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5℃
기상청 제공

빅테크

아들·딸 골라 낳는 인공수정 기술개발···윤리논쟁 '후끈'

웨일 코넬 의대 연구팀, X염색체가 Y염색체보다 무거운 원리로 구별

웨일 코넬 의대 연구팀이 아들과 딸을 선택할 수 있는 인공수정 기술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80%의 성공확률로 인공수정을 통해 아들과 딸을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인공수정에 성공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윤리적 논쟁도 불거질 전망이다.

 

22일(현지시간) 영국 스카이뉴스는 미국 뉴욕 웨일 코넬 의대 지안피에로 팔레르모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보도하며 이같이 밝혔다.

 

팔레르모 교수팀은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정자의 성(性)을 선택해 인공수정 하는 기술을 이용, 80%의 정확도로 원하는 성별의 배아를 얻는 데에 성공했다고 알렸다.

 

웨일 코넬 의대의 지안피에로 팔레르모 교수(산부인과) 연구진은 1300명 이상의 불임부부 대상으로 무게에 따라 정자가 분리되도록 하는 밀도 구배 기술을 적용했다. 여성 성염색체인 X염색체를 가진 정자는 남성 성염색체인 Y염색체(수컷)를 가진 정자보다 조금 더 무거운 원리를 적용해 가벼운 정자는 위로 올라가고 무거운 정자는 아래로 내려가게 한 것.

 

그 결과 딸을 원하는 부부 59쌍은 292회 인공수정 중 231회(79.1%) 딸 배아를 얻은 데 성공했고, 아들을 원하는 부부 56쌍은 280회 인공수정 가운데 223회(79.6%) 아들 배아를 얻었다. 

 

팔레르모 교수는 "해당 기술은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매우 안전하며, 윤리적으로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기술은 윤리적 논쟁은 불가피해 보인다.

 

미국 뉴욕대 그로스만 의대의 아서 카플란 교수(의료윤리학)는 딸만 셋이 있는 집안에서 아들을 원하거나, 남성에게만 발병하는 혈우병 가족력이 있을 경우 딸을 선택하는 예외적 경우엔 유용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기술이 점점 더 발전함에 따라 키, 눈동자 색, 힘, 성적 취향 뿐 아니라 아들‧딸까지 선택하려는 성향이 커질 수 있다"면서 "특히 성 선택은 인구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으로 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를 피력했다.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남성병학과 학장 찬나 자야세나 박사는 "정자 선택은 자손의 성별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사회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대부분의 나라에서 타당한 이유 없이 배아의 성별을 선택하는 것은 불법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가장 비싼 이혼 및 세계 부자' 2위 베이조스, 6년만에 멕시코계 연인과 재혼…베이조스는 2번째·산체스는 3번째 '결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마존 창업자이자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의 사주이자 세계 2위 부자(2390억 달러, 한화 약 350조원)인 제프 베이조스(61)가 폭스TV 앵커 출신의 약혼녀 로렌 산체스(55)와 올 여름에 결혼을 올린다. 23일(현지시간) 페이지식스 등의 외신보도에 따르면 베이조스와 산체스는 올 여름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결혼식을 올린다고 결혼 청첩장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이 매체는 앞서 "두 사람이 오는 6월 이탈리아 해안에 요트를 띄워 결혼식을 올릴 것이라는 소문이 돈다"고 전한 바 있다. 베이조스와 산체스는 1월 20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두 번째 취임식에도 함께 참석했다. 산체스는 멕시코계 이민 3세로 폭스TV 앵커 출신이며 에미상 저널리스트 부문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항공기 조종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2016년 항공촬영 회사 '블랙옵스 에이비에이션'을 설립했다. 베이조스와 가까워진 것도 베이조스가 설립한 우주 기업 '블루 오리진'에 헬리콥터 조종사로 고용돼 항공촬영 업무를 하면서부터다. 베이조스·산체스 커플은 2019년부터 4년간 만남을 이어오다 2023년 5월 약혼하고 그해 8월 이탈리아 휴양지 포

[빅테크칼럼] 韓 퓨리오사AI는 美 메타의 1.2조 인수를 왜 거절했을까?…"투자유치해 독자 AI 칩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기업 퓨리오사AI가 메타의 1.2조원 인수 제안을 거절했다. 업계에 따르면,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24일 사내 공지를 통해 메타와 인수 협상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인수 거절 의사는 메타 측에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퓨리오사가 8억달러(약 1조2000억원) 규모인 메타의 인수 제안을 거절하고 독립된 기업으로서 성장하는 방안을 선택했다고 전했다. 퓨리오사AI의 기업 가치는 8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미국 반도체 기업 AMD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등을 거친 백준호 대표가 2017년 4월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실리콘밸리 지사의 15명의 직원을 포함해 약 15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인수 이후 사업 방향이나 조직 구성 등에서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협상이 최종 결렬된 것으로 알려졌다. 퓨리오사AI는 엔비디아 AI 반도체 대비 비용 효율적인 신경망처리장치(NPU) 워보이, 레니게이드를 개발했다. 레니게이드는 AI 반도체 최초로 SK하이닉스 고대역폭 메모리 HBM3를 탑재했고 하반기에 본격적인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퓨리오사AI는

“테슬라 공격은 테러” 美 FBI 전담팀 출범…‘머스크 지키기’ 나섰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FBI(연방수사국)는 테슬라에 대한 공격을 '국내 테러'로 규정했다. 최근 미국 전역에서 일론 머스크에 대한 반발 심리로 테슬라 자동차를 공격하는 범죄행위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미 연방수사국(FBI)이 전담반을 편성해 대응하기로 했다고 현재 매체들이 24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황태자, 퍼스트버디, 찐실세로 주목받았던 일론 머스크가 ‘반(反)트럼프 운동’ 타깃이 되면서 트럼프 행정부도 테슬라 지키기에 나서는 모양새다. 캐시 파텔 FBI 국장은 24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서 “테슬라를 향한 공격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강력히 단속하고 대응을 조율하기 위한 추가 조치에 들어갔다”고 TF 구성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파텔 국장은 "이것은 국내 테러다"라며 "책임자들은 추적을 당할 것이고 결국 붙잡혀 법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댄 본지노 FBI 부국장도 "정의가 다가오고 있다"며 강력한 대응을 시사했다. 이번 발표는 테슬라 본사가 있는 텍사스 오스틴 소재 테슬라 쇼룸에서 폭발물 처리반이 여러 대의 폭발물 장치를 발견한 뒤 나왔다. FBI는 주류·담배·총기·폭발물 단속국(ATF)과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