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 '아기유니콘' AI·빅데이터 부문에 선정한 F사라는 팬덤 비즈니스 플랫폼 스타트업이 선정성 높은 성인 콘텐츠를 다수 제공하며 논란이 일고 있다.
F사는 2018년 설립 이후 기존 유튜브 등에서 활동이 어려웠던 고수위 성인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해당 카테고리가 확대됐다. 플랫폼 내에서는 수영복이나 란제리 차림을 넘어 일부 전라 수준의 영상도 게시되고, 불법 음란물 유포 우려도 제기된다.
아기유니콘 사업은 기업가치 300억원 이상 혹은 투자유치액 2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의 혁신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정부 사업으로, 총 217개 기업 중 50개사를 약 4.3대 1 경쟁률로 선정해 각종 보조금과 50억원 규모의 특별보증, 글로벌 IR 기회 등을 제공한다. 선정 기업은 평균 기업가치 321억원, 매출액 44억원, 투자유치금액 56억원 정도로 AI·빅데이터 등 딥테크 분야가 약 86%를 차지한다.
F사 측은 "성인 콘텐츠 문제에 대해 심사 과정에서 충분히 소명했으며, 2022년부터 자체적으로 선정성 콘텐츠에 대해 수수료율 인상과 제재 강화로 매출 비중을 10% 이하로 줄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아기유니콘 사업에 지원한 다른 스타트업과 벤처업계 관계자들은 "기술 중심 기업에 비해 성인 콘텐츠 플랫폼이 상대적으로 쉬운 돈벌이 구조로 평가되며, 정부 지원금 투입의 우선순위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기부 관계자도 "F사의 실제 사업 내용이 사업 계획서와 차이가 있어 인지하지 못했던 부분이 있다"며, "아직 최종 협약 체결 전이라 관련 내용을 면밀히 조사해 협약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논란은 아기유니콘 선정 절차의 투명성과 심사의 엄격성, 그리고 정부 지원 사업의 공공성에 대한 재검토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선정성 높은 콘텐츠를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에 수십억원의 세금성 지원금이 투입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최근 중기부는 개인정보 유출 등 리스크가 있는 기업이 선정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2023년 8월부터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제재받은 기업이 아기유니콘 지원 대상으로 선정돼 국정감사에서도 지적이 이어지며 선정 기준과 심사의 엄격성 문제가 함께 부각되고 있다.
중기부는 2020년부터 지금까지 350개 아기유니콘 기업을 선정해왔으며, 올해 50개 기업에는 AI, 바이오 헬스, 친환경 에너지, 미래 모빌리티 등 여러 딥테크 분야 혁신 기업들이 포함돼 있다(평균 고용인원 30명 수준). 아기유니콘 육성사업은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이 검증된 유망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