 역량 이 VTOL 플랫폼은 적층 제조(3D 프린팅) 기술의 적극적 도입으로, 기존 금속 가공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복합 구조·경량 설계가 가능해졌다. 실제로 드론 내부에는 무게 분배와 구조적 안정성, 공기역학적 효율을 극대화한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이는 극한의 수직 이착륙 및 고속 전환 스트레스에도 뛰어난 안전성을 확보해준다. 또한 디지털 통합 프로세스와 사이버-물리 시스템의 융합 덕분에 추력 벡터링 등 비행모드 제어가 실시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