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최근 4년 새 1.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삼양식품,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대동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은 기업은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순이었다. 이 중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 3개사는 정규직보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더 높았다. 8월 2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분기(6월) 보고서를 공시한 334개사를 대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및 기간제 근로자의 인원수를 조사한 결과 최근 4년간 이들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1.4%포인트 증가했다. 올 6월 기준 조사 대상 기업 334곳의 전체 근로자 수는 132만4494명, 기간제 근로자는 10만3259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21년 6월에 비해 전체 임직원이 4만7482명(3.7%) 늘어난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2만1095명(25.7%) 증가했다. 조사 대상 500대기업의 연도별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소프트뱅크가 2025년 5월부터 8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약 2조3000억원(16억5790만달러) 규모의 쿠팡 주식을 매각했다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8월 25일(현지시간) 공시했다. 이번 매각으로 소프트뱅크의 쿠팡 지분율은 2021년 말 32.4%에서 17.39%로 크게 감소했다. 각 매각은 5월 8일 3000만주(약 1조1076억원), 6월 13일 1000만주(약 3929억원), 8월 20일 2000만주(약 8006억원) 순으로 진행됐다. 이 같은 대규모 지분 매각 배경에는 소프트뱅크가 주도하는 대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스타게이트(Stargate)’ 자금 확보 목적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2월, 소프트뱅크는 오픈AI, 오라클 등과 함께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달러(약 710조원)를 투입하는 미국 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를 공식화했다. 이 중 소프트뱅크는 오픈AI에 최대 400억달러(약 57조원) 추가 출자를 약속하며, 최근 인텔에 20억달러를 투자해 지분 2%를 확보하기도 했다. 2025회계연도 동안 최대 400억달러 규모 투자를 계획하며, 이는 전년 대비 7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5년 최장 10일 추석 황금연휴를 앞두고 국내 여행객들의 해외 숙소 검색 패턴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일본과 동남아시아가 인기 여행지였던 것과 달리, 올해는 무비자 입국 정책과 환율 급등 완화 덕분에 중국 상하이가 검색량 1위를 차지하며 새로운 주요 여행지로 떠올랐다. 호텔스닷컴 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추석 연휴 숙소 검색량은 5월부터 급증해 4월 대비 145% 증가했으며, 도시별 검색량 증가는 상하이(240%), 나고야(100%), 프라하(100%), 시드니(95%), 호놀룰루(50%) 순으로 집계됐다. 상하이는 지난해 한국인에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뒤 검색량이 두 배 이상 급증했으며, 안전하고 접근성이 좋아 가족 단위 여행객에 특히 인기다. 일본은 환율 효과가 약화되면서 검색 상승폭이 줄었으나 여전히 근거리 여행지로서 수요가 꾸준하다. 유럽에서는 프라하가 5성급 숙소 대비 합리적인 가격과 가족 친화적인 옵션으로 인기를 끌어 ‘가성비 유럽 여행지’로 자리 잡았다. 검색된 숙소 유형은 호텔이 전체의 64%를 차지해 압도적이며, 그 뒤로는 료칸(15%), 아파트형 호텔(14%), 리조트(10%)가 이어졌다. 5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자회사 관리 및 신규 투자 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해 신설법인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하는 계획에서 인적분할 일정이 한 달가량 연기됐다. 8월 22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분할기일을 기존 10월 1일에서 11월 1일로 변경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동 분할계획서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도 9월 16일에서 10월 17일로 한 달 늦춰졌다. 신설법인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재상장 예정일은 10월 29일에서 11월 24일로 조정됐다. 매매거래 정지 기간도 10월 3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재설정됐다. 이번 일정 연기는 한국거래소의 분할 재상장 예비심사가 당초 예상보다 길어진 데 따른 결과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5월 22일 예비심사를 청구했으나, 심사의 추가 요청 자료로 인해 재상장 심사가 평균 73일 소요되는 데 비해 86일이 걸렸다. 이로 인해 증권신고서 제출이 한 달가량 지연되면서 주총일과 분할 일정 모두 연기된 것으로 분석된다. 거래소 관계자는 지배구조 개편 등 여러 사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추가 자료 요청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순수 지주회사로 설립되어 바이오시밀러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태양이 내리쬐는 뜨거운 모로코가 혁신적인 파일럿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는 수십년 만에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북아프리카 왕국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사업이라 더욱 관심이 모아진다. 모로코가 사상 최악의 가뭄과 물 부족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탕헤르 인근 우에드 르멜(Oued Rmel) 저수지에 설치한 플로팅 태양광 패널 프로젝트가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Al Monitor, DAWN, Morocco World News, Aquatech Trade, Societe Generale, Smart Water Magazine, US Commercial Service등의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모로코 정부측은 이른바 ‘플로토볼타익(floatovoltaic)’ 기술을 적용해 약 13메가와트(MW) 전력을 생산함과 동시에 하루 3000㎥ 이상의 증발수 손실을 30%가량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수치는 여름철에는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며, 2022년 10월~2023년 9월 사이 전역에서 매일 올림픽 수영장 600개 분량의 물이 증발로 증발됐다. 모로코의 저수지 총 저장 용량은 2025년 8월 기준으로 168억㎥ 중 34%인 57억㎥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 상반기 국내 대기업 오너일가의 자산가치가 33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2일 리더스인덱스가 50대 그룹 오너 일가 중 계열사 지분을 보유한 623명의 자산가치 증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총자산은 올해 초 대비 32조9391억원 증가한 144조4857억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증가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으로 조사됐다. 이 회장은 이 기간 4조7167억원 늘어 8월 29일 종가 16조626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보유 상장사 6곳(삼성물산·생명·전자·SDS·E&A·화재)의 주가 상승이 주된 요인으로, 삼성물산 주가는 올 초 대비 48% 넘게 뛰며 이 회장이 보유한 19.9% 지분 가치를 1조8465억원가량 끌어올렸다. 삼성가(家)는 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1조9444억원↑, 3위),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1조6982억원↑, 5위),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1조5865억원↑, 6위) 등이 상위권에 오르며 이들의 자산은 올해에만 총 10조446억원 불었다. 개인 자산 증가 2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으로, 1조9873억원 증가한 2조9964억원을 기록했다. 조 회장은 부친 조석래 명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9월 1일부터 24년 만에 예금자보호한도가 기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대폭 상향된다. 이번 개정은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관계부처가 협의해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예금자보호법 시행령 등 6개 대통령령 개정안'에 따른 것으로, 은행과 저축은행, 보험사, 금융투자업권은 물론 농협·수협·신협·새마을금고·산림조합 등 광범위한 상호금융권까지 보호대상 범위가 확대된다. 이번 조치로 예금 및 적금 등 원금보장형 금융상품에 대해 가입 시점과 무관하게 원금과 이자를 합산해 최대 1억원까지 보호받게 된다. 아울러 퇴직연금과 연금저축, 보험 사고보상금 등 사회보장적 성격 상품도 별도로 1억원 한도 내에서 보호를 받는다. 다만, 뮤추얼펀드, 머니마켓펀드(MMF),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운용실적에 따라 지급액이 변동되는 실적배당상품은 보호대상에서 제외된다. 우체국예금은 예금자보호법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 국가기관 운영으로 전액 보호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금융시장에서는 이번 보호한도 상향이 예금자 신뢰를 강화하고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다만 금융권 내부에서는 상향 발표 후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 등으로 자금 이동, 즉 '머니무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의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가 내세우는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시스템에 대해 미국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이 크게 늘고 있다. CNBC, 클린테크니카, 에이인베스트,테슬라라티, 인베스트 뉴스에 따르면, 미국의 컨설팅 업체 슬링샷 스트래티지가 8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35%가 FSD 기능 탑재가 테슬라 구매 가능성을 떨어뜨린다고 답했으며, 오직 14%만이 오히려 구매 의사를 높인다고 밝혔다. 나머지 51%는 FSD 탑재 여부가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답했다. FSD는 운전자의 감시 아래 운전 대부분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보조 시스템이다. 하지만 설문 참여자 중 48%는 이 기술에 강력한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지난 8월 미 마이애미 연방법원이 플로리다 2019년 오토파일럿 관련 치명적 사고에 대해 테슬라에 약 2억4300만 달러(약 3378억원)의 배상을 명령하고, 사고 책임의 33%를 테슬라 측에 인정한 판결과 맞물려 소비자 신뢰 하락을 반영하는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같은 기간 동안 테슬라 차량을 '안전하지 않다'고 보는 비율은 34%에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2025년 8월 28일 SK텔레콤에 부과한 1347억9100만원의 과징금은 국내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이래 단일사업자 최대 징계 기록이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SK텔레콤이 2324만4649명의 가입자 개인정보를 유출했고, 휴대전화번호·IMSI·USIM 인증키 등 무려 25개 유형의 정보가 피해 대상이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국내 통신 3사 가입자 총합이 약 5000만명임을 감안하면 인구 절반에 육박하는 전례 없는 대형사고임을 의미한다. 과징금 규모 역대 최고…"글로벌 빅테크 징계와 견줄만" 이전까지 개인정보위가 부과한 최고액은 2022년 구글(692억원)과 메타(308억원) 징계가 합쳐진 1000억원 수준이었다. 이번 SK텔레콤 제재는 단일기업 기준 이 기록을 35% 이상 뛰어넘었다. 이는 역대 국내 빅테크 및 통신사 보안·개인정보 사고 처벌 사례를 압도한다. 글로벌 사례를 보면, 미국에서는 2017년 신용평가사 에퀴팩스(Equifax)가 1억4700만명 개인정보를 유출한 사건으로 7억 달러(약 9280억원)의 합의금을 부담했다. 페이스북(現 메타) 역시 2019년 영국 정보위원회(ICO)로부터 케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25년 9월 10일(현지시간) 긴급 브리핑을 통해,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가 지난 2024년 예제로 크레이터(Jezero Crater)의 ‘브라이트 엔젤(Bright Angel)’ 암석 지대에서 채취한 샘플에서 잠재적 생명체 흔적(잠재적 바이오시그니처, potential biosignature)을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NASA 공식발표, Nature, Reuters, BBC, CNN, NBC, NPR, New Scientist에 따르면, 다채로운 색의 반점 형태 패턴이 포착된 이 암석 샘플 '사파이어 캐년(Sapphire Canyon)'에는 미생물 생명체가 유기 탄소, 황, 인 등 여러 원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 흔적일 수 있는 특이한 화학 물질과 구조가 포함되어 있었다. NASA 연구팀은 이번 분석을 기반으로, 해당 암석 내 점토와 실트 성분이 지구에서 생명체가 오래도록 보존되는 환경과 유사하며, 유기탄소와 황, 인, 산화철이 풍부하게 함유된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이는 고대 화성 미생물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는 ‘가장 명확한 신호’라는 과학계 평가다.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