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구름많음동두천 11.9℃
  • 구름조금강릉 11.9℃
  • 구름많음서울 13.0℃
  • 맑음대전 11.6℃
  • 맑음대구 12.2℃
  • 맑음울산 12.1℃
  • 맑음광주 15.4℃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2.5℃
  • 맑음제주 15.7℃
  • 구름많음강화 8.5℃
  • 맑음보은 10.3℃
  • 맑음금산 10.4℃
  • 맑음강진군 10.9℃
  • 맑음경주시 10.9℃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월드

[랭킹연구소] 전세계 동성 결혼·관계 불법 규정 국가 몇곳? 사우디·이란·나이지리아·수단은 '사형'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양성 프로그램과 트랜스젠더 및 LGBT(성소수자) 권리에 관해 내린 행정명령에 대해 성소수자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젠더 이데올로기 극단주의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고, 생물학적 진실을 연방정부에 회복하기'라는 제목의 행정 명령을 내렸다. 즉 트럼프 정부는 공식적으로 여성과 남성 2가지 성별만 인정한다고 선언한 것이다.

 

이에 따라 모든 연방 직원은 정부 문서에서 '성(gender, 젠더)' 대신 '성(sex)'이라는 용어를 써야 한다. 아울러 여권을 포함한 공식 문서의 성별란에는 "개인의 변치 않는 생물학적 분류"인 출생 시 기록된 성별, 즉 남성 혹은 여성만을 기재해야 한다.

 

이를 계기로 현재 전세계에서 동성애(동성 관계, 동성 결혼, 공동입양)를 합법화한 나라와 이와 반대로 동성애를 범죄화하고 불법으로 규정한 국가에 대해 알아봤다.

 

LGBT(레스비언, 게이, 바이섹슈얼, 트렌스젠더) 권리는 많은 진전과 개선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국가에서 동성 결혼, 입양, 성별 마커 변경, 제3의 성별은 여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 국가에서는 더 퇴행적인 정책을 시행하기도 한다.

 

 

현재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 월드 인 데이터(our world in data)에 따르면 전 세계 67여개국은 동성간 관계를 불법으로 규정했다. 불법으로 규정한 것을 넘어 처벌 수위가 사형에 처할 정도로 강력한 중범죄로 분류한 국가들이 매우 많다.

 

연구자 장 프랑수아 미뇨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까지 202개국 중 133개국에서 동성간 성관계가 합법화됐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에스토니아는 1992년에 성별 표시 변경을 제한 없이 허용한 최초의 국가, 캐나다는 1995년에 공동 입양을 허용한 최초의 국가, 네덜란드는 2001년에 처음으로 동성결혼을 합법화했다.  또 2011년 호주는 여권에 이중 성별이 아닌 새로운 성별을 인정한 최초의 국가다.

 

세계은행(World Bank)과 국제통화기금(IMF)의 연구에 따르면, LGBT 권리를 보장하는 국가들이 평균적으로 경제 발전 수준이 높고, 외국인 투자(FDI) 유치도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즉 기업들이 다양성(Diversity)과 포용성(Inclusion)을 중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반면, 강한 종교적 전통이 있는 국가(특히 이슬람 국가)는 동성애를 죄악으로 간주하고 처벌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동성간 성관계를 처벌하는 국가들은 주로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사형까지 선고할 정도로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다. 동성간 성관계시 사형으로 처벌하는 국가들은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예멘, 나이지리아, 수단, 소말리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모리타니, 카타르 등이다.

 

1972년 동성애 금지법을 도입한 카메룬은 동성애자에게 최대 5년의 징역형을 부과한다. 우간다는 최근 입법을 통해 동성 간 성행위에 대해 최대 종신형까지 선고가 가능하도록 해 처벌을 강화했다. 이슬람 국가 브루나이도 2019년 4월부터 동성애를 저지르면 목숨을 잃을 때까지 돌을 던지는 투석(投石) 사형제를 시행중이다.

 

 

2024년 말 이라크 의회는 1988년 제정된 매춘금지법을 개정한 ‘매춘 및 동성애 방지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개정안에는 동성애자에 대해 10∼15년의 징역형을 선고하고, 동성애를 부추기는 사람도 최소 7년의 징역형에 처한다. 또 ‘개인적 욕망에 따른 생물학적 성별 전환’ 역시 범죄로 규정해 성전환 수술을 한 의사도 최대 3년의 징역형에 처한다. 처벌 대상에는 여성 흉내를 내는 남성도 포함됐다.

 

하지만 동성 간 성관계를 처벌하는 법률은 국제 인권 기준과 여러 측면에서 충돌한다는 지적도 있다.

 

1948년 세계인권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DHR) 제1조와 제2조는 모든 사람의 평등한 권리를 보장한다고 규정한다. 동성애 처벌법은 제7조(법 앞의 평등), 제12조(사생활 보호), 제19조(표현의 자유) 등을 침해할 수 있다.

 

유엔 인권이사회(UNHRC)는 1994년 동성애 처벌법이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CCPR) 제17조와 제26조를 위반한다고 판결했다(Human Rights Committee, Toonen v. Australia 사건)며 국제 사회에 해당국가의 제재 및 외교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반면 미국과 EU는 동성애 처벌법을 유지하는 일부 국가에 경제적 제재를 가하거나, 원조 중단 등의 조치를 취한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우간다가 2014년 동성애 처벌 강화를 시도하자 미국, EU, 세계은행(World Bank) 등이 원조를 중단했다.

 

 

동성애에 대한 인식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며, 이는 종교적 전통, 문화적 배경, 법률 및 역사적 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가톨릭과 개신교가 강한 국가에서도 점차 동성애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독일, 프랑스, 스페인, 캐나다 등은 동성애를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일부 교회에서는 동성 결혼도 허용한다. 다만 보수적인 개신교가 강한 지역(미국 남부, 폴란드, 러시아 등)에서는 동성애 반대 움직임이 여전히 강하다.

 

특히 이슬람권(중동, 북아프리카, 동남아 일부)은 강력한 처벌을 시행중이다. 그러나 터키, 인도네시아처럼 이슬람 국가이지만 법적으로 동성애를 금지하지는 않는다.

 

불교·유교 문화권(동아시아)에서는 아직까지 사회적 보수성으로 인해 법적 중립 입장이지만 중국, 일본, 한국등은 사회적 차별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대만은 2019년 아시아 최초로 동성 결혼을 합법화했으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수용성이 증가하는 추세다.

 

인도는 2018년 대법원 판결을 통해 동성애 처벌 조항을 폐지(Section 377 폐지)했으며, 네팔도 상대적으로 동성애에 대한 태도가 개방적인 편이다. 이는 힌두교 신화에 동성애적 요소가 존재한다는 모습이 영향을 끼친 듯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마취 없이 수술시행? 가자지구 의료위기 심화…휴전 후에도 이스라엘 인도적 지원 '제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가자지구 보건 시스템이 휴전 한 달을 앞둔 지금도 필수 의약품과 의료용품의 심각한 부족에 직면해 있다. 이로 인해 의사들은 마취제 부족으로 각종 수술을 통증 완화 없이 강행하고 있다. 알자지라, 로이터, UN 뉴스, BBC, Middle East Eye에 따르면, 가자 보건부는 11월 7일(현지시간) 발표에서 의약품 부족률이 56%, 의료 소모품 부족이 68%, 실험실 용품 부족은 67%에 달한다고 보고했다. 정형외과 수술은 83% 부족하며, 심장 수술은 전면 중단된 상태이고 신장 관련 서비스도 80% 부족하다고 밝혔다. 보건정보국 자히르 알-와히디 국장은 "응급 서비스와 마취, 중환자 치료, 외과 의약품 분야에서 가장 심각한 부족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가자지구 의료진은 마취제가 충분치 않아 절단 수술, 화상 치료, 제왕절개 수술도 마취 없이 시행하고 있다. 알-와히디 국장은 "마취와 항생제 부족으로 인해 환자들의 고통을 완전히 덜어 줄 수 없는 상황"이라며 "환자 생명과 통증 완화 사이에서 어렵게 선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10월 1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시작된 휴전에도 불구하고, 예정된 하루 6

[랭킹연구소] 한국, 남자 성별 성비 105 "남아선호 역사 속으로"…남아출생비 최상위권 국가, 중국·아제르바이잔·베트남·알바니아 順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의 남아 출생 성비가 생물학적 자연 기준인 100명당 103~107명에 거의 근접했으며, 최근 수년간 남아선호 사상이 급격히 약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남아 출생이 현저하게 높은 나라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출생 성비는 여아 100명당 남아 105.1명으로 나타나 전년 대비 0.4명 증가했지만, 정상범위(103~107명)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1990년에는 116.5명이었으나,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2020년 104.9명, 2022년 104.7명까지 떨어졌다.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 모두 자연성비 범주에 속한다. 이에 대해 "남아선호 풍조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는 분석까지 나왔다. 실제로 사회적 인식은 '딸 선호'로 전환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많다.​ 남아 출생비율 높은 국가 현황 유엔 인구통계자료에 따르면,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여전히 남아 출생성비가 자연치보다 크게 높은 국가들이 있다. 유엔의 2000~2020년 데이터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중국이 115명, 베트남이 111명, 알바니아도 불균형 국가로 분류된다. 일부에서는

[이슈&논란] 당뇨병·비만 있으면 비자 발급 거부?…美 국무부, 비자발급 요건에 '건강'도 포함 '논란'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미국 국무부가 최근 전 세계 주재 대사관과 영사관에 하달한 새 지침에 따라 앞으로 당뇨병, 비만 등 만성질환이 있는 이민 비자 신청자에 대해 비자 발급 제한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미국 CBS 방송이 6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이 지침은 신청자의 나이, 건강 상태, 공공복지 의존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미국 사회의 ‘공적 부담(public charge)’이 될 우려가 있는지를 세밀하게 심사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로 인해 만성질환의 심각성에 따른 장기 의료비용 발생 가능성이 비자 심사 기준의 핵심 요소가 됐다. 이번 지침은 심혈관, 호흡기, 대사, 신경계, 정신 질환뿐만 아니라 비만, 천식, 수면 무호흡증, 고혈압 등을 포함하며, 특히 비만과 당뇨가 미국 내에서 성인 인구의 주요 만성질환임을 감안해 이들의 비자 심사 비중이 크게 강화됐다. 미국 내 비만 인구는 1억명 이상이며, 비만은 암 발생의 약 40%와 관련이 있다는 통계가 있다. 또한 성인 10명 중 1명은 당뇨병을 앓고 있어 해당 질환으로 인한 비자 발급 제한은 큰 사회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비자 심사관은 신청자가 치료비를 자력으로 감당할 재정 능력이 있는

[공간사회학] 중국 ‘가짜 출근 회사’ 등장…"심각한 청년실업 현실 반영한 새로운 사회 현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에서 취업난과 실업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가짜 회사’ 또는 ‘가짜 출근 회사’라는 독특한 서비스가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중국 전역에서 ‘假裝上班公司’(가장상반공사)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이 서비스는, 취업하지 못한 청년 등에게 사무실 공간을 임대하여 출근하는 모습과 직장 생활을 모의할 수 있도록 돕는 임대업이다. 즉 취업하지 못한 청년들이 실제로는 일하지 않지만, 마치 정규직원처럼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모습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빌려준다. 이용자들은 가족이나 지인에게 실직 혹은 미취업 상태를 숨기면서 사회적 압박과 심리적 부담을 덜 수 있으며, 창업 준비나 구직 활동을 보다 규칙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는다. 이용료는 하루 약 44위안(약 8800원), 월 이용료는 1272위안(약 25만원) 정도이며, 장소에 따라 30~60위안까지 다양하다. 서비스는 책상, 고속 인터넷, 회의실, 프린터, 에어컨, 무료 음료, 간식 등을 구비하며, 고객은 가짜 직장 상사와 대화하거나 회의하는 등의 ‘사무실 출근 루틴’을 경험할 수 있다.​ 심지어 일부 업체는 ‘사장’, ‘부장’ 등 직급 설정과 직장 내 회의, 업무 지시까지 모의

[이슈&논란] 독일 우파 운동가 "머스크 도움으로 美 망명 신청"…글로벌 권력과 지하드의 교차점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최근 세계 정계와 권력의 역학 구도에서 이례적인 사례가 포착돼 주목받고 있다. 독일 우파 운동가 나오미 자이브트(25)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도움으로 미국 망명을 신청했다고 영국 데일리메일이 보도했다. 자이브트는 자신이 유럽 극우 세력에 의해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다는 주장과 함께, 머스크의 공개적 지지와 연대를 토대로 망명을 추진 중이다.​ 자이브트는 2020년 현지 최고 보수 싱크탱크인 하트랜드 연구소의 ‘녹색운동 반대 국제 홍보대사’로 이름을 알렸으며, 극우 성향 정당인 ‘독일대안당(AfD)’을 적극 지지하는 가운데 보수·우파 진영의 대표적 인물로 부상했다. AfD는 2013년 창당 이후 유럽연합(EU) 탈퇴, 이민자 강경 통제, 탄소중립 정책 철폐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며 독일 내 급진 보수 확장에 기여해왔으며, 자이브트 역시 이 정당의 정책과 이념에 깊이 공감하는 인물이다.​ 그는 최근 인터뷰에서 자신이 미국으로 망명하는 계기와 관련해, "머스크가 유럽이 매우 위험하다는 경고를 했으며, 개인적으로 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머스크의 승인 하에 망명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현재 그의 망명 절차는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