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6.3℃
기상청 제공

월드

종이빨대의 배신…"플라스틱만큼 환경에 유해"

스타벅스 한국프레스센터점에서 모델들이 종이빨대를 소개하고 있다. [스타벅스커피코리아]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만큼이나 인체나 환경에 유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5일(현지시간) 독일 dpa 통신에 따르면 벨기에 연구진은 자국에서 유통되는 39개 친환경 빨대 브랜드 제품을 상대로 과불화화합물(PFAS) 함유 여부를 검사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이들 39개 브랜드 중 무려 27개(69%)에서 PFAS를 검출했다고 밝혔다.

 

특히 종이 빨대는 20개 제품 중 무려 18개(90%)에서 PFAS가 나왔다. 즉  쉽게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 빨대의 대체재로 쓰이는 종이 빨대가 환경보호의 대안이 아니란 것을 보여줬다. 플라스틱 빨대는 조사 대상 제품 중 70%에서만 동일 화학물질이 검출됐다. 대나무 빨대의 검출률은 80%, 유리 빨대의 검출률은 40%였다.

 

조사 대상이 된 모든 빨대 제품의 PFAS 농도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1g당 2ng(나노그램 ‧1ng은 10억분의 1g) 이하로 검출됐다. 성분의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최소한의 농도인 정량 한계(LOQ)를 밑도는 수준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소량의 PFAS는 그 자체로 해롭지는 않지만, 체내에 존재하는 부정적인 화학적 작용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빨대 제품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PFAS가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를 이끈 그로펜 연구원은 "많은 기업들이 종이빨대, 대나무빨대처럼 식물성 재료로 만든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보다 더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이라 광고한다"면서 "하지만 PFAS가 검출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광고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과불화화합물(PFAS)은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릴 정도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인체에서도 잘 배출되지 않아 최근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탄소와 불소가 매우 강하게 결합돼 자연적으로는 잘 분해되지 않는 데다 유해성도 심각해 세계 각국이 앞다퉈 규제를 추진 중인 물질이다. 심지어 유럽연합(EU)은 PFAS 전면 사용 제한까지 심각하게 검토할 정도다.

 

티모 그로핀 벨기에 앤트워프대 박사후연구원 국제공동연구팀은 유럽에서는 처음이고 세계적으로는 두 번째로 진행된 이번 연구의 결과를 국제학술지 '식품첨가물과 오염물(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최신호에 게재됐다.

 

배너
배너
배너



정수기 잘못 설치해 5년간 '폐수' 마신 여성…"생리 불순·간 손상" 피해 보상 요구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배관공의 실수로 정수기를 잘못 설치해 5년 동안 폐수를 마신 여성의 건강에 이상이 생기는 일이 발생했다. 26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에 사는 여성 리우는 지난 2020년 9월 한 업체의 정수기를 집에 설치해 5년 동안 물을 마셨다. 어느 날 물맛이 이상하다고 느낀 리우는 간이 수질 측정기를 사서 정수기 물을 검사했다. 검사 결과 정수기에서 나온 물은 수돗물보다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물의 오염도를 가리키는 수치가 600으로 검사됐는데 이는 수돗물의 2배가 넘는 수치였다. 이에 정수기를 점검해 본 리우는 뒤쪽 배관이 반대로 설치된 것을 발견했다. 정수된 물은 하수도로 빠져나간 반면 정수 과정에서 나오는 일종의 폐수인 '농축수'가 수도꼭지로 나오고 있었다. 결국 리우는 지난 5년 동안 정수된 물이 아닌 폐수를 마신 셈. 그래서인지 리우는 6개월 동안 생리 불순을 겪었으며 최근 받은 검진에서는 경미한 간 손상을 진단받았다. 리우는 "많은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폐수가 내 건강을 손상시켰을 것"이라며 "하지만 폐수와 내 건강 문제 간의 인과관계를 증명할 증거가 없어 곤란하다"고 말

美 "韓 민감국가 지정" 까닭은…한국 길들이기? 삼성전자·SK하이닉스 어떤 영향?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 리스트에 포함한 것에 대해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이어 "미국 측은 동 리스트에 등재가 되더라도 한미간 공동연구 등 기술협력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DOE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이던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에 올렸지만 그 배경에 대해선 그간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현재까지 민감국가로 지정된 국가는 중국, 러시아, 시리아, 북한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을 포함한 4개국을 추가로 지정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비상이 걸렸다. 이러한 지정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 연구자들이 미국의 국립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원자력, AI, 양자 등 첨단기술 관련 연구에 참여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 국내 언론에선 미국 에너지부 결정을 두고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간 원전 기술 분쟁과 국내 핵무장론 확대, 12·3 계엄사태와 탄핵정국 등이 그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