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공간혁신] 40년 만에 공개된 서울광장 방공호···지하 13m에 1000평 '미지의 공간'

서울광장 13m 아래 숨겨져 있던 지하공간이 40년 만에 시민들에게 공개된다. 서울시는 서울광장 지하상가와 지하철 2호선 사이에 있는 이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지를 두고 시민 아이디어를 공모할 예정이다.[서울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 지하 13m 아래에 숨겨져 있던 1000여 평 크기의 지하 공간이 서울시민에게 공개된다.

 

서울시는 8~23일 이 공간을 시민에게 공개할 예정인데, 이에 앞서 5일 취재진들에게 우선 공개했다.

 

이곳은 폭 9.5m, 높이 4.5m, 총 길이 335m에 달한다. 이 공간은 전국 최초로 조성된 지하상가 아래, 지하철 2호선 선로 위쪽에 있다. 정확히 언제 무슨 용도로 만들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비밀의 장소' '미지의 공간'이다.

 

서울시에서는 당시 높이가 다른 시청역과 을지로입구역을 연결하며 만들어진 여유공간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후 포격과 공습 등에 대비해 만들어놓은 방공호 용도로 알려졌다. 과거엔 주요 시설이나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는 전쟁이나 재난 사태에 대비한 지하대피소인 방공호를 만드는 게 의무화돼 있었다.

 

서울시는 40여 년 전 공사 후 남겨진 본연의 모습 그대로를 공개해 숨은 공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지 시민들에게 아이디어를 받겠다는 방침이다. 시청역과 여의나루역, 신당역, 문정역 등 지하철역 4곳을 도심 속 명소로 만들겠다는 ‘지하철역사 혁신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9월 6~10일에 걸쳐 공모전을 진행하고, 총 35점의 당선작을 선정해 상금 총 2100만원을 시상한다.

 

한편 서울시는 이 지하 공간을 탐방해볼 수 있는 ‘지하철 역사 시민탐험대’를 모집한다. 서울시청 시민청에서 출발해 지하 공간을 둘러본 뒤 서울도시건축전시관으로 돌아오는 코스다. 해설사가 동행하면서 내부 공간 곳곳에 숨겨진 이야기를 들려 줄 예정이다. 이곳 지하 공간에서는 동굴에서 발견되는 종유석도 볼 수 있다. 또 약 80㏈에 달하는 2호선 지하철 통과 소리와 진동을 생생히 체험해볼 수 있다.

 

탐방 일정은 오는 8일부터 23일까지 매주 금·토요일로, 오전 11시, 오후 1시, 오후 3시, 오후 5시 등 하루 4차례, 약 1시간씩 진행된다.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무료지만, 회당 참여 인원은 안전을 고려해 10명 내외로 한정하기로 했다. 참여 신청은 오는 6일부터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샤워공간의 사회학·심리학적 의미 "은밀·사색·창의적 공간"…외로울수록 더 자주, 더 오래,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샤워공간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가장 잘 보장되는 은밀한 공간일 뿐 아니라, 사색과 감정적 공감을 위한 심리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한 사회학적·심리학적 연구와 매체 보도, 커뮤니티 논의를 근거로 관련 분석 내용을 정리했다. 샤워공간은 현대인에게 단순한 위생 행위를 넘어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는 장소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UCLA 연구진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고립감이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따뜻한 물로 샤워나 목욕하는 빈도와 시간, 더 높은 수온 선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일대 심리학자 John Bargh 등의 연구(The Substitutability of Physical and Social Warmth in Daily Life, 2011년)에서도 "만성적 외로움이 높은 사람들이 더 자주, 더 오래, 그리고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목욕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에서 외로움 정도와 샤워 빈도, 지속 시간, 선호 수온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외로움이 클수록 따뜻한 물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내며 물리적 온기를 통해 사회적 차가움을 보상하려는 심

[공간사회학] 칠레 학교의 스마트폰 신호 차단 “디지털 디톡스, 교실을 바꾸다"…집중력 상승과 ‘실생활’ 회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칠레 산티아고에 위치한 한 학교가 수업 시간 동안 스마트폰 신호를 차단하는 선구적인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는 학교 내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려는 전 세계적 움직임의 일환으로, 칠레 최초의 시도다. 산티아고의 로 바르네체아 비센테나리오(Bicentenario) 학교의 이 프로그램 덕분에 학생들은 소셜 미디어를 스크롤하는 대신 스포츠를 하거나 친구들과 교류하고 전통적인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을 못하자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실생활 교류와 전통적 활동에 눈을 돌리는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고 있는 것. BBC News, 인디아투데이, Houston Chronicle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2025년 8월부터 시행됐으며, 13~14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신호차단 자석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보관해 직접 소지하지만 전화, 문자, 인터넷 등 모든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케이스는 교직원만 수업 끝에 열어준다. 학교 측은 "쉬는 시간이 매우 활기차다"고 평가하며, 학생들은 배구·농구·탁구·도서관·카페 공간에서 교류하는 모습이 늘었다고 밝혔다. 도서관 보드게임, 운동장 전통놀이, 스포츠 토너먼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