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목성의 신비로운 핵이 한번의 충돌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형성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25년 8월 더럼대학교 연구진은 NASA, SETI(The SETI Institute, 미국의 비영리 민간 연구소로 외계 지적 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과학탐사를 전문기관), 오슬로대학교와 협업해 더출된 목성의 ‘희석된 핵(dilute core)’ 형성에 관한 주요 이론을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정면 반박했다. 그들의 연구 결과는 이번 주 왕립천문학회 월보(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에 발표됐으며, 대형 충돌 가설을 명확하게 배제했다. 연구팀은 수십억 년 전의 거대한 충돌이 목성 내부의 경계 없는 희석 핵을 만들었다는 기존 학설을 검증하기 위해, DiRAC COSMA 슈퍼컴퓨터에서 SWIFT 소프트웨어와 진보된 물질혼합 모델로 다양한 충돌 시나리오를 모사했다. Durham University, NASA Juno Mission Scientific Discoveries의 공식발표와 ScienceDaily, Phys.org, Caliber.az의 보도에 따르면, 이 시뮬레이션 결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현지시간 2025년 8월 24일 이른 아침, 스페이스X의 팰컨 9 로켓이 33번째 상업용 재보급 임무인 ‘드래곤 CRS-33’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이 우주선은 5000파운드 이상의 과학 실험 장비와 보급품을 싣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한다. 이로써 드래곤 우주선은 ISS를 방문한 횟수 50회를 기록하며 궤도 실험실 방문의 새 이정표를 세웠다. SpaceX와 NASA의 공식 발표와 space.com, spaceflightnow.com, spacexnow.com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무의 가장 큰 특징은 드래곤에 탑재된 독립적인 추진 시스템이다. 드래곤 우주선의 트렁크에 장착된 이 새로운 궤도 부양용 부스트 키트는 ISS의 궤도 유지에 기여하는 신기술이다. NASA의 국제우주정거장 프로그램 운영 통합 관리자 빌 스페치에 따르면, 2025년 9월부터 시작해 가을 기간 중 여러 차례 궤도 상승 연소 시험을 통해 ISS 고도 유지에 직접 활용될 예정이다. 이 기술은 그동안 주로 러시아의 프로그레스 화물선과 정거장 추진기에서 담당하던 궤도 보정 작업의 부담을 분산시키며, NASA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과학자들이 창어(嫦娥) 6호 임무를 통해 회수한 달 뒷면 샘플 분석을 토대로 달의 늦은 화산활동을 이끈 새로운 열 전달 메커니즘을 규명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Science Advances』에 2025년 8월 발표된 이 연구는, 약 30억년 전 달이 화산 활동을 멈췄다고 여겨온 기존 관념을 뒤집으며 달의 앞면과 뒷면의 근본적인 구조 및 진화 차이를 새롭게 조명한다. 중국과학원 광저우지구화학연구소의 왕청위안과 쉬이강이 이끄는 연구팀은 달의 화산 활동을 예상보다 훨씬 오랫동안 지속시킨 이전에 밝혀지지 않았던 열 전달 메커니즘을 확인했다. 기존에 달은 약 30억년 전 이후 화산 활동이 중단된 ‘휴면기’에 들어갔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중국의 창어 5호와 6호가 각각 수집해 지구로 귀환시킨 현무암 샘플에서 20억년과 28억년 전까지도 화산 분화가 지속됐음이 처음으로 직접 확인됐다. 특히 이번 창어-6 샘플에서는 28억년과 29억년 전 각각 형성된 아주 낮은 티타늄 함량의 현무암과 상대적으로 낮은 티타늄 함량을 가진 두 유형의 현무암이 발견됐다. 두 현무암 종류는 형성 깊이와 조성 면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매우 낮은 티타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최근 NASA와 국제 연구진이 외계 생명체 탐사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대대적으로 공개했다. 이번 주 디스커버 매거진(Discover Magazine)과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해외 매체, 그리고 국내외 과학 전문 기사에 따르면, NASA는 지구 심해를 외계 행성의 환경과 유사하다고 보고 분석에 착수했으며, 동시에 외계 문명이 남긴 신호를 포착하기 위한 신기술과 전략적 로드맵을 마련했다. 지구 심해에서 찾는 ‘외계의 흔적’ 북서 태평양 해구 등 수심 9000m 이상의 심해에서 밝혀진 독립적인 생태계는 광합성 대신 화학합성을 기반으로 한 생명체가 존재함을 입증했다. 최근 Nature 논문에 따르면, 관벌레와 신종 미생물들이 고압·무광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워싱턴포스트는 “이처럼 고압·무광 환경에서의 생태계는 태양 빛이 거의 닿지 않는 목성의 위성 유로파, 토성의 엔셀라두스 등 외계해양 세계에서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외계 생물학자 도미니크 파피노(Nature, 2025) 박사는 “지구에서 진화해온 미생물, 화석 사이 약 37억년의 문명이 존재한다. 만약 외계 행성 바다가 수십억 년 연속됐다면, 유사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8월 23일은 NASA가 무인 탐사선 루나 오비터 1호(Lunar Orbiter 1)를 통해 달 궤도에서 지구를 최초로 촬영한 지 59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사진은 약 38만 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지구의 반쪽, 이스탄불부터 케이프타운까지를 담아 인류가 지구를 바라보는 관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상징적인 이미지로 평가받는다. 뜻밖의 역사적 순간, 즉흥적 결정이 만들어낸 기적 NASA Science, The Planetary Society, Testbook, Euronews의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이 역사적인 사진은 원래 루나 오비터 1호의 임무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탐사선은 1966년 8월 10일 발사되어 아폴로 임무의 착륙지 후보지를 촬영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으나, 관제팀은 우주선이 이미 달 궤도에 진입한 후 뜻밖에도 카메라를 지구로 돌려 찍기로 결정했다. 이 즉흥적 결정은 우주 탐사 역사에서 가장 감성적으로 강한 이미지 중 하나를 탄생시켰으며, 지구가 반구 형태임을 확증하는 시각적 증거로 기록됐다. 혁신적 카메라 시스템과 임무 성과 루나 오비터 1호에 장착된 카메라는 68kg에 달하는 이스트먼 코닥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소행성 베누가 태양보다 더 오래된 별의 먼지를 품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NASA의 오시리스-렉스(OSIRIS-REx) 임무는 소행성 베누가 태양계와 그 밖의 우주에서 온 물질을 포함한 우주 타임캡슐임을 밝혀냈으며, 이에는 태양보다 오래된 고대 별먼지도 포함되어 있다고 발표했다. Nature 저널에 2025년 8월 21~22일 발표된 3편의 연구논문들은 베누의 모(母) 소행성이 목성과 토성 궤도 밖 외부 태양계에서 형성됐으며, 수십억 년에 걸쳐 물과의 상호작용, 태양풍 등 극한 우주 환경에 의해 극적인 변화를 겪었음을 밝혔다. 베누, 태양계 바깥 먼지와 물이 공존하는 '복합체' NASA 공식 발표 및 Nature Astronomy, Nature Geoscience(2025), 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애리조나대 연구팀 공동 보도자료등에 따르면, 애리조나대 연구팀의 제시카 반즈 부교수는 "베누의 모소행성은 태양계 외곽, 어쩌면 목성과 토성 궤도 밖에서 만들어졌을 것이며, 이후 소행성대 충돌로 산산이 부서졌다"고 설명했다. 나노미터 크기 규모까지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하는 정밀기술로 이른바 ‘전(前)태양계 성분’인 별먼지 조각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 로봇 퍼서비어런스가 최근 붉은 행성 화성의 '커라구나(Kerrlaguna)' 지역에서 비활성 상태의 대형 모래 물결인 '메가리플(megaripples)'을 정밀 조사했다. 이 연구는 오늘날에도 활발히 작용하는 화성의 바람이 어떻게 지형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지를 이해하려는 최신 시도로, 2025년 8월 중순 완료됐다. 로버는 높이 약 1미터(3피트)까지 솟은 모래언덕들을 분석하며, 퍼서비어런스의 SuperCam, Mastcam-Z, MEDA 등 첨단 과학 장비를 활용해 모래 알갱이 크기와 화학적 조성, 소금 껍질 여부 등을 계산·측정했다. 현대 화성 환경과 메가리플의 역할 NASA 공식 블로그, ScitechDaily, Mirage News, Journal of Geophysical의 연구발표와 보도에 따르면, NASA 연구진은 "화성에서 과거는 암석에 새겨져 있지만 현재는 모래에 기록되고 있다"며, 커라구나 메가리플은 작은 리플과 거대한 모래 언덕 사이에 위치한 중간 규모의 지형으로, 간격은 5~40미터에 이른다고 밝혔다. 퍼서비어런스가 현장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이미지는 이 모래언덕이 먼지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하버드 천문학자들이 천체속의 '작은 빨간 점'의 미스터리를 해결했다. 하버드와 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소의 천문학자들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관측으로 새롭게 발견된 우주의 미스터리 ‘작은 빨간 점’(Little Red Dots)이 최초의 블랙홀 형성과 초기 은하 진화에 중요한 단서를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25년 8월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실렸으며, 전체 암흑물질 구조 중 극히 드물고 느리게 회전하는 1%의 암흑물질 헤일로(halo)에서 이처럼 조밀하고 강렬한 빛을 내는 초기 은하들이 형성되었음을 이론적으로 제시했다. 드문 우주 환경의 산물: 느리게 회전하는 암흑물질 헤일로 Live Science, cfa.harvard.edu, ScienceDaily, Phys.org, Universe Today, Science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주요 연구자인 파비오 파쿠치와 아브라함 로브는 이 작은 빨간 점 은하들이 기존의 일반적인 은하 형성 모형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매우 특이한 환경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암흑물질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NASA가 오는 9월 22일 휴스턴 존슨 우주센터에서 2025년 신규 우주비행사 후보생 명단을 공개하며, 50여 년 만에 첫 유인 달 비행 임무인 아르테미스 II(Artemis II)에 대한 상세 브리핑도 함께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달 복귀와 화성 탐사를 향한 미국 우주개발의 중대한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NASA, SPACE & DEFENSE, Inspenet, Space.com, AmericaSpace, SpacePolicyOnline에 따르면, NASA는 8000건 이상의 지원서 중 엄선된 후보생들의 모습을 공개하며, 이들은 약 2년간의 집중 훈련을 거친 후 지구 저궤도, 달, 그리고 화성 탐사 임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행사는 NASA+,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NASA 공식 유튜브 채널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생중계된다. 아르테미스 II, 2026년 2~4월 발사 목표…달 주회 10일 임무 착수 예정 아르테미스 II 임무는 현재 2026년 4월까지 발사를 목표로 하며, 최적 시나리오에서는 2월 조기 발사 가능성도 열려 있다. NASA 측은 “안전 최우선 원칙 하에 SLS(스페이스 런치 시스템) 로켓과 오리온 우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NASA와 스페이스X는 오는 8월 24일(미 동부시간 오전 2시 45분),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팰컨9 로켓을 이용해 33번째 상업용 화물 보급 임무를 수행할 드래곤 우주선을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발사할 예정이다. NASA, SpaceX, ISS National Lab, Wake Forest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Red Hat, Mayo Clinic에 따르면, 이번 임무는 5000파운드(약 2.27톤)가 넘는 과학 실험과 보급품을 실어 나르며, 특히 재생 의학, 우주 컴퓨팅, 그리고 뼈 건강 연구를 진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과학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가장 주목되는 실험으로는 웨이크 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Wake Forest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의 미소중력 상태에서 혈관을 포함한 바이오프린팅 간 조직의 성장 연구가 있다. NASA가 주도한 혈관 조직 챌린지(Vascular Tissue Challenge)의 일환으로, 우주 환경이 인체 조직의 미세구조와 기능을 개선해 미래 장기 이식 기술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을 탐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