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성물산 C&T 건설부문이 시니어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홈 AI 컴패니언 로봇 서비스 실증을 시작한다고 3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 서비스로봇 실증사업'에 선정되어 삼성물산, 삼성노블카운티, 로보케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된다. 홈 AI 컴패니언 로봇은 1인 또는 부부 중심 소가구 시니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3대 핵심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화를 통한 감정교류로 정서적 교감을 하는 말동무 역할, 호출응답과 IoT 기기 음성제어, 응급상황 보호자 알림 등 집사 역할, 그리고 복약 알림 및 확인, 웨어러블 기기 연동 만성질환 관리, 인지능력 향상 등 전담 간호사 역할까지 수행한다. 삼성물산은 고령화 시대에 맞춰 시니어들의 정서적 교감과 건강관리를 돕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이번 실증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실증에는 삼성노블카운티 거주 시니어 20가구와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래미안 원펜타스에 거주하는 시니어 20가구 등 총 40가구가 참여한다. 9월부터 12월까지 약 15주간 실제 생활환경에서 로봇을 사용하며 유용성과 개선점을 파악할 예정이다. 홈 AI 컴패니언 로봇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콜마홀딩스가 윤동한 회장이 제안한 신규 이사 10명 선임 주주제안을 수용하고,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한다. 이사회 제도 취지를 훼손 시킬 수 있는 주주제안이라는 점에 우려가 높지만, 상법이 정한 원칙에 따라 주주제안을 수용하여 직접 주주들의 판단을 받겠다는 것이다. 콜마홀딩스는 27일 열린 이사회에서 오는 10월 29일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시주총에서는 윤동한 회장이 주주제안으로 제출한 사내이사 8명과 사외이사 2명 등 총 10명 선임 안건이 다뤄진다. 임시추종을 위한 주주명부 기준일은 9월 17일로 확정했다. 이번 주주제안은 특정 주주가 한꺼번에 10명의 이사를 추천한다는 점에서 이사회와 제도 자체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이사회는 회사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특정 주주가 대규모로 사내이사를 추천함으로써 이사회의 독립성과 다양성을 해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려가 있는 주주제안이지만, 콜마홀딩스는 상법과 정관에 따른 준법 절차에 따 라 주주제안을 처리하기로 했다. 불필요한 법정 다툼을 최소화하고 분쟁 상황을 조기에 종식시키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A group that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the new drug 'Space Oil', popular in Hong Kong, in the form of liquid delivery cartridges to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in the Gangnam area of Seoul has been arrested en masse by the police. It was revealed that the drug in question was mainly composed of etomidate, a prescription drug with general anesthetic properties, and propoxate, also known as a "fish anesthetic," and that it was sold after mixing it with liquid tobacco in a 7:3 ratio and masking the smell with fragrance.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 코칭은 ‘뜬구름’ 같았던 그때 2015년, 처음 코칭을 공부했을 때만 해도 솔직히 실효성에 대해 믿음이 가지 않았다. 리더가 되기 위한 준비 중이었던 터라 '성과'라는 목표가 눈앞에 있었고, 후배와 차분히 대화하며 질문을 던지는 일의 방식이 사치처럼 느껴졌다. "지금 당장 처리할 일도 산더미인데, 질문할 시간이 어디 있어. 그냥 내가 답을 주고 빨리 끝내는 게 더 효율적이지." 그때의 나는 코칭을 이상적인 이론이자 현실과 동떨어진 이야기로 여겼다. ◆ 리더를 붙잡는 건 두려움이다 팀원이 "이번엔 기존 방식 대신 A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진행해 보면 어떨까요?"라고 제안했을 때, 많은 리더들이 본능적으로 말한다. "전에 비슷한 거 해봤는데 비효율적이었어. 그냥 하던 대로 하자." 겉으로는 경험에서 나온 지혜 같지만, 그 안엔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다. 조직 전체를 움직일 자신이 없고, 실패했을 때 홀로 감당해야 하는 책임이 두려워서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나이가 들수록 높은 자리에 올라갈수록 안전한 과거의 경험 뒤에 몸을 숨기곤 한다. 이럴 때 아래와 같은 코칭 질문을 던져보면 어떨까? "왜 A 방법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해? 이 과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상업용 제트기 크기에 해당하는 소행성 2025 QD8이 2025년 9월 3일(현지시간),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약 57%인 13만5465마일(약 21만8000킬로미터) 거리까지 근접하며 지구를 빠르게 통과할 예정이다. Virtual Telescope Project,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 근지구천체연구센터(CNEOS)의 발표와 Space.com, Yahoo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이 소행성의 크기는 지름 약 55피트(17미터)에서 124피트(38미터)로 추정되며, 초당 2만8000마일(약 4만5000km/h)이 넘는 속도로 이동한다. 지구나 달에 피해를 줄 위험은 전혀 없는 것으로 NASA의 궤도 분석 결과 밝혀졌다. 이 소행성 2025 QD8은 2025년 8월 26일 처음 발견되어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와 근지구천체연구센터(CNEOS)에서 이후 집중적으로 궤도를 추적해왔다. CNEOS는 근지구 천체 중에서도 이처럼 비교적 대형이면서 지구에 근접하는 천체를 엄격히 모니터링하며, 단기 및 장기 충돌 위험 가능성을 평가한다. 현재까지 2025 QD8과 관련해 지구 충돌 위험 가능성은 전무한 상태라고 공식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The reliability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weather forecasts is in serious jeopardy. The frequency of false forecasts has led to nicknames like "Guracheong" (a false forecast) and "False Forecasting Office," leading to a surge in public discontent. In particular, the common saying, "It always rains on the day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athletic meet," has gone beyond mere humor and become a symbol of the agency's declining reliability. The accuracy rate of precipitation forecasts releas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민간기업과 미국 정부가 손잡고 개발한 획기적인 AI 도구가, 핵무기 개발에 AI 챗봇이 악용되는 것을 96%의 정확도로 감지하는 데 성공했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과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가 핵안보국(NNSA, 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은 1년 넘는 협력을 거쳐, 핵 관련 대화를 정당한 연구와 위험 신호 대화로 구분하는 분류기를 공동 개발했다. Anthropic 공식 블로그를 비롯해 FedScoop, The Hill, The Register, Axios, VKTR, FirstPost, SIPRI, Frontier Model Forum 등의 자료와 보도를 취합한 바에 따르면, 이 분류기는 AI 챗봇 클로드(Claude) 내에서 이미 실시간으로 동작 중이며, 핵무기 관련 위험 대화를 정확히 감별해 낸다. 앤트로픽은 300개 이상의 합성 테스트 문장을 통해 성능을 검증했는데, 핵무기 관련 질문을 94.8% 정확히 감지했고, 정상적인 연구 대화를 오탐하지 않는 데 100% 성공했다. 결과적으로 전체 정확도는 96.2%에 달한다. 정부와 민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K-방산이 유럽과 중동 시장에서 현지 영업망을 강화하기 위해 최근 현지법인과 사무소를 잇따라 설립하며 해외 진출 교두보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글로벌 안보 위기 심화에 따른 무기 수요 급증에 대응해 현지 밀착 전략으로 대규모 추가 수주를 노리는 모습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025년 6월 폴란드에 유럽법인을 설립했다. 이 법인은 KAI의 전략 자산 수출 지원과 품질 보증 업무를 전담하며, 폴란드뿐 아니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전역에 대한 마케팅과 현지 고객 대응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았다. KAI는 기존에도 폴란드와 프랑스에 별도 사무소를 운영해오며 유럽 시장 공략을 확대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5년 하반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을 총괄하는 법인을 본격 가동한다. 이 법인은 기존에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에 둔 사무소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며, 연구개발(R&D), 전략 및 정부 협력 분야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한화는 폴란드에서는 약 6000억원을 투자해 현지 방산업체 WB그룹과 조인트벤처(JV)를 설립, 다연장 로켓 ‘천무’에 탑재되는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18세 청년 잭 야데가리(Zach Yadegari)가 인공지능(AI) 기반 칼로리 계산 앱 ‘칼 AI(Cal AI)’를 개발, 월 140만 달러(약 19억5000만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 세계 스타트업 업계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CNBC, TechCrunch, Hindustan Times에 따르면, 칼 AI는 사용자 음식 사진을 AI가 자동 분석해 칼로리를 계산해준다. 이 앱은 2024년 5월 출시 이후 2025년 7월 기준 누적 다운로드 830만건을 넘어서며 업계에 빠르게 안착했다. 월 구독료는 2.49달러, 연간 구독료는 29.99달러로 책정돼 있으며, 앱스토어 수수료를 제외한 월 순익은 약 140만 달러에 달한다. 개발 배경: 단순한 문제의식에서 시작 야데가리는 뉴욕주 로즐린의 부모 집에서 고교 시절 앱 개발을 시작했다. “학교 여학생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운동을 시작했는데, 기존 칼로리 추적 앱들이 불편해 직접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후 헤리 랭맥, 블레이크 앤더슨, 제이크 카스틸로 등 코딩 캠프와 소셜미디어로 만난 동료들과 본격 개발에 착수했다. 아이디어는 7살 코딩캠프 경험을 바탕으로, 유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