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조금동두천 5.3℃
  • 맑음강릉 11.2℃
  • 구름많음서울 4.6℃
  • 구름조금대전 8.4℃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1.3℃
  • 구름많음광주 9.3℃
  • 구름많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9.5℃
  • 흐림제주 12.1℃
  • 구름조금강화 4.5℃
  • 맑음보은 7.0℃
  • 맑음금산 8.8℃
  • 흐림강진군 10.0℃
  • 구름많음경주시 10.4℃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역대 최대 '우주 3D 지도' 완성…우주 암흑 에너지 비밀 푼다

국제 프로젝트 ‘DESI’, 110억 광년 떨어진 우주까지 관측
우주 팽창 가속화하는 암흑 에너지 정체 밝힐 실마리

국제 프로젝트 'DESI' 연구진이 만든 우주의 3차원 지도. 확대된 부분을 보면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기본 구조를 볼 수 있다. [클레어 램먼(Claire Lamman), 암흑에너지분광장비(DESI)]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우주 전체 에너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흑 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실마리가 나와 주목된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버클리국립연구소(LBNL)는 4일(현지시간) 열린 미국물리학회에서 ‘암흑에너지분광장비(DESI)’가 첫 성과를 발표했다. DESI는 전 세계 약 70개 기관의 연구자 900명이 참여한 대규모 국제 프로젝트다. 

 

이 자리에서 암흑 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개발된 사상 최대 규모의 우주 3차원 지도가 공개됐다. 우주 지도는 기존 우주론에 의문을 제기하며 우리가 우주의 진화 과정에 대해 더 알게 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우주론인 '람다 CDM(차가운 암흑물질)'에 따르면 우주에는 물질과 암흑물질, 암흑에너지가 존재한다. 이 중 우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물질은 5%에 불과하며, 나머지 70%는 암흑 에너지, 25%는 빛을 내지 않는 암흑 물질이라고 과학자들은 보고 있다. 물질과 암흑 물질은 우주의 팽창 속도를 늦추고 암흑에너지는 우주 팽창을 가속한다.

 

하지만 계속해서 팽창하는 우주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암흑 에너지의 실체는 밝혀지지 않았다.

 

DESI 연구팀은 미국 애리조나주의 산꼭대기인 '키트피크'에 위치한 작은 망원경 5000개로 최대 110억 광년까지 떨어진 은하를 관측해 3D 우주 지도를 만들며 암흑에너지의 분포를 확인했다. 20분마다 5000개의 새로운 은하를 관측해 매일 밤마다 총 10만 개 이상의 은하를 관측한 수준이다.

 

연구진은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우주는 원자보다 더 작은 수소나 헬륨 핵 같은 입자들로 이뤄져 있었다"며 "원자와 같은 안정한 물질을 형성하기에는 뜨겁고 밀도가 높은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우주에 퍼진 작은 입자들은 연못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일듯 우주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일종의 흐름을 갖는다. 연구진은 이를 측정해 우주가 얼마나 빨리 팽창했는지 파악한 뒤, 암흑 에너지가 우주 팽창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예측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아직 데이터에 대해 이해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해야 새로운 우주 모델을 만들어야 할 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DESI 프로젝트는 암흑 에너지를 관찰할 뿐 아니라 우주가 얼마나 빨리 팽창하는지 측정하는 ‘허블 상수’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입자인 ‘중성미자’도 추적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