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The Numbers] "정부 AI 혁명 주도" 팔란티어 주가 300% 폭등의 비결…3분기 실적발표 앞두고 밸류에이션 '논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들어 팔란티어(Palantir Technologies)의 주가는 약 300% 급등하며 연초 주당 45달러 안팎에서 175~180달러 선까지 치솟아, 시가총액은 4250억 달러에 달하는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Reuters, TheStreet, Economic Times, Axios, CNBC, Investing.com, Yahoo Finance, Fortune, Wired, Quiver Quant​에 따르면, 이 같은 급등세는 대규모 정부 계약과 AI를 중심으로 한 혁신적 상업 파트너십 덕분에 가능했다.​ 특히 미 육군과 체결한 최대 100억 달러 규모의 10년 엔터프라이즈 계약이 핵심 동력이다.

 

이 계약은 75건에 달하는 개별 계약을 통합해 조달 과정을 간소화하고 비용 효율성을 크게 개선했다. 또한 영국 국방부와 체결한 최대 15억 파운드 규모의 장기 계약은 팔란티어가 미국 이외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장했음을 보여준다. 이 밖에도 최근 재향군인부와 이민세관단속국 등 여러 정부 기관과의 계약이 이어져 꾸준한 매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광범위한 AI 데이터 플랫폼 파트너십도 주가 상승을 뒷받침했다. 10월 16일 발표된 Snowflake와의 전략적 협업은 AI 데이터 클라우드와 팔란티어의 Foundry 및 AI 플랫폼(AIP)을 결합, 실시간 데이터 공유와 AI 애플리케이션의 신속한 구축을 가능케 했다. 이를 통해 산업 전반에 걸쳐 고객들의 AI 도입과 활용이 가속화됐다.​

 

재무 성과에서도 팔란티어는 기록적인 성장을 보였다. 2025년 2분기 매출은 10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고, 미국 상업부문 매출은 93% 급증했다. 회사는 2025년 연간 매출 전망을 약 41억4000만~41억5000만 달러로 상향 조정, 연간 45% 성장세를 예고했다. 경영진은 2025년 3분기에 10억8300만~10억8700만 달러 매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11월 3일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그러나 주가가 급등하며 밸류에이션에 대한 우려도 크다. 팔란티어는 선행 이익의 400배 이상, 선행 매출의 약 100배에 거래되고 있어 전통적 소프트웨어 기업 대비 매우 고평가 상태다. 월가에서는 ‘보유’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며, 평균 목표주가 142.10달러는 현재가 대비 20% 이상 하락 여지를 시사한다.

 

유명 공매도 기관 씨트론 리서치는 이를 닷컴 버블과 비교하며 ‘펀더멘털과 동떨어진 가격’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팔란티어의 ‘Rule of 40’ 지표가 91%로 매우 우수한 점도 긍정적 신호로 언급된다.​

 

이번 3분기 실적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이 성장 속도를 지속하며 고평가를 정당화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AI 및 국방 분야에서의 독보적 위치를 활용해 팔란티어가 시장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푸틴·트럼프 ‘해저 평화터널’ 현실화?…러시아 극동-알래스카 113㎞ 해저터널, 머스크 ‘더보링컴퍼니’가 건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를 잇는 113㎞ 길이의 해저터널 건설을 일론 머스크의 터널 건설 기업 더보링컴퍼니(TBC)에 제안했다. 그는 이 터널을 ‘푸틴-트럼프 터널’로 명명하며, 미주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 Jazeera, cnbc, reuters, Fox News,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는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이 사업에 650억 달러(약 92조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TBC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80억 달러(약 11조원) 이하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공사는 약 8년 내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 간 냉전 시기 검토된 ‘세계 평화 다리’ 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케네디-흐루쇼프 다리는 북태평양을 횡단해 양국을 연결하는 구상으로, 최근 미 의회에서 공개된 문서에도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드미트리예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