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과학자들이 남극의 빙상 아래 숨겨진 세계를 발견했다. 이는 연구자들이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발견으로 평가받는다. 최근 바르셀로나대학교와 코크대학교 공동 연구진이 남극 대륙 주변 해저에서 이전에 확인되지 않았던 332개의 광대한 해저 협곡을 발견해, 해수면 상승과 기후 변화 예측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들 협곡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5배 많은 수로, 깊이가 4000미터가 넘는 것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어, 해양과 빙하 역학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숨겨진 대륙’으로 평가받는다. 이 새로운 연구는 Marine Geology에 발표됐다. 해저 협곡, 해양 역학과 생태계 핵심 축 Current events, The Daily Galaxy, sciencedirect, IFLScience, Discover Magazine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견의 핵심은 해저 협곡들이 마치 심해 속 ‘고속도로’처럼 대륙붕과 심해 사이에서 퇴적물과 영양분, 다양한 수괴를 운반한다는 점이다. 특히 동남극 지역의 복잡하고 여러 갈래로 분지된 U자형 협곡들은 수백만 년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8월, 이더리움(ETH)이 중앙화 거래소 현물 거래량에서 비트코인(BTC)을 처음으로 앞서며 암호화폐 시장에서 7년 만에 중요한 변곡점을 맞았다. Cointribune, Binance, Bloomingbit, Panewslab, Coindesk, BeInCrypto 등 복수 해외 매체와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8월 한 달간 이더리움의 거래량은 약 4800억 달러로 비트코인 4010억 달러를 20% 이상 상회했다. 이는 과거 비트코인이 압도적 우위를 점해온 현물 거래 부문에서의 극적인 판도 변화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러한 변화는 비트코인이 역사적으로 거래 활동에서 우위를 유지해왔던 점에도 불구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역학 구조에 잠재적인 전환점을 암시한다. 특히 이번 거래량 급증은 공격적인 기업 재무 축적과 ETF를 중심으로 한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주도했다. Fundstrat의 Tom Lee가 이끄는 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는 약 81억 달러 규모, 187만 ETH를 보유해 단일 기업 최대 이더리움 보유자로 떠올랐다. SharpLink Gaming 역시 8월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대기업에서 덜 뽑고 덜 나가는 고용 경직성이 심화됐다. 경기 침체와 업황 부진 속에 신규 채용은 크게 줄고, 기존 인력은 이직이나 퇴사 대신 자리를 지키면서 나타난 결과다. 이에 따라 조직 내 인력 순환이 더뎌지는 ‘고용 정체’ 현상이 더 뚜렷해졌다. 8월 26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500대 기업 가운데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한 152개사 중 신규 채용 및 퇴직 인원을 공개한 기업의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전체 신규 채용 인원은 15만4266명으로 전년보다 12.0%(2만998명) 줄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29.9%(6만5784명) 감소한 수치다. 같은해 퇴직자는 6만9354명으로 전년 대비 12.0%, 2년 전과 비교하면 8.7% 줄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지난해보다 53곳이 채용을 늘렸고 그보다 훨씬 많은 95곳이 줄였으며, 1곳은 변동이 없었다.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SDI 등의 삼성 계열사는 고용 현황을 공시하지 않아 조사에서 제외됐다. 신규 채용과 퇴직 간 격차는 2년 새 좁혀졌다. 2022년만 해도 신규 채용이 퇴직자의 2.9배에 달했으나, 2023년와 지난해는 2.2~2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한국소비자원이 국내 주요 증권사 7곳의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 앱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조사를 2025년 8월 22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KB증권의 모바일 앱 ‘M-able’이 종합 만족도 3.63점(5점 만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NH투자증권 ‘나무증권’과 미래에셋증권 ‘M-STOCK’이 나란히 3.61점으로 따랐다. 반면 키움증권 ‘영웅문S#’은 3.43점으로 7개 증권사 중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며 불명예를 안았다. 조사 항목은 앱 신뢰성, 정보 보안, 고객 대응, 가입 및 변경 편리성, 부가 서비스, 이벤트·혜택, 전반적 이용 경험 등이 포함됐다. 특히 KB증권은 수수료 및 이자 등 핵심 서비스에서 3.85점으로 최고 점수를 받았고, 이벤트·혜택 부문에서도 평균(3.54점)을 훌쩍 넘는 3.72점을 기록해 소비자 눈길을 끌었다. 반면 키움증권은 핵심 서비스 항목에서 가장 낮은 3.67점을 받았다. 소비자들이 앱 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앱 편의성·디자인’과 ‘거래 수수료’로 각각 31.4%의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거래 속도 및 안정성(13.3%), 상품과 서비스 다양성(7.9%),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2025년 8월 13일(현지시간) 연방정부의 민간 우주 발사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백악관(Whitehouse.gov)을 비롯한 Newsweek, Phys.org, ProPublica, The Hill, Mashable, PayloadSpace, FAA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행정명령은 교통부 장관에게 연방항공청(FAA)이 관리하는 로켓 발사 허가와 관련된 환경영향평가 폐지 또는 간소화를 직접 지시했으며, 발사와 재진입 차량에 대한 “노후되고 중복·과도한 규제” 또한 제거할 것을 주문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비효율적인 허가 절차가 미국 기업의 글로벌 우주시장 선도를 저해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나치게 복잡한 규제와 허가·심사 절차가 민간 우주 발사와 인프라 개발을 지연시키고, 신생 기업에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스페이스X는 2024년 한 해 130회 이상의 로켓 발사를 기록하며, NASA를 포함한 미국 내 최고 수준의 발사 실적을 보유하고 있어, 이번 규제 완화의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특히 스페이스X의 ‘스타십’ 개발은 텍사스주 보카치카 및 플로리다 LC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최근 NASA 연구진은 왜소행성 세레스가 단순한 얼음과 암석 덩어리가 아니라, 과거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었던 조건을 갖춘 ‘해양 세계’였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NASA의 공식발표, CBC, Science Advances, Sci.News등의 보도에 따르면, NASA의 우주생물학 전략 수석 과학자인 데이비드 그린스푼 박사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NASA의 Dawn(던) 미션이 관측한 세레스의 데이터를 인용하며, 지하의 방대한 염수 저장소와 유기 탄소 분자, 그리고 수십억 년 동안 지속된 화학 에너지 공급원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는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3대 요소로 평가된다. 1. 숨겨진 해양 세계의 실체 Dawn 탐사선은 세레스 표면에서 두드러진 밝고 반짝이는 얼룩들이 소금 퇴적층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이 퇴적물은 수백 마일에 걸쳐 약 40km 깊이의 거대한 염수(소금물이 섞인 물) 저장소에서 지하수가 올라와 증발하며 형성된 것으로, 2020년 후속 연구에서 확인됐다. 이러한 염수 저장소는 세레스의 오카토르 분화구 아래 저밀도 지역에 존재하며, 이는 액체 상태의 물이 여전히 일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에르누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가 텍사스 오스틴에서 시범 운영 중인 로보택시 서비스가 우버 등 기존 라이드헤일링 서비스 대비 절반 수준의 비용을 제시하며 애널리스트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TrendForce, Ainvest, Markets.com, Notateslaapp, Teslarati, Business Insider 등의 보도에 따르면, 윌리엄 블레어의 제드 도르샤이머 애널리스트는 직접 체험을 통해 테슬라 로보택시가 인간 운전자와 비슷한 친근하고 자연스러운 주행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경쟁사 대비 월등한 비용 효율성을 자랑한다고 밝혔다. 이는 테슬라가 카메라 기반의 독자적 자율주행 기술을 이용해, 고가의 라이다 센서를 사용하는 경쟁사와 큰 차별성을 둔 결과다. 예컨대, 웨이모는 차량당 약 1만2000달러에 달하는 라이다 등 복합 센서를 사용하지만,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스템은 약 400달러에 불과한 카메라만으로 운영된다. 이 때문에 테슬라는 운영비용을 크게 낮춰, 우버 요금 대비 절반 수준으로 요금을 책정하며 가격 경쟁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시장 성장성과 기업 가치 면에서 테슬라 로보택시의 장밋빛 전망도 두드러진다. 윌리엄 블레어는 2040년까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10억원을 초과하는 코인 부자가 1만명을 넘어섰다. 8월 24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8월 5일 기준 국내 5대 원화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에서 10억원 이상 가상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는 총 1만810명에 달했다. 이들의 1인당 평균 보유액은 약 22억 2889만원으로, 전체 거래소 이용자(1086만명)의 평균 보유액 1027만원보다 약 200배 이상 높은 수치다. 투자자 연령대별로는 50대가 3994명으로 전체 10억원 이상 보유자의 약 40%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40대(3086명), 60대 이상(2426명), 30대(1167명) 순으로 집계됐다. 20대는 소수인 137명에 불과하지만 이들의 1인당 평균 보유액은 약 26억8871만원으로 타 연령대보다 가장 높았다. 40대와 50대의 평균 보유액은 각각 21억3956만원과 21억4395만원으로 전체 평균보다 약간 낮았고, 30대와 60대 이상은 각각 23억6559만원, 23억9064만원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처럼 10억원 이상 고액 가상자산 보유자가 급증한 배경에는 최근 비트코인의 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하버드 천문학자들이 천체속의 '작은 빨간 점'의 미스터리를 해결했다. 하버드와 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소의 천문학자들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관측으로 새롭게 발견된 우주의 미스터리 ‘작은 빨간 점’(Little Red Dots)이 최초의 블랙홀 형성과 초기 은하 진화에 중요한 단서를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25년 8월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실렸으며, 전체 암흑물질 구조 중 극히 드물고 느리게 회전하는 1%의 암흑물질 헤일로(halo)에서 이처럼 조밀하고 강렬한 빛을 내는 초기 은하들이 형성되었음을 이론적으로 제시했다. 드문 우주 환경의 산물: 느리게 회전하는 암흑물질 헤일로 Live Science, cfa.harvard.edu, ScienceDaily, Phys.org, Universe Today, Science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주요 연구자인 파비오 파쿠치와 아브라함 로브는 이 작은 빨간 점 은하들이 기존의 일반적인 은하 형성 모형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매우 특이한 환경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암흑물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인 수성이 형성된 이후 약 45억년 동안 지름이 최대 11킬로미터까지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최근 발표된 수성 수축에 관한 연구 결과로, 지금까지 불확실했던 수성의 행성 수축량을 가장 정밀하게 추정한 것이다. The Daily Galaxy, Indiatimes, Economic Times, moneycontrol의 보도와 8월 17일(현지시간) AGU Advances에 발표된 이 연구는 철이 풍부한 수성의 핵이 계속해서 열을 잃고 수축하면서 수성의 반지름이 2.7~5.6킬로미터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스테판 러블리스(Stephan Loveless)와 크리스티안 클림차크(Christian Klimczak)는 종전의 단순 표면 특징 개수집계 방식 대신, 가장 큰 단층에서 관측된 수축량을 기초로 전체 수축량을 추정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이 방법을 100개에서 6000개에 이르는 다양한 단층 데이터셋에 적용한 결과, 단층 자체로 인한 반지름 축소는 일관되게 약 2~3.5킬로미터였다. 그리고 여기에 단층 이외의 냉각 관련 다른 수축 과정을 더하면 전체 반지름 감소량은 2.7~5.6킬로미터에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