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이슈&논란] 신세계 정용진, LA 저택 매각…경영승계·美 사업확장·한미 정부 가교 시나리오 ‘주목’

LA 부동산 투자 ‘대박’…3년 6개월 만에 67억원 차익 실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미국 LA 베버리힐스에 보유하던 고급 주택을 올해 3월 2400만 달러(약 330억원)에 매각하며 4년여 만에 67억원(485만 달러)의 차익을 실현했다.

 

정 회장이 매입한 저택의 주소는 ‘813 노스 알파인 드라이브, 베버리힐스 캘리포니아’로, 대지가 0.5에이커로 600평, 건평이 1만1000스퀘어피트로 310평에 달한다.

 

2021년 10월 인도네시아 석탄광산 재벌 안 시난타로부터 1915만 달러(약 263억원)에 매입한 것으로, 매입 후 3년 6개월 만에 약 2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정 회장은 이 주택을 전액 현금으로 구입한 것으로 알려져, 대출 부담 없이 순수익을 확보했다는 점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신세계그룹 경영승계, ‘정용진·정유경 분리체제’…계열분리 공식화, 공정위 친족독립경영 신청 예정


이번 매각은 신세계그룹의 경영 승계가 사실상 마무리되는 시점과 맞물려 있다. 올해 5월 이명희 총괄회장이 신세계 지분 10.21%(약 1556억원)를 딸 정유경 회장에게 증여하면서, 정용진 회장은 이마트·SSG닷컴 등 유통 사업 총괄, 정유경 회장은 신세계백화점·면세점 등 럭셔리 사업 주력으로 각자 사업부문을 완전히 분리해 독립 경영 체제를 구축했다.

 

이에 따라 정 회장이 확보한 현금 자산이 향후 이마트와 SSG닷컴 등 유통·물류 사업의 재투자, 혹은 추가 해외사업 확장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사업 확장·K-푸드 전략…PK리테일홀딩스의 미래


정 회장의 LA 주택 매입과 매각은 단순한 자산 투자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마트는 2018년 미국 굿푸드홀딩스(3074억원 인수)를 통해 PK리테일홀딩스를 설립, 미국 유통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PK리테일홀딩스는 브리스톨팜스, 메트로폴리탄마켓, 레이지에이커스 등 5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3년 1~3분기 매출 1조4428억원에서 2024년 1~3분기 1조6059억원으로 11.3% 성장했다. 다만, 2024년 1~3분기 순손실은 104억원으로 수익성 개선이 과제로 남아 있다.

 

최근 PK리테일홀딩스는 K-푸드 비중을 확대하며 미국 내 한류 열풍에 편승, 브랜드 정체성 변화와 함께 공격적인 마케팅을 전개 중이다. 정 회장이 LA 주택 매각으로 확보한 현금이 미국 내 추가 인수합병(M&A)이나 현지화 전략 강화에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향후 행보 관심…로컬 넘어 ‘글로벌 유통 공룡’ 도약 위한 실탄 마련


정용진 회장의 LA 주택 매각은 단순한 부동산 투자 성공을 넘어, 신세계그룹 경영승계와 글로벌 사업 확장이라는 두 축에서 전략적 의미를 가진다. 확보한 현금 자산이 이마트의 미국 사업 강화, K-푸드 중심의 신사업 진출 등 향후 행보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업계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 회장이 이번 거래로 확보한 현금은 미국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향후 미국 사업 확장 및 그룹 경영 전략에 중요한 실탄이 될 전망이다”고 평가했다.

 

美 트럼프 행정부와 이재명 정부 가교역할 '관심'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 장남의 절친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월 20일 트럼프대통령 취임식 날 열린 최고위층 무도회에 참석할 정도의 끈끈한 사이다.

 

게다가 정 회장은 트럼프대통령 취임 전에 플로리다 주 마라라고리조트를 방문, 트럼프대통령과 면담도 했다. 지난 4월 29일 트럼프대통령의 장남 트럼프주니어의 방한을 주선하고, 방한당일 밤 단독 만찬까지 어렌지할 정도로 현재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가장 가까운 사이의 재계인사로 알려져 있다.

 

이 친분이 오히려 과거 민주당과 껄끄러웠던 관계회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한국 이재명 정부와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의 가교역할을 정용진 회장이 할 것이란 전망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모건스탠리 "삼성전자 목표가 11만1000원 상향"…인공지능 수요확대·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월가의 대표적인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2025년 10월 10일,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14% 상향한 11만1000원으로 발표했다. 이는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와 메모리 반도체 D램 및 낸드플래시 시장의 회복과 공급 부족 전망에 따른 것이다. 해당 목표가는 삼성전자가 앞으로 약 18% 주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모건스탠리 분석에 따르면 AI 산업의 확대로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이 활발해지면서 D램과 낸드플래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지배력을 갖추고 있는데, 특히 범용 D램과 낸드플래시 공급이 부족해 가격이 상승, ‘슈퍼사이클’ 진입을 예상한다. 2025년 10월 10일 기준 삼성전자의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6.7%상승한 9만4400원을 기록했다. 국내 증권사들도 이 같은 추세에 힘입어 목표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삼성전자 목표가를 11만5000원으로 설정하며 메모리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른 2026년 이후 실적 기대감을 강조했다. 이는 AI 관련 반도체 수요뿐 아니라 기존 스토리지 수요가 낸드플래시 SSD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2025년

[The Numbers] 프랜차이즈 본사매출 11% '쑥' vs 가맹점 –7.6% '쏙'…본사-가맹점‘성장 불균형’심화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주요 프랜차이즈업계의 ‘성장 불균형’이 한층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인 2022년부터 지난해 까지 가맹본사 매출액이 10.8% 증가하는 동안 가맹점들의 평균 매출액은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식, 치킨, 피자, 편의점 업종에서 가맹점수는 증가하는데 점포당 매출액은 감소하는 시장 포화의 전형적 문제를 드러냈다. 10월 10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 시스템과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프랜차이즈 대표격인 커피, 치킨, 피자, 편의점, 제과제빵, 외식, 화장품 등 7개 업종의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3년치 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해당 조사는 코로나 팬데믹이 종료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비교가능한 프랜차이즈 115개 가맹본부에 속한 9만2885개 가맹점들의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 본사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 국내 대표 7개 업종 프랜차이즈 가맹점수는 2022년 8만7108개에서 지난해 9만2885개로 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은 3억2723만원에서 3억248만원으로 -7.6% 감소했다. 이 기간 가맹

유럽연합 최초 ‘김치의 날’ 제정…대상·AMA협회·SF글로벌라이즈, 3개 기관 공동 추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대상이 AMA협회(Association Mes Amis), SF글로벌라이즈와 함께 프랑스 파리15시 '김치의 날' 공식 제정이라는 역사적 성과를 거뒀다고 10일 밝혔다. 유럽연합(EU) 공공기관 차원에서 ‘김치의 날’을 공식 기념일로 제정한 최초 사례로, 유럽 내 김치 확산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제정은 대상을 비롯한 3개 기관이 프랑스 파리15시청 국제협력기관에 공동으로 제정안을 발의하면서 본격 추진됐으며, 파리15시의회에서 만장일치로 결의안을 승인하면서 매년 11월 22일이 ‘김치의 날’로 공식 지정됐다. 김치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문화적·영양학적·산업적 가치를 포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대상은 이번 김치의 날 제정에서 민·관·기업 협력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김치의 문화적·산업적 가치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특히 AMA협회 및 현지 행정기관, 교육·공공기관 등과 긴밀히 협력해 김치의 우수성과 한국 전통 발효식품으로서의 가치를 홍보하고, 김치 요리대회, 김장 버무림 행사 등 다양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지원해왔다. 이와 관련해 지난 10월 4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15시청 대광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