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챗GPT는 물먹는 하마···대화 한 번에 생수 500ml 필요

콜로라도대·텍사스대 연구진 논문 연구결과
MS GPT-3 훈련에만 18만5000갤런(70만ℓ) 사용

오픈AI의 GPT4 소개 화면 [오픈AI 홈페이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대화형 인공지능(AI)인 챗GPT와 문답을 주고받을 때마다 상당한 양의 생수가 사용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즈모도등의 외신들은 미국 콜로라도대와 텍사스대 연구진이 챗GPT와 같은 대형언어모델(LLM)을 가동할 때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냉각수 양을 추정하는 연구를 진행, 이같은 결과를 도출한 논문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즉 AI를 훈련하고 서비스하기 위해선 데이터센터 내 방대한 규모의 서버를 24시간 내내 작동해야 하는데, 장비 오작동을 막기 위해 10~27도 사이로 유지하는 냉각탑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 냉각탑에 사용되는 물은 서버의 열을 식히면서 증발해 버리기 때문에 계속 공급해야 한다.

 

특히 바닷물은 서버 부식이나 박테리아 증식 문제가 있어 반드시 깨끗한 담수를 써야 한다.

 

연구진에 따르면, GPT-3 모델 훈련을 위해 1만개의 그래픽 카드와 28만5000개 이상의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데이터센터를 가정해 물 사용량을 추정했다. 그 결과 MS가 GPT-3 훈련에만 18만5000갤런(70만ℓ)를 사용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370대의 BMW 차량 또는 320대의 테슬라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물의 양과 비슷한 수준이다.

 

계산해보면 '챗GPT와 대화'를 한 번 나누는 데 물 500㎖가 소요된다는 결과도 나왔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물 소비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지만, 이미 오픈AI나 구글 등 기술 대기업의 AI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전기소비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2021년 발표된 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챗GPT의 핵심기술인 거대언어모델(LLM) GPT-3가 학습하는데 미국 120개 가구의 1년 전기사용량인 1287메가와트시(MWh)가 소요됐다. 이 과정에서 502톤(t)의 탄소가 배출됐는데 이는 미국 110개 가구의 1년 배출량과 맞먹는다.

 

연구자들은 또 AI 모델이 학습할 때보다 이를 사용할 때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AI 모델의 경우 학습에 들어간 전력량이 이후 그 모델의 실제 사용시 소요되는 전력량의 40% 정도라고 설명했다.

 

한편 스탠포드대학과 콜로라도대학 연구진은 지난 1월 AI로 예측한 지구온도가 2065년 이전에 산업화 이전보다 2% 상승할 가능성이 7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학계에서는 지구온도가 1.5% 상승하면 극심한 홍수나 가뭄, 산불 및 식량 부족 등의 가능성이 극적으로 증가하고, 2% 상승하면 전 세계 30억명이 만성적인 물 부족 상태에 놓이게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억만장자 여름 캠프’ 선밸리, 이재용 회장 참석한다…글로벌 네트워크·정보력 탑재로 삼성 '퀀텀점프'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이종화 기자]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7월 9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아이다호주 선밸리에서 열리는 ‘앨런&코 콘퍼런스’(일명 ‘선밸리 콘퍼런스’)에 참석한다. 이 행사는 1983년부터 미국 투자은행 앨런앤컴퍼니가 주최해온 초청제 네트워킹 행사로, ‘억만장자들의 여름 캠프’로 불린다. 올해도 60여 명의 글로벌 IT, 미디어, 금융계 리더들이 사적 전용기를 타고 모인다. 이 회장은 사실상 유일한 한국인 초청자다. 선밸리 콘퍼런스가 뭐길래? '미국 억만장자들의 여름 캠프'로 통하는 선밸리 콘퍼런스는 미국 부티크 투자 자문사 앨런앤컴퍼니가 1983년부터 미국 아이다호 휴양지 선밸리에서 매해 주최하는 비공개 행사다. 이들은 행사 기간 중 테니스나 골프를 치며 함께 스포츠를 즐기기도 하고 각종 주제로 토론 세션을 진행하면서 자유롭게 서로의 생각을 나누곤 한다. 이 행사는 언론사들의 접근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회의 및 강연 일정 등도 비공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참석자 명단조차 확실치 않다. 다만, 미국 매체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60명이 넘는 미디어 거물, 빅테크 최고경영자(CEO), 정치인들이 올해 행사에 초대 받았다. 세계 IT·미

[내궁내정] '머스크 타깃' 트럼프의 귀화시민권 박탈, 멜라니아 '불똥'…정치적 무기로 변질된 드라이브 '역풍'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귀화 시민권 박탈과 출생 시민권 제한 등 초강경 이민정책을 추진하면서, 미국 내에서 “멜라니아 트럼프부터 추방하라”는 역설적 청원이 온라인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배우자인 슬로베니아 출신 멜라니아 트럼프와 아들 배런, 장인·장모까지 추방 대상에 올려야 한다는 요구는 이민 정책의 형평성과 위선 논란을 정조준한다. 트럼프, 귀화 시민권 박탈 정책 전면화…25만명 청원에 “멜라니아도 예외 없다?” ABC뉴스와 CNN등 미국의 주요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2025년 6월 미 법무부는 귀화 시민권자 중 국가안보, 테러, 전쟁범죄, 성범죄, 인신매매, 재정 사기, 갱단 연루, 허위 정보 제공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