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일본이 2025년 현재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29.4%에 달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일본 총무성 및 내각부 인구추계 자료와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이 경로의 날(9월 15일)을 하루 앞둔 14일 발표한 고령 인구는 3619만명으로 작년보다 5만명 줄었으나, 총인구 감소에 따른 비율 상승으로 30%에 근접했다.
세계 인구 4000만명 이상 국가 중 최고로 고령화가 심화된 일본은 노인 인구 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초고령 사회 문제가 심각함을 재확인했다.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75세 이상 고령층에 진입함에 따라 정부 산하기관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2040년 고령 인구 비율이 34.8%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여성의 고령화는 더 가속화해 전체 여성 인구 중 32.4%가 65세 이상인 점도 특기할 만하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고령층의 높은 경제 활동 참여율이다. 65~69세 연령대의 취업률은 53.6%에 이르며, 70~74세 35.1%, 75세 이상도 12.0%로 나타났다. 고령자 취업자는 930만명으로 21년 연속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노동 인구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13.5%, 즉 7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근로자인 상황이다. 고령층 노동력은 소매·도매업, 건강복지업, 서비스업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21년부터 기업에 70세까지 고용 기회를 제공하도록 법적 노력 의무를 부과했으며, 이미 31.9%의 기업이 70세 근무 제도를 운영 중이다. 2025년 4월부터는 모든 기업이 정년을 사실상 65세로 연장하는 법 개정을 시행해 고령자 고용 안정에 힘쓰고 있다. 고령 근로자에 관한 산업안전보건법도 개정돼 고령자의 업무 환경 개선과 작업 안전 유지를 장려한다.
이러한 정책과 제도는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해 노동력 부족 문제와 사회보장비 부담을 동시에 완화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총무성은 앞으로 정년 연장과 고령자 일자리 확대에 따라 일하는 노인의 숫자가 계속 증가할 것이라 전망하며, 일본은 이 문제 해결책이 부족한 다른 고령화 국가들에 정책적 모범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노인 고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임금 삭감과 복지 연계 문제로 고령자의 노동 만족도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고령자의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과 사회 참여를 위한 정책 보완과 재교육·재취업 지원 확대가 앞으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일본이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화 사회에서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고령층의 경제적 자립 및 사회 안정에 무게를 두는 모습은 인구 감소 시대에 접어든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 고령화 국가들에게도 시사점을 던진다.
한편 2025년 현재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약 20.3%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른 수치로, 전체 인구 약 5168만명 중 65세 이상 인구는 약 1051만명에 달한다. 한국은 이미 공식적으로 2024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중 20% 이상)에 진입했으며, 2036년에는 고령인구 비율이 30.9%, 2050년에는 4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한국은 빠른 속도의 고령화가 문제로 지적되는데, 2009년 65세 이상 인구가 517만명에 불과했던 것에서 15년 만에 두 배 이상 급증했다. 2024년 7월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는 약 1000만명을 넘으며 전체 인구 대비 19.5% 비중을 기록했다. 70대 이상 인구도 631만명으로 20대 인구보다 많아지며, 생산연령인구 감소와 맞물려 고령사회에 따른 노동력 부족 및 사회복지 재정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