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7.8℃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4℃
  • 연무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8.5℃
  • 맑음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2.5℃
  • 구름많음보은 6.2℃
  • 구름많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11.4℃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금융그룹 자산규모 순위 TOP11…KB·신한·하나·농협·우리·BNK·미래에셋·메리츠·한투·IM·JB 順

국내 11개 금융그룹 자산 10년 새 2배로 증가…KB금융 1위
금융그룹 11곳 자산규모 10년 새 2배로 늘어 4천조원 육박
KB금융, 760조원…금융그룹 중 규모·증가폭 ‘1위’
메리츠금융·한국투자금융, M&A 없이 80조원 이상 자산증가 달성
CEO스코어, 금융그룹 11곳 2014-2024년 자산 변화 추이 조사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11개 주요 금융그룹의 자산규모가 지난 10년 새 2배로 증가하며 40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5대 금융그룹의 자산규모가 3229조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증권계가 373조원, 지방금융그룹이 324조원이었다.

 

금융그룹 중 자산규모 1위는 KB금융그룹(이하 KB금융)이었고, 10년 새 가장 크게 성장한 곳도 KB금융이었다.

 

7월 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지난 2014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국내 주요 금융그룹 11곳의 자산(개별보고서 기준) 추이를 조사한 결과, 이들의 자산규모는 1865조968억원에서 3926조6958억원으로 110.5% 성장했다.

 

2015년 2043조2042억원으로 2000조원을 돌파한 후, 5년 뒤인 2020년에 3000조원을 넘어섰고, 다시 5년 뒤인 올해 4000조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5대 금융그룹의 자산규모는 KB금융이 760조864억원으로 1등이고, 신한금융(724조4099억원)이 2등, 하나금융(639조2473억원)이 3등이었다. 4,5위는 농협금융(577조3118억원)과 우리금융(528조3014억원)이 차지했다.

 

 

자산증가율 면에서도 KB금융은 134.9%로 가장 컸고, 신한금융(108.6%), 우리금융(100.9%), 하나금융(98.4%), 농협금융(72.4%)이 그 뒤를 이었다.

 

10년 전 3위였던 KB금융이 1위로 올라섰고, 1위였던 신한금융은 2위로 밀려났다. 4위였던 하나금융은 3위로 올라섰고, 2위였던 농협금융은 4위로 물러났다. 우리금융은 10년 전과 현재 모두 5위에 머물렀다.

 

각 금융사들은 지난 10년간 인수합병(M&A)를 통해 몸집을 늘리고 사업 분야를 다각화했다. KB금융은 지난 2015년 LIG손해보험, 2016년 현대증권, 2020년 푸르덴셜생명보험을 인수했다. 신한금융은 2019년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을 인수했다.

 

우리금융도 2019년 국제신탁·동양자산운용·에이비엘글로벌자산운용을, 2020년 아주캐피탈·아주저축은행, 2023년 다올인베스트먼트, 2024년 한국포스증권을 각각 인수했으며, 하나금융은 2020년 더케이손해보험을 인수했다.

 

증권 계열 금융그룹 3곳(메리츠·한국투자·미래에셋금융) 역시 각각 80조원 이상씩 자산을 불렸다. 특히 메리츠금융과 한국투자금융은 지난 10년간 별도의 M&A 없이도 자산을 불리는 데 성공했다.

 

 

특히 메리츠금융은 10년간 자산 증가율이 336.5%에 달해 조사 대상 11개 금융그룹 중 가장 높았다. 미래에셋금융은 2016년 대우증권, 2017년 피씨에이생명보험을 각각 인수했다.

 

지난 10년간 자산 증가율은 메리츠금융이 336.5%로 가장 컸고, 한국투자금융(292.9%), 미래에셋금융(185.1%)이 그 뒤를 이었다.

 

지방금융그룹 3곳의 지난해 자산규모는 BNK금융이 158조1204억원으로 가장 컸고, iM금융(97조8767억원)과 JB금융(68조2780억원)이 2,3위였다. 지난 10년 새 자산 증가율은 iM금융이 125.2%로 가장 컸고, JB금융(85.3%), BNK금융(79.3%)이 그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농협금융은 경제지주와 중앙회 계열사를 빼고 계산했다. 특수목적법인(SPC) 역시 이번 조사에서 제외했으며, iM금융은 당시 DGB금융 수치를 기반으로 조사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비가오나 눈이오나" 지하 바로 연결되는 ‘직통 역세권’ 프리미엄 '쑥'…반포 래미안 '트리니원’ 등 분양지역 '솔깃'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단지 출입문을 나서면 곧바로 지하철로 연결되는 ‘직통 역세권’ 아파트가 부동산 시장의 프리미엄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동 편의성이 주거 선택의 최우선 가치로 자리 잡으면서, 단지와 역을 잇는 ‘문 밖이 곧 역’ 구조가 입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예전에는 ‘도보 10분 이내’면 역세권이라 불렸지만, 최근 수요자들은 비나 눈이 오는 날에도 우산 없이 이동 가능한 ‘직통 연결’ 단지를 선호하는 추세다. 지하통로나 브리지를 통해 역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단지는 출퇴근 효율은 물론, 보행 안전성과 쾌적성까지 갖춰 주거 만족도가 높다. 실제로 이러한 단지는 이동 시간뿐 아니라 생활 동선의 질까지 향상시키며, 자산 가치 측면에서도 꾸준히 프리미엄을 형성하고 있다. 직통 역세권 단지의 장점은 단순한 교통 접근성에 그치지 않는다. 단지와 역이 맞닿은 구조상 유동 인구가 많아 상업시설이 활성화되고, 대형마트·병원·문화센터 등 생활 인프라가 함께 들어서는 경우가 많다. 입주민 입장에서는 외부 이동 없이 쇼핑·여가·의료 등 일상 기능을 한 공간에서 해결할 수 있어 교통과 생활의 가치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

유진홈센터, ‘에이스하드웨어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 공식 획득…세계 70개국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중 최초 획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 계열 유진홈센터(대표이사 유순태)가 미국 에이스하드웨어(Ace Hardware) 본사로부터 PL(Private Label, 자체상표)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공식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전 세계 70여 개국의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가운데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유진홈센터가 최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유진홈센터는 에이스하드웨어 브랜드 제품을 기획, 생산, 유통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모델을 구축하게 됐다. 양사는 에이스하드웨어 PL 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해 에이스하드웨어 매장뿐 아니라 국내 도매 채널까지 공급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데일 페넬(Dale Fennel) 에이스 인터내셔널(ACE International) 사장은 유진홈센터의 뛰어난 브랜드 개발 역량과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유진홈센터의 공구부터 라이프스타일에 이르는 전 제품군의 높은 기획 수준을 언급하며, 향후 ACE와 유진홈센터 간의 협력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특히 유진홈센터의 자체 브랜드 ‘SEE’에 대해선 “누구나 구매하고 싶을 정도로 상품력이 뛰어나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