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이탈리아 현대미술의 거장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의 18캐럿 순금 변기 조각품 '아메리카(America)'가 세계 경매 시장에 다시 등장한다. CNN, 뉴욕타임스, BBC, ARTnews에 따르면, 뉴욕 소더비는 2025년 11월 18일 이 작품을 약 1000만 달러(한화 143억원)의 시작가에 내놓을 예정이며, 이는 변기에 포함된 순금 무게(약 101.2kg, 223파운드)의 시세를 기준으로 한 역사상 최초의 경매 시작가 산정 방식이다. 약 1000만 달러는 최근 금 시세 급등을 반영한 금괴 가격과 맞먹는 수준이다. '아메리카'는 2016년 처음 제작되어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 설치된 후 공공이 직접 사용하는 예술작품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당시 방문객들은 3분 예약을 통해 이 황금 변기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10만명 이상의 인파가 몰려 예술과 일상이라는 경계를 허무는 독특한 체험의 장을 제공했다. 그러나 2019년, 같은 작품의 또 다른 에디션이 영국 블레넘 궁전에서 도난당하면서 미술품 절도 범죄로도 악명 높아졌다. 절도범들은 변기를 훔친 뒤 궁전 내 침수와 구조적 피해까지 초래했고, 변기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최근 국내외에서 “rnicrosoft.com”와 같은 교묘하게 알파벳을 바꾼 피싱 이메일이 급증하는 가운데, 사용자·기업 피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Economic Times, Trustwave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이러한 수법을 ‘호모그래프(homograph) 공격’ 또는 ‘도메인 스푸핑(domain spoofing)’이라고 부르며, 사이버 범죄자들이 시각적 유사성을 이용해 정교한 속임수 이메일을 보내고 있다고 분석한다. 호모그래프 공격의 원리 호모그래프 공격은 유명 도메인의 알파벳 일부를 닮은 글자(예: ‘m’→‘rn’)로 교체해 정식 도메인과 시각적으로 거의 구분이 안 되는 피싱 주소를 만든다. 대표적 사례인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5분 전기차 배터리 진단 서비스’인 ‘비원스(B.once)’를 2025년 10월 27일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단 한 번의 진단만으로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존 용량, 전압, 온도 등 핵심상태를 최대 5분 만에 신속·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혁신적인 평가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배터리 평가 방식: 퀵 스캔 & 파워 스캔 비원스는 진단 방식에 따라 ‘퀵 스캔’과 ‘파워 스캔’ 두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퀵 스캔’의 경우, 온보드 진단기(OBD)를 연결하고 시동만으로 5분 내 배터리 상태를 간편 진단한다. ‘파워 스캔’은 50~80% 구간 실제 충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분석을 제공하며, 충전 종료 후 30분 내로 평가서 발급이 가능하다. 특히 타사 서비스가 최소 5일 주행데이터를 요구하는 것과 달리, 짧은 시간에 객관적·정밀 진단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압도적 기술력과 객관성 LG에너지솔루션은 전 세계에서 1만건 이상의 배터리 관리 및 진단 특허를 통해 구축된 독보적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비원스를 개발했다. 회사는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구글과 퀄컴과 공동 개발한 XR(확장현실) 헤드셋 '갤럭시 XR'을 22일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도 출시하며, 첨단 인공지능(AI)과 몰입형 콘텐츠 시장에서 새로운 도약을 예고했다. 삼성전자와 글로벌 파트너들의 협력으로 탄생한 '갤럭시 XR'은 2023년 2월 갤럭시 언팩 행사 이후 약 2년 8개월 만에 실물을 공개하며, 업계와 시장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제품은 최초로 구글의 '제미나이'와 통합된 멀티모달 AI 기능을 탑재했다. 사용자는 시선, 제스처, 음성 인식을 통해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구글 지도와 포토, 유튜브 XR 등 구글 생태계의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 MX사업부 최원준 사장은 "갤럭시 XR은 새로운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걸음으로, 모바일 AI 경험의 한계를 뛰어넘는 제품"이라며, "업계와 사용자 모두에게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갤럭시 XR'은 구글과 퀄컴이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처음으로 탑재해, 기존 스마트폰 기능과 앱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AR 글라스와 다양한 폼팩터로 확장 가능하다. 이 플랫폼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방위산업 4대 강국 실현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천명하며, 2030년까지 국방 및 항공우주 연구개발(R&D)에 전례 없는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0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개막식에서 "2030년까지 국방 R&D 그리고 항공우주 R&D에 예상을 뛰어넘는 대대적인 예산을 투입해 미래 국방을 위한 핵심 기술과 무기 체계를 확보하고, 독자적인 우주 개발을 위한 역량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특히 국방 분야의 특수반도체 등 독자적으로 확보해야 할 기술과 부품, 소재 개발에 투자를 집중해 국방 기술 주권을 확실하게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방산 수출 '역대급' 성장세…폴란드 단일 계약 9조원 돌파 한국 방산의 글로벌 위상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상승했다. 2024년 한국의 차량·무기·탄약 수출액은 약 95억 달러(약 13조2000억원)에 달했으며, 수주 잔고는 총 731억 달러(약 101조6000억원)를 기록했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2023년 방산 기업 상위 100위 보고서에 따르면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골프장에서 라운드 전후 즐기는 커피 한 잔은 골퍼의 만족도를 극대화한다. 골프관련 기관들과 골프장 운영주들은 고객만족을 위해 다양한 커피 전문 기업들과 손잡고, 골퍼들에게 고품질 커피를 제공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최고의 라운드 동반자, 커피 커피는 단순한 기호식품을 넘어 현대인의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존재로 자리 잡았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405잔으로, 하루 평균 약 1.1잔의 커피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은 “커피를 통한 카페인 섭취가 건강한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물론 골프와 같은 운동이나 건전한 생활 습관을 함께 실천할 때 더욱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카페에서의 문화적 경험과 사회적 교류 역시 커피 소비의 중요한 동기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타벅스와 라코스테가 협업해 출시한 시즌 굿즈가 조기 품절되며, 커피와 카페가 소유 하고 싶은 경험이자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커피가 골퍼들에게 특히 사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커피에 함유된 카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 이후, 국내 10대 그룹의 글로벌 생산기지 중심이 중국·베트남 등지에서 미국으로 급격히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내 자국우선주의,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국내 10대 그룹의 미국 내 생산법인 자산이 8년 새 7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반면, 값싼 인건비를 강점으로 그동안 국내 기업의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해왔던 중국과 베트남 등은 미국에 밀려 증가폭이 급격히 둔화됐다. 10월 2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트럼프 1기 미 행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말 대비 2024년 말의 국내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2016년 말 209조1608억원에서 2024년 말 490조7083억원으로 8년 만에 281조5475억원(134.6%)이나 급증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미국이 중국, 베트남 등을 제치고 국내 기업의 최대 생산기지로 급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1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강도 높은 투자유치 기조로 인해 국내 주요 기업들이 대미 생산라인 투자를 대폭 확대했기 때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11월 초, 전 세계 금융시장은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급락으로 5000억 달러에 달하는 시가총액이 증발하면서 AI 투자 거품에 대한 우려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CNBC, Reuters, BBC, Business Insider, Wired에 따르면, 이번 대규모 매도세는 AI 기술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과 막대한 투자금이 결국 지속 불가능한 지점에 이르렀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특히, 미국과 아시아 시장에서 주요 AI기업들의 주가 하락이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반도체 분야의 주역인 엔비디아(Nvidia)는 10월 말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5조 달러를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으나, 이후 주가가 약세로 돌아서며 시장 집중 우려와 함께 고평가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 엔비디아는 주당순이익 대비 56배, 매출 대비 37배를 기록해 S&P 500 지수의 평균 주가수익비율의 약 4배에 이르는 고평가 상태다. Loop Capital Markets는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350달러까지 상향조정하며 잠재적 시가총액 8.5조 달러 달성을 예상했지만, 이는 현재 평균 애널리스트 목표인 231달러를 크게 웃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진행된 3학년 강의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중간고사에서 약 600명 수강생 중 190명(약 3분의 1)이 집단 부정행위에 연루됐다는 사실이 학내외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적발된 학생들은 챗GPT 등 생성형 AI를 부정행위 도구로 사용한 정황이 밝혀져, 부정행위에 연관된 학생들의 점수가 모두 ‘0점’ 처리됐다. 시험은 온라인으로 객관식 문제로 치러졌으며 응시자들은 시험 시간 내내 컴퓨터 화면과 얼굴이 보이는 영상을 제출하도록 요구받았다. 그럼에도 일부 학생들은 영상 촬영 각도 조절, 여러 프로그램 화면 동시 사용 등의 방법으로 AI를 활용한 커닝이 적발됐다. 학생 자율 투표에서는 353명 중 190명이 커닝했다고 밝혔으며, 상당수가 AI를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사태는 AI 성능이 급격히 고도화되면서 전통적인 교육 및 평가 방식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대학가에서는 AI 윤리 및 활용 정책이 성능향상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실정이며, 이에 교육과 평가 방식을 재설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내외 대학들은 AI를 부정행위로 금지하는 초기 입장에 이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창립자 자오창펑을 사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트럼프 일가의 가상화폐 사업과의 유착 논란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이 국내외에서 거세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바이낸스 창업자 사면…정경유착 논란 '점화' BBC, Reuters, CNN, Washington Post, Deutsche Welle, ABC News, New York Times, Binance 공식통계에 따르면, 2025년 10월 23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낸스 창업자 창펑 자오(통칭 CZ)에 대해 전격적으로 사면권을 행사했다. 자오는 2023년 미국 법무부와의 합의 끝에 자금세탁 방조 혐의를 인정하고 4개월 형을 복역했으며, 바이낸스 역시 반독점·자금세탁법 위반 등으로 총 43억 달러(약 5조 9000억원) 규모의 벌금 및 몰수 명령을 받은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사면 조치는 바이든 행정부가 진행했던 '가상화폐와의 전쟁' 종결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바이낸스와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트럼프 일가, 크립토 사업 '초거대 수익'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바이낸스는 트럼프 일가가 주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