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3조 돌파 생수시장 TOP5, 순위와 시장점유율…삼다수>아이리스>백산수>평창수>석수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생수시장이 사상 처음 3조원을 돌파하며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시장은 제주삼다수의 독주 체제 속에 롯데칠성음료의 아이시스, 농심 백산수 등이 치열한 점유율 경쟁을 벌이고 있다.

 

각 사의 사업보고서와 시장조사기관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4년 시장 규모와 상위 5개 브랜드의 점유율, 매출 현황을 분석했다.

 

2024년 국내 생수시장 규모


2024년 국내 생수시장 규모는 3조1761억원으로, 전년(2조7483억원) 대비 15.6% 성장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10년 전(2014년 6000억원)과 비교해 5배 이상 커진 수치다.

 

1인 가구 증가, 건강 중시 소비 트렌드, 온라인 유통 확대 등이 성장을 견인했다.

 

 

상위 5대 브랜드 점유율 및 순위…삼다수 ‘절대강자’, 아이시스·백산수 추격


2024년 기준 국내 생수시장 점유율(닐슨IQ, 유로모니터, 업계 자료 종합)은 다음과 같다.

 

제주삼다수는 2025년 1분기 기준 40.4%의 점유율로 27년 연속 1위를 굳건히 지켰다.

 

아이시스는 13% 내외로 2위, 백산수는 7.5~8.3%로 3위다. 4위는 평창수(동원F&B·해태), 5위는 하이트진로 석수가 뒤를 잇는다.

 

PB(Private Brand) 생수와 기타 브랜드가 15% 내외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시장 경쟁을 더욱 격화시키고 있다.

 

제주삼다수(제주개발공사)는 현재 광동제약이 위탁판매를 맡고 있다. 2023년 광동제약 연결 기준 삼다수 매출은 3095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33.8%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 삼다수 매출은 2018년 1984억→2019년 2112억→2020년 2341억→2021년 2838억→2022년 2955억→2023년 3095억원으로 꾸준히 증가추세다.

 

삼다수는 단일 브랜드로 3000억원대 매출을 기록 중이며, 오프라인·온라인 시장 모두에서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는 제주삼다수가 12년 만에 새로운 전국 유통 위탁판매사를 찾는다. 제주삼다수 판권은 제주개발공사가 가지고 있고, 유통망 판권은 광동제약이 갖고 있는데 올해 계약이 만료되면서 새 위탁 판매사 선정을 위한 입찰을 공고했다. 선정된 업체는 전국(제주도 제외) 유통망을 4년간 독점하며, 1년 추가 연장도 가능하다.

 

 

아이시스(롯데칠성음료)는 13~14% 점유율로 2위이다. 최근 3년간 매출은 소폭 감소세이나, 무라벨·친환경 제품 등으로 경쟁력 강화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2023년 롯데칠성음료 전체 음료 매출 1조9097억원 중 생수(아이시스 등) 부문은 약 1800억원 추산된다.

 

아이시스는 2020년 1월에 국내 음료업계 최초로 라벨을 없앤 무라벨 생수를 선보였으며, 2024년 10월 국내 최초 9.4g 초경량 페트를 출시했다.

 

유승호를 모델로 발탁한 후 '아이시스는 사라지는 중'이라는 콘셉트로 제작됐으며 환경을 위해 불필요한 것을 덜어내고 줄이는 아이시스의 노력을 담았다. 생수 병 라벨을 벗기고, 뚜껑 높이를 낮추고, 무게를 줄이는 등의 변화를 '순수한 물만 남을 때까지 아이시스는 사라지는 중'이라는 문구를 통해 전달한다.

 

농심이 2012년 12월 출시한 생수 브랜드 ‘백산수’가 약 12년 만인 2025년 상반기 기준 누적 매출 1조1000억원을 돌파했다. 2013년 약 240억원으로 시작해, 2019년부터 연 매출 1000억원 브랜드로 발돋움했다. 출시부터 지난해까지 백산수의 연평균 성장률(CARG)은 약 16%에 달한다.

 

농심은 올해 백산수 누적 매출 1조원 돌파와 백산수 신공장(2015년) 가동 10주년을 맞아 백산수 브랜드 재도약을 추진한다. 국내에서는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품질을 강조하는 마케팅을 펼치는 한편, 중국에서는 적극적인 수요 개척을 통한 매출 확대를 이룬다는 계획이다.

 

백산수(농심)의 2023년 매출은 농심 전체 매출(2023년 3조4110억원) 대비 생수 부문 비중은 3% 내외로 추산된다. 

 

 

평창수(해태/동원F&B), 석수(하이트진로)등은 4~5위권이나, 각각의 연간 매출은 200~400억원대로 추산된다.

 

최근 동원F&B, 풀무원 등도 생수 시장 점유율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장 트렌드 및 경쟁 구도…차별화 전략, PB생수의 급성장, 생수시장 경쟁과열

 

무라벨, 친환경, 프리미엄 생수 등 차별화 전략이 국내 생수시장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 농심, 제주개발공사 등 주요 업체들은 플라스틱 라벨을 없앤 무라벨 생수, 페트병 경량화, 무색병·무색 뚜껑 등 친환경 포장재를 도입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실제로 무라벨 생수는 출시 직후 매출이 일반 생수 대비 3~4배 이상 빠르게 성장했으며, 소비자들은 브랜드보다 친환경·실용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PB생수(Private Brand, 자체상표)와 온라인 유통 확대는 가격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이마트, 홈플러스, 편의점 등 유통업체들이 내놓은 PB생수는 기존 브랜드 생수 대비 가격이 저렴해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이커머스와 편의점 PB생수는 출시 직후 매출이 급증하며, 기존 브랜드 생수의 점유율을 잠식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삼다수 등 기존 강자들도 가격·마케팅 전략을 재정비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2024년 기준 국내 생수 제조사는 약 60개, 브랜드는 300~400개에 달해 시장 경쟁이 극도로 과열되고 있다.

 

오리온, 풀무원, LG생활건강 등 식품·생활용품 대기업까지 시장에 진입하며, 신규 브랜드와 PB생수의 시장 진입 장벽이 낮아졌다. 이로 인해 생수 시장은 기존 강자와 신규 진입자, PB생수 간의 점유율 쟁탈전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K-뷰티, 수출로 미국 제치고 세계 2위 등극…강관·조선·음식료 ‘정책+글로벌’ 모멘텀에 증시 활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5년 상반기 한국 증시는 K-뷰티(화장품) 업종의 글로벌 약진과 강관·조선·음식료 등 주요 테마주의 동반 강세 속에 투자 심리가 뚜렷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3거래일 만에 상승 전환해 3071.70에 마감했고, 코스닥은 소폭 약보합세로 마쳤다. 특히 한국 화장품 수출이 사상 처음 미국을 추월하며 세계 2위에 올라선 점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K-뷰티, 사상 첫 美 추월…세계 2위 수출국 등극 2025년 1~4월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36억609만 달러로, 같은 기간 미국(35억7069만 달러)을 앞질렀다. 이는 지난해 독일을 제치고 3위에 오른 데 이어, 프랑스에 이어 세계 2위로 올라선 것이다. K-뷰티의 저력은 한류 확산, 기능성 제품 혁신, OEM·ODM 경쟁력, 글로벌 유통망 확장에 기반한다. 업계는 신생 브랜드 발굴과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증시에서는 한국콜마, 잉글우드랩, 실리콘투, 삐아 등 화장품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고, 한국콜마는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관·피팅·밸브, 한미정상회담·LNG 프로젝트 기대감에 강세 7월 말 한미정상회담 추

[The Numbers] '티웨이항공 팔고, 런던베이글 인수' JKL, 보유 포트폴리오 어디?…엑시트후보 크린토피아·페렌벨 '몸값 저울질'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대표 사모펀드(PEF) 운용사 JKL파트너스가 최근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런던베이글뮤지엄’ 인수를 확정지으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JKL파트너스(JKL)는 2001년 세 명의 회계사 출신인 정장근, 강민균, 이은상 대표가 함께 설립한 회사다. 기업구조조정에 주력하다 2004년 PEF를 설립해 운용에 나섰다. 2015년 하림그룹과 팬오션의 1조원 규모의 공동경영권 인수후 국내 최대 벌크 해운사로 성장시키며 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JKL은 다양한 산업군의 중견·중소기업에 투자해 구조조정, 성장 지원, 기업가치 제고를 추진하는 전략으로, 올해도 주요 포트폴리오의 매각(엑시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엇보다 올해 JKL은 대명소노그룹에 티웨이항공 지분을 모두 처분하며 투자금액의 약 2배를 회수했다. 콜옵션 권리대금 300억원을 포함해 매각대금은 총 2000억원 수준이다. 내부수익률(IRR)은 약 23%로 투자 당시 목표로 잡았던 수익률(20%)을 크게 웃돌았다. 투자한 지 약 3년 만에 엑시트 성공은 업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최근에는 국민연금 사모투자 위탁운용사로 선정되는 성과도 거뒀다. JKL파트너스의 주요 포트폴리

[혼쭐위원회] “가맹점주 희생양, 상생은 메아리" ‘수수료 지옥' 치킨산업…배민·쿠팡이츠에 뜯기고, 교촌·BBQ·bhc에 바치고 ‘이중고’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이 배달플랫폼과 본사의 이중 착취에 시달리며, 수익성 악화의 늪에 빠지고 있다. 배달앱 시장의 독과점 구조와 치킨본사의 고율 유통마진, 그리고 가격정책 통제까지 겹치며, 정작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점주만이 모든 부담을 떠안고 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가장 큰 부담은 매출의 절반가량이 배달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면서 플랫폼 종속 현상이 심화되는 것이다. 배달플랫폼에 지급하는 수수료때문에 치킨업체들의 부담도 점점 커지고 있다. 매출 절반이 ‘배달앱’…24%가 수수료로 증발 서울시가 2024년 프랜차이즈 실태조사를 통해 발표한 결과, 치킨·햄버거 등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매출 절반(48.8%)이 배달플랫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킨과 햄버거 업종은 배달 플랫폼 매출이 각각 75.7%, 51.7%로 높았다. 모바일상품권 매출(7.9%)까지 합치면 온라인 기반 매출 비중은 56.7%에 달한다. 치킨집 등 자영업자들은 이제 오프라인 매장보다 배달앱에 더 크게 의존하는 구조로 전환된 셈이다. 이 과정에서 치킨집의 매출 24%가 배달플랫폼 수수료로 빠져나간다. 2023년 10월 17.1%였던 수수

[혼쭐위원회] “3700만건, 9년간 방치·유출 대참사"…파파존스의 뻥뚫린 보안에 고객정보 '공공재'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피자 프랜차이즈 한국파파존스에서 2017년부터 최근까지 약 3700만건에 달하는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노출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내외 개인정보보호 체계에 심각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번 사고는 단순 해킹이 아닌, 기본적인 웹사이트 설계·관리 부실로 인한 대규모 정보 유출이라는 점에서 충격을 더하고 있다. 9년간 ‘URL만 바꾸면’ 남의 정보가 줄줄이 사건의 발단은 지난 6월 21일, 한 IT업계 종사자가 파파존스 홈페이지에서 피자를 주문한 뒤, 주문확인 페이지의 URL(인터넷 주소) 끝자리 숫자 9개 중 일부를 임의로 바꿔봤더니 타인의 이름, 연락처, 주소, 이메일, 생년월일, 카드번호 일부, 공동현관 비밀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그대로 노출된 것을 발견하면서 시작됐다. 이 취약점은 로그인 등 인증 절차 없이도 누구나 접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사실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실에 전달되면서, 자체 조사 결과 2017년 1월 1일부터 최근까지 주문자 수 기준 약 3732만건의 고객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이 나왔다. 이는 국내 개인정보 유출 사고 중에서도 손꼽히는 대형 사고다. 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