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3D프린터 기술로 만든 우주로켓이 첫 발사를 앞두고 있다. 3D프린터 기술기반의 우주로켓 제작 스타트업 '렐러티비티 스페이스'가 11일 오후 1~4시(한국시간 12일 새벽 3~6시) 첫 발사를 시도할 예정이다. 11일 우주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번주 미국의 로켓제작업체 릴래티비티 스페이스(Relativity Space)와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JAXA)는 3D 프린팅 제작 기술이 접목된 우주발사체인 '테란1'과 'H3'의 발사를 추진한다. '3D 프린터'로 부품을 만들어 발사 비용을 낮추는 로켓들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 스페이스X가 주도했던 로켓 재활용에 이어 새로운 비용 절감 방안이 나타난 것이어서, 고비용 산업의 대표주자인 항공우주산업이 좀 더 대중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테란 1은 로켓 부피 기준으로 85%가량으로 3D 프린터로 제작해 약 1,000개 정도 부품으로 구성됐다. 지난해 발사된 누리호는 약 36만개 부품으로 이뤄졌다. 테란 1의 제작 기간은 2개월, 발사 비용은 약 159억원 수준이다. 내년에 발사될 테란R의 경우에는 3D 프린팅 부품의 비중을 높이고 발사체 자체를 재활용하는 기술까지 적용
천문과학자 심채경은 올해 상을 주고 싶은 인간으로 우주복을 만든 재봉사들을 선정했다. 지난해 12월 방송된 tvN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인간 잡학사전(이하 '알쓸인잡')'에서는 심채경, 김영하, 김상욱, 이호가 MC 장항준, RM과 함께 했다. 박사들은 우주복 한 벌의 가격을 두고 내기까지 했다. 패널박사들이 예측한 가격은 1억~30억원선. 하지만 실제로 제작진이 확인한 우주복 한 벌의 가격은 100억원이었다. 심채경은 "사람이 우주에 맨몸으로 나가면 압력 차이 때문에 1분도 버틸 수 없다. 달의 일교차는 300도씨다. 또 사람몸의 70%는 수분인데, 달에가면 몸의 수분 70%가 기체로 변한다. 그래서 냉각, 가압, 온도유지, 유연성, 대소변 수집장치등을 갖춘 우주복은 과학 기술의 총집합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나사는 미국의 유명 속옷 회사에 우주복 제작을 의뢰한다. 속옷 회사와 군수 업체가 협업하게 됐는데, 기술적인 문제보다도 행정적인 문제로 계약이 해지됐다"고 말했다. 심채경은 "속옷회사 재봉사들은 우주복 한 벌이 일종의 소형 우주선이란 절체절명의 사명감을 갖고 4000조각을 이어붙여 우주복을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경제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밝힌 가운데, 간담회에 천문과학자가 아닌 연예인이 참석해 화제다. 그 주인공은 바로 가수 윤하. 윤하는 왜 우주전문 연예인으로 이름을 올리게 된걸까.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 우주경제 분야 기업인과 학생들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 '꿈과 도전의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경제 개척자와의 대화'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간담회에는 기업인, 연구자, 학생 등 40여명이 참석했는데 이자리에 윤하도 함께 했다. 가수 윤하는 특이하게 우주 관련 제목의 노래를 다수 불러오는 등 대중문화 차원에서 우주 문화에 대한 관심을 일으키는 데 큰 기여를 해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하가 혜성 등 우주를 소재로 한 각종 음반을 발표하면서 우주 문화를 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하는 '사건의 지평선' '블랙홀' ‘살별’(혜성의 우리말) ‘오르트구름’(태양계를 둘러싼 천체 집단) ‘별의 조각’ 등을 앨범에 수록해왔다. 지난 2022년 역주행으로 주요 차트 1위에 오른 윤하의 자작곡 ‘사건의 지평선’ 노래는 블랙홀과 바깥 세계의 경계선을 일컫는 천문학 용어다. 윤하는 “블랙홀이라는 곡은 오랜 친구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