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런던 지하철 터널에서 급격히 진화한 것으로 알려졌던 '런던 지하철 모기'(Culex pipiens form molestus)의 기원이 사실은 1000년 이상 전 고대 지중해 문명, 특히 고대 이집트에 있다는 획기적인 DNA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Science, CNN, London Natural History Museum, The Telegraph, News-Medical, Wellcome Sanger Institute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프린스턴 대학과 런던 자연사박물관, 웰컴 생거 연구소 등 전 세계 약 150개 기관의 협력으로 진행됐으며, 77개 지역에서 채집한 357마리 모기의 유전체를 분석해 도시 적응 모기 연구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기존 생물학계 교과서에 길게 자리잡았던 이 모기의 '급진적 도시 진화' 사례는 이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다. 연구책임자인 프린스턴대 린디 맥브라이드 교수는 "이 모기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지하철에 완벽히 적응해 그 곳에서 진화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우리의 유전체 분석은 수천 년 전 고대 지중해 지역에서 이미 인간과 공생하며 진화했다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적 랜드마크인 파리 에펠탑이 심각한 재정난에 빠져 ‘하얀 코끼리’ 신세가 될 위기에 놓였다. 2024년에 약 141억원(850만 유로)의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2031년까지 누적 적자가 약 513억원(3100만 유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하얀 코끼리’란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왕들이 신성하게 여긴 희귀한 흰 코끼리에서 유래된 표현이다. 이 흰 코끼리는 왕이 신하에게 선물로 줄 때, 신하는 이를 거절할 수도 팔 수도 없고, 일을 시키지도 못하는 매우 귀한 존재였다. 하지만 먹이와 관리에 막대한 비용이 드는 데다 버리면 왕권에 도전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신하는 큰 부담을 지면서도 끝까지 책임져야 했다. 결국 큰 경제적 부담만 주는 ‘처치 곤란한 애물단지’를 의미하게 됐다. 경제 및 비즈니스 용어로는 큰 투자나 비용이 소요되지만 이익을 제대로 내지 못하는 사업이나 자산, 혹은 효용이 적어 유지가 부담되는 시설 등을 가리킨다. 올림픽이나 월드컵 같은 대형 이벤트를 위해 건설됐으나 사후 활용도가 낮아 비용만 축내는 시설들이 ‘하얀 코끼리’의 대표적 사례이다. Eiffel Tower Tickets & Tours,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과학자들이 대형 고고도 공기 샤워 관측소(LHAASO)를 통해 70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우주선 스펙트럼 ‘무릎(knee)’ 현상의 정체를 밝혀냈다. Phys.org, China Daily, Global China Daily, News SSB Crack, ScienceDirect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블랙홀 마이크로퀘이사(micro-quasar)가 우리 은하 내에서 3 페타전자볼트(PeV) 이상의 초고에너지 입자를 가속시키는 강력한 엔진임을 최초로 관측적으로 입증했다. 이로써 오랜 기간 미스터리로 남았던 무릎 구조가 특정 천체현상과 밀접히 연관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LHAASO 연구팀은 SS 433, V4641 Sgr, GRS 1915+105, MAXI J1820+070, Cygnus X-1 등 다섯 개의 마이크로퀘이사에서 방출되는 초고에너지 감마선을 체계적으로 검출했다. 특히 SS 433의 경우, 이 방사선이 거대한 원자 구름과 겹치면서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가속한 양성자가 충돌하여 방출된 것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마이크로퀘이사는 쌍성계에 속한 블랙홀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해 생성되는 현상으로, 상대론적 제트(r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테크 스타트업 ‘프리벤티브(Preventive)’가 금지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을 비밀리에 시도 중이며, 투자자에는 오픈AI CEO 샘 올트먼과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Wall Street Journal, NPR, Washington Post, Genetic Literacy Project에 따르면, 이 기업은 유전 질환을 가진 한 부부의 협력 의향까지 확인했으나, CEO 루커스 해링턴은 배아 편집 임상 실험 진행 사실은 부인했다. 프리벤티브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임상 단계 진입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미국 내에서는 배아 단계 유전자 편집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프리벤티브는 규제가 완화된 아랍에미리트(UAE) 등지에서 실험을 추진 중인 정황도 공개되었다. 현재 허용된 유전자 편집은 주로 출생 이후 치료 목적이며, 정자·난자 또는 배아 단계 편집은 윤리적·과학적 문제로 전 세계적 연구 유예 요청이 나오는 상황이다. 2018년 중국 과학자 허젠쿠이의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면역 아기 편집 사건은 글로벌 충격을 줬으며, 해당 과학자는 징역형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공동 발견하며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제임스 D. 왓슨(1928~2025)이 97세의 나이로 뉴욕 이스트 노스포트의 호스피스에서 별세했다. 감염 치료 중이던 병원에서 호스피스로 옮겨진 후 지난 11월 6일 사망했으며, 아들 던컨 왓슨이 이를 공식 확인했다. 뉴욕타임즈, AP뉴스, BBC,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25세의 젊은 나이에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규명, 유전정보의 저장과 전달 원리를 밝혀내 ‘생명의 청사진’을 해독했다. 이 업적으로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모리스 윌킨스도 공동 수상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들의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X선 회절 이미지 '사진 51'은 로절린드 프랭클린과 레이먼드 고슬링이 촬영했으나,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윌킨스가 왓슨에게 제공하는 등 연구 윤리 논란도 있었다. 프랭클린은 노벨 수상 이전인 1958년에 난소암으로 요절해 사후에는 노벨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왓슨의 발견은 현대 분자생물학과 생명공학, 유전자 가위(CRISPR), 법의학 DNA 분석, 인간 게놈 프로젝트 등 광범위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로빈후드 마켓츠(Robinhood Markets, Inc.)가 2025년 S&P 500 지수 내에서 최고 성과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같은 성과는 블라드 테네브 CEO가 "역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사업"이라고 평가한 예측 시장(Prediction Markets) 사업의 폭발적인 성장 덕분이다. yahoo finance, fxnewsgroup.com, cnbc.com, morningstar.com에 따르면, 로빈후드는 2025년 3분기 매출 12억7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두 배 성장을 달성했다. 순이익은 5억56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44% 증가, 순이익률과 수익성이 크게 향상됐음을 나타냈다. 예측 시장과 암호화폐 거래가 이러한 실적 호조를 견인했다. 로빈후드는 3월 칼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예측 시장 허브(Prediction Markets Hub)를 출시한 이후 놀라운 거래량 성장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2025년 3분기에만 23억건 이상의 예측 시장 계약을 처리했으며, 10월에는 거래량이 25억건으로 신기록을 경신했다. 예측 시장은 미국 대통령 선거를 시작으로 출범한 이래 매 분기 거래량이 두 배로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서 슈링크플레이션, 즉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꼼수 인상’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며 치킨업계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특히 교촌치킨이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면서, 국내 외식업계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교촌치킨은 올해 9월 일부 순살 메뉴의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대폭 줄이면서도 가격은 변동하지 않아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주재료에 안심살을 섞은 것도 가격 인상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같은 ‘슈링크플레이션’ 행위는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았고,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 부처가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 소비자들은 교촌의 부도덕한 가격 인상 행태에 “교촌이 또 교촌했다”며 강한 불만과 배신감을 표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불매운동 움직임과 소비자 신뢰 저하로 이어져 교촌 브랜드의 시장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10월 23일 결국 순살 메뉴 중량과 주재료 구성을 원상복구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나, 이 과정에서 국민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연구진이 우유의 카제인 단백질을 활용해 매운 음식의 열(매운맛)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공 혀를 개발했다. 이 인공 혀는 ACS Sensors 최신호에 발표된 연구에서 소개됐으며, 인간 미각 테스터를 매운맛의 고통에서 보호할 수 있는 획기적 기술로 평가받는다. 우유 카제인 단백질에 착안한 센서 설계 ACS Sensors, phys.org, New York Post, Bioengineer.org, Scienceblog.com에 따르면, 연구팀은 우유가 매운맛을 자연스럽게 완화하는 과학 원리에서 착안했다. 우유 속 카제인 단백질은 매운맛 주성분인 캡사이신과 결합해 매운 자극을 둔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 특성을 활용해 아크릴산, 염화콜린, 그리고 탈지분유를 혼합한 젤을 자외선 경화시켜 유연한 혀 모양의 인공 필름을 제작했다. 이 젤 센서는 매운 성분에 노출 시 전기 전류가 감소하는 변화를 보이며, 매운 정도가 강할수록 전류 감소폭도 커진다. 정밀한 매운맛 농도 측정 및 식품 다양성 반영 이 인공 혀는 인간의 미각 감지 한계 이하의 약한 농도부터 구강 내 통증을 유발하는 고농도까지 캡사이신 농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025년 추석을 맞아 수산관계자들에게 전달한 건어물 선물세트 일부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이 포함된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해수부는 추석 전 한국수산회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 '피쉬세일'을 통해 건어물세트 270여개를 선물로 전달했으나, 이 중 6개 제품에서 유통기한이 경과한 표시가 발견됐다. 이에 대해 일부 수산관계자들이 "국가기관이 관리·감독 없이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선물로 제공하는 것은 심각한 관리 미흡"이라는 불만을 표출했다. 전재수 장관은 "한국수산회가 뭐하는 단체냐"며 강하게 질타했고, 즉각 내부 경위 파악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수산회 측은 해당 업체가 외국 국적 직원 서너 명만 둔 영세기업이며, 단순 실수로 인한 유통기한 오기였다고 해명했다. 또한 제품 자체에는 품질 문제가 없었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하지만 국내 식품위생법상(제4조 및 제5조)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판매‧배포하는 행위는 엄격하게 금지되고 있으며, 적발 시 제조업자와 판매자 모두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실제 최근 1년간(2024.10~2025.09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미국에서 1793년 처음 발행된 1센트(페니) 동전이 232년 만에 생산 종료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2025년 11월 12일 필라델피아 조폐국에서 마지막 1센트 동전이 주조됐다. 이번 결정은 생산 비용이 액면가를 크게 초과해 국가 예산 낭비라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로이터, CNN, 뉴욕타임스, Politico에 따르면, 1센트 동전은 2023년 회계연도 기준 생산 단가가 약 3.69~3.7센트에 달해, 동전 한 개를 만들 때 2.7센트 이상의 손실을 보고 있었다. 미국 조폐국에 따르면 2023년 한 해에만 45억개 이상의 페니를 생산하는 데 1억7900만 달러(약 2562억원)의 납세자 비용이 소요됐다. 연간 5600만 달러 예산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정부효율부(DOGE)가 2025년 1월 생산 중단을 공식 제안하며 비용 절감의 당위성이 부각됐다. 동전 원재료 가격 상승 및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센트의 구매력은 과거 대비 크게 하락했으며, 1978년의 5센트 가치가 현재의 1센트에 해당하는 등 실질 가치 감소가 뚜렷하다. 1센트 동전 생산 중단에도 불구하고 페니는 여전히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