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지구칼럼]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상어, 50년 만에 파푸아뉴기니 해역 재발견…"미세고유종, 긴급 보존전략 절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상어 종 중 하나인 돛등사냥상어(Gogolia filewoodi)가 50년 만에 파푸아뉴기니 북부 아스트롤라베 만 인근 해역에서 재발견되며 해양생물학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1970년 고골강 하구 인근에서 임신한 암컷 한 마리가 채집된 이후 단 한 번도 공식 관찰되지 않았던 이 종은, 2020년과 2022년 WWF(세계자연기금) 및 현지 어촌 공동체와 협업해 실시한 조사에서 다섯 마리 암컷과 한 마리 수컷 총 6마리가 포착됐다. 이 발견은 《Journal of Fish Biology》에 보고됐다.

 

New Scientist, Forbes, The Independent, Earth.com 등의 보도에 따르면, 돛등사냥상어는 긴 첫 번째 등지느러미가 돋보이는 독특한 생물학적 특징을 지니며, 삼송곳니상어과에 속하는 유일한 속인 Gogolia에 속하는 특이종으로, 파푸아뉴기니에 국한된 미세고유종(micro-endemic)으로 여겨진다. 기존 국내외 해양조사 및 연구에도 불구하고 50년간 자취를 감추었으며, 이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등 인근 지역까지 분포가 확장됐을 가능성은 있으나 명확하지 않다.

 

재발견된 개체들은 2020년 3월 빌빌 마을 어부들이 고골강 하구 해저 약 80미터 수심에서 조업하며 잡은 것으로, 대부분 보리멸(Sciaenidae) 낚시에 부수어획된 상태였다. 특히 새로 확인된 수컷 표본은 2022년 기록되면서 종의 번식 및 생물학적 이해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다.

 

돛등사냥상어 치명적인 위협으로는 증가하는 어획량과 특히 보리멸의 부가가치 상품인 어부래(魚膠) 무역에서 오는 간접적 어획 압력이 꼽히며, 상어의 육류와 지느러미는 특정 시장 가치가 낮아 큰 어획 대상은 아니지만 서식지 내 인위적 충격에 취약한 점이 문제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이 종을 '자료 부족(data deficient)'으로 분류, 충분한 표본과 생태정보 부재로 보전상태 평가가 어렵다고 밝혔다.

 

하지만 연구진들은 제한된 지리적 분포와 미세고유성이 자칫 향후 어업 활동 확대로 인한 개체군 감소 위험을 크게 높인다고 경고한다. 실제로 2010~2014년 파푸아뉴기니 전역에서 진행된 대규모 해양생물 다양성 조사는 새로 여러 상어 및 가오리 종을 확인했으나 돛등사냥상어는 포착하지 못했다.

 

이번 발견은 WWF가 시민과학 접근법으로 지역 어부들과 협력해 어획 내역을 체계적으로 수집한 결과로, 현지 공동체의 참여와 전통 어로 지식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향후 돛등사냥상어의 진화적 유전적 연구 및 개체군 모니터링이 강화되어야 하며, 지역 생태계 보호와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 정책 수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재발견 자체는 희망적이지만, 미세고유종인 만큼 그 서식지 보전과 어획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수명이 얼마나 되는지, 번식률은 어떤지 등 기본적인 생태학적 연구가 시급하며, 어획 압력에 취약한 종의 특성상 체계적인 보호 전략 마련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돛등사냥상어의 이번 재발견은 바다의 미지와 신비를 다시 한 번 상기시키며, 파푸아뉴기니 해역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공간혁신] "국내 최대 규모" 태평염전, 소금 장인 위한 ‘쉼터 휴게실’ 열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제적 환경 보호 지역에서 염전을 운영하는 태평염전이 임차 생산자인 소금 장인과 생산 근로자들을 위한 ‘쉼터 휴게실’을 신규 개소하며, 염전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과 복지환경 확대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번 쉼터 개소는 태평염전이 수년간 이어온 복지 인프라 확대 노력의 일환이다. 쉼터 휴게실은 총 3개소로 작업장 인근에 위치해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주로 여름철(6월~9월) 시기에 집중되는 계절성 작업의 특성을 고려해 내부 시설을 조성했다. 쉼터 내부는 에어컨, 냉장고, 휴게용 의자를 비롯해 비상용 전화기와 관내 연락처 안내문, 혹서기 건강관리 요령 안내문 등을 비치하여 작업 환경의 안전과 편의성을 강화했다. 이번 쉼터 조성은 기존에 무상 제공되던 사택이 이전되면서 확보된 공간을 적극 활용한 사례이다. 태평염전은 다년간 함께해온 염전 장인들이 안정적으로 소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왔으며, 사택 무상 지원을 통해 주거 편의성과 작업 접근성을 높여왔다. 매년 사택 개보수는 물론 22년에는 약 10억원을 투입해 총 9동 규모의 사택 신축 공사를 진행하여 보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제공했다. 아울

[공간사회학] 꿀벌, 안정적 벌집 짓는 기발한 건축 전략 3가지…"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숙련된 건축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꿀벌이 불규칙한 건축 기반 위에서도 안정적인 벌집을 짓기 위해 최소 세 가지 독창적 건축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꿀벌이 단순히 ‘본능에 의한 건축 기계’가 아니라 복잡한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숙련된 건축가임을 재조명하는 성과로, 공학 분야에서 생체모방 설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The Scientist, EurekAlert의 보도와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 연구팀이 8월 26일 과학 저널 PLOS Biology를 통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꿀벌들에게 꿀벌이 선호하는 크기와 차이가 나는 3D 프린트 플라스틱 기반판을 제공하고, X선 현미경 영상으로 벌집 속 건축 과정을 실시간 관찰했다. 그 결과, 꿀벌들은 ▲너무 작은 셀은 다수의 셀을 합쳐 적절한 크기로 조정하고 ▲너무 큰 셀은 벌집 벽을 경사지게 지어 개구부를 축소하면서 저장 깊이를 유지하며 ▲매우 큰 셀에는 기존 크기의 벌집을 새로운 층으로 쌓아 올리는 ‘겹층 쌓기’ 전략을 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꿀벌들은 3차원적 배열까지 구현하며 놀라운 적응력을 보였다. 공동 교신 저자인 프란시스코 로페즈 히메네즈는 "우리가 제공한 3D 프린팅 기반

[랭킹연구소] Z세대가 가장 살고 싶은 도시 TOP10, 1위는 ‘방콕’…2~5위, 멜버른·케이프타운·뉴욕·코펜하겐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전세계 Z세대(1997~2012년 출생자)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는 도시 1위로 태국의 수도 방콕이 선정됐다. CNBC, CNN, 인디언익스프레스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여행잡지 타임아웃(Time Out)이 지난 2025년 8월 전세계 1만8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 최고 도시’ 설문조사에서 방콕은 행복도와 저렴한 물가 부문에서 압도적인 점수를 받으면서 1위를 차지했다. 84%의 응답자들이 방콕에서의 생활에 행복감을 표했고, 71%는 생활비 부담이 적은 ‘가성비 좋은 도시’로 꼽았다. 1인당 월 생활비(주거비 제외)는 약 617달러(태국 바트 약 2만141바트선)로 다른 글로벌 대도시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2위는 호주의 멜버른으로, 77%가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게 평가하며, 96%는 예술과 문화 수준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이 도시는 삶의 질에서도 91%가 ‘좋거나 훌륭하다’고 평가했다. 3위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으로, 82%의 행복 지수와 저렴한 야간 외출 비용(76%)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케이프타운은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풍부한 음식 문화, 활기찬 밤문화로 Z세대의 큰 호응을 얻었다. 4위는 미국 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