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도미노 피자 엔터프라이즈(Domino’s Pizza Enterprises, ASX: DMP)가 CEO 마크 반 다이크(Mark van Dyck)의 취임 8개월 만의 사임 발표로 극심한 리더십 혼란에 빠졌다. marketscreener, capitalbrief등의 해외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사임 소식에 투자자 신뢰는 급격히 약화됐고, 회사 주가는 2014년 2월 이후 11년 만에 최저치로 폭락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CEO 교체를 넘어, 글로벌 피자 프랜차이즈 업계의 구조적 위기와 투자자 신뢰 붕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CEO 사임 충격…주가 20% 가까이 폭락 7월 2일(현지시간) 도미노 피자 엔터프라이즈는 반 다이크 CEO가 오는 12월 23일자로 사임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날 호주 증시에서 도미노 피자 주가는 장중 최대 22% 하락해 A$16.55까지 떨어졌고, 종가는 15.8% 하락한 A$16.96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 9월 시가총액 144억6000만 호주달러에서 33억3000만 호주달러로 4분의 1 토막 난 수치다. RBC 캐피탈 마켓 애널리스트 마이클 토너는 “반 다이크의 퇴진은 최근 도미노피자에서 이어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하반기에는 총 10만323세대가 입주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상반기(14만537세대)보다 29% 적고, 전년 동기간인 2024년 하반기(16만3977세대) 대비 39% 감소한 물량이다. 직방(대표 안성우)조사에 따르면,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5만2828세대로, 상반기 대비 12% 적다. 서울 1만4043세대, 경기 3만379세대, 인천 8406세대가 입주한다. 경기는 상반기와 비슷한 물량이 입주하는 한편 서울과 인천은 상반기 대비 각각 20%, 27% 적은 물량이 공급된다. 지방은 상반기 대비 물량감소폭이 다소 크다. 총 4만7495세대 입주해 8만215세대 입주한 상반기보다 41% 정도 적다. 한동안 입주물량이 많았던 대전, 경남, 일대 입주물량이 감소할 예정이다. 월별로는 7월부터 10월까지는 월간 2만 세대 미만으로 입주물량이 공급되다 11월, 12월에 월간 2만2000여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특히 11월~12월 동대문, 광명 등 수도권 대규모 단지들의 입주가 예정돼 있어 연말 입주물량이 다소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세부 지역별로 서울은 ▲동대문구 4,169세대 ▲송파구 2,727세대 ▲성동구 1,8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The special prosecutor's team (Special Prosecutor Min Joong-ki) has begun its full-scale investigation into the so-called 'Butler Gate' surrounding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s wife Kim Kun-hee. The key point is that IMS Mobility (formerly Bimaica), which was founded by Mr. Kim (48), who was called the 'butler' of the Kim family, attracted a total of 18.4 billion won in investment from Kakao Mobility, HS Hyosung, and Korea Securities Finance, despite being in a state of capital impairment in 2023. The special prosecutors confirmed that Mr. Kim left for V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만약 지금이 대학을 갓 졸업한 20대라면 나는 소프트웨어보다 ‘물리과학(Physical Sciences)’에 더 집중했을 것이다.” 엔비디아(NVIDIA)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Jensen Huang)이 다시 한번 미래 AI의 지향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AI의 차세대 발전은 ‘피지컬(Physical) AI’가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세계를 이루는 물리 법칙과 원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히 컴퓨터 속의 인공지능을 넘어서 실제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능력, 즉 로보틱스와 공장 자동화로 연결되는 기술력으로 이어진다. “AI 3단 진화의 마지막 퍼즐, 피지컬 AI” 젠슨 황은 지난 4월 워싱턴DC에서 열린 ‘힐앤드밸리(Heland Valley) 포럼’에서도 AI 발전 단계를 ‘지각 AI(Perception AI, 2012 알렉스넷) → 추론 AI(Reasoning AI, 현재) → 피지컬 AI(Physical AI, 미래)’ 순으로 전망했다. 그는 “차세대 AI는 마찰, 중력, 속도, 관성, 인과관계 등 물리 세계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잘파세대들은 주로 어디서 돈을 많이 쓸까?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2025년 1월부터 5월까지 잘파세대의 리테일 브랜드 결제금액 비율을 조사해 발표했다. 만 20세 이상 한국인이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소액결제로 결제한 금액을 표본 조사한 것이다. 잘파세대들의 결제 비율이 높은 리테일 TOP3는 크림, 쏘카, 지그재그/Z결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4~6위는 챗GPT, 무신사, 애플로 조사됐다. 잘파세대의 결제금액 비율이 가장 높은 리테일 브랜드는 ‘크림(KREAM)’으로 56.2%를 기록했다. 쏘카 50.6%, 지그재그/Z결제 49.9%, 챗GPT(ChatGPT) 39.2%, 무신사 36.3%, 애플(APPLE) 35.5% 순이었다. 잘파세대가 많이 결제한 리테일 카테고리는 ‘패션’, ‘교통’, ‘생성형 AI’, ‘전자기기’로 나타났다. 한편, 크림과 쏘카는 잘파세대 결제금액 비율이 과반수 이상이면서 상승세를 보인 리테일 브랜드다. 크림은 2023년 1월부터 5월까지 잘파세대 비율이 25.8%에서 2025년 동기간 56.2%로 증가했으며, 쏘카 역시 42.2%에서 50.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6월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에서 개막한 ‘윔블던 챔피언십’이 148년 만에 사상 최초로 ‘AI 심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 1877년 창설 이래 ‘전통의 상징’이었던 윔블던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며 스포츠 혁신의 한복판에 섰다. AI 심판, 148년 만에 선심을 대체하다 BBC, Sk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윔블던의 가장 큰 변화는 ‘인간 선심’이 완전히 사라지고, AI 기반 라인 판독 시스템이 모든 코트에서 인·아웃 판정을 맡는다는 점이다. AI 심판은 코트 주변에 설치된 고성능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공의 궤적을 실시간으로 추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인’과 ‘아웃’을 즉각적으로 판정한다. BBC와의 인터뷰에서 윔블던 조직위원회는 “기술의 발전이 경기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AI 심판 도입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미 2023년 US오픈, 2024년 호주오픈 등 일부 메이저 대회에서 부분적으로 도입된 바 있으나, 윔블던처럼 모든 코트에서 선심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심판은 판정의 일관성과 신속성, 그리고 인간 오심 논란을 원천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The 'management diagnosis' process recently implemented by a large conglomerate is causing controversy over the infringement of employees' personal information and excessive abuse of power. In the anonymous community for office workers, Blind, criticism and anger surrounding the management diagnosis of Hanwha Group (Chairman Kim Seung-yeon) are pouring in every day, and similar cases and voices of sympathy are continuing in other communities and social media. “Worse than investigative agencies”… Management diagnosis that even demands cell phones and bankbooks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AI 업계가 ‘인재 쟁탈전’으로 달아오르고 있다. IT전문매체 와이어드에 따르면, 최근 메타(구 페이스북)가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앤트로픽 등 경쟁사에서 핵심 연구진을 대거 영입하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사명 있는 자들이 용병을 이길 것”이라며 강도 높은 내부 결속 메시지를 던졌다. 메타, 초지능 프로젝트 위해 오픈AI 등서 인재 블랙홀 메타는 지난 6월 말 ‘메타 초지능 연구소(Meta Superintelligence Labs)’를 출범하며, 오픈AI 출신을 포함해 최소 11명의 AI 연구자를 영입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연구진에게는 최대 1억 달러(약 1370억원) 규모의 파격적인 보상 패키지가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저커버그 CEO는 직접 영입전에 나서며, 스케일AI 창업자 알렉산더 왕을 최고AI책임자로 영입하고, 구글 딥마인드·Safe Superintelligence 등에서 최상위 연구자들을 흡수했다. 메타는 AI 인프라에만 650억 달러를 투자하고, 스케일AI에 143억 달러를 투입해 49% 지분을 확보하는 등 초지능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 같은 ‘인재 블랙홀’ 전략은 메타가 Llama 4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스페이스X가 7월 8일(현지시각) 이른 아침,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팰컨 9 로켓을 이용해 ‘스타링크 그룹 10-28’ 임무를 수행한다. 발사 창은 동부 표준시 기준 오전 1시 48분부터 4시간 동안 열리며, 기상 조건은 90%의 확률로 양호하게 예보됐다. 이번 임무에서 팰컨 9은 20여 기의 스타링크 위성을 저지구 궤도(LEO)로 실어 올릴 예정이며, 1단 부스터는 대서양에 정박한 드론선 ‘A Shortfall of Gravitas’에 착륙을 시도한다. 스페이스X는 부스터의 반복 재사용을 통해 비용 효율성과 발사 빈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고 있다. ‘2.2일에 한 번’…2025년 상반기만 85회 발사, 연간 175회 신기록 도전 스페이스X는 2025년 들어 7월 초까지 총 85회의 로켓 발사를 기록했다. 이 중 83회는 팰컨 9 미션으로, 평균 2.2일에 한 번꼴로 로켓을 쏘아 올리고 있다. 연말까지 175~180회 발사라는 사상 최대 목표도 현실화될 전망이다. 2024년 134회 발사 기록을 30% 이상 뛰어넘는 수치다. 2025년 상반기(7월 2일 기준) 팰컨 9 발사는 83회, 스타링크 전용 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6월, 일론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의 공개적인 SNS 설전은 단순한 정치적 해프닝을 넘어 미국 우주정책의 구조적 취약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트럼프가 머스크의 정부 계약 해지를 언급하자, 머스크는 곧바로 "드래곤 우주선을 즉시 퇴역시키겠다"고 맞받아쳤다. 이 위협은 NASA가 유인 우주비행에 있어 스페이스X에 얼마나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지를 전 세계에 각인시켰다. 머스크-트럼프 공개 충돌, 미국 우주 전략의 아킬레스건 노출 현재 미국 내에서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우주인을 실어나를 수 있는 민간 우주선은 스페이스X의 드래곤이 유일하다. 보잉의 스타라이너는 2024년 시험비행 실패로 아직 정상 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스타라이너에 탑승한 NASA 우주인 2명이 9개월 만에 드래곤을 통해 지구로 귀환하는 해프닝까지 벌어졌다. 만약 머스크가 위협을 실행했다면, NASA는 다시 러시아 소유스 캡슐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처지로 내몰릴 뻔했다. 워싱턴포스트, Fortune 등 미국 주요 매체들은 "스페이스X의 드래곤이 NASA의 유일한 대안"임을 지적하며, 한때 NASA 부국장까지 역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