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빅테크

[공간사회학] 148년 역사 윔블던, AI 심판 도입…'전통 상징' 테니스 ‘혁신의 서막’ 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6월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에서 개막한 ‘윔블던 챔피언십’이 148년 만에 사상 최초로 ‘AI 심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

 

1877년 창설 이래 ‘전통의 상징’이었던 윔블던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며 스포츠 혁신의 한복판에 섰다.

 

AI 심판, 148년 만에 선심을 대체하다

 

BBC, Sk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윔블던의 가장 큰 변화는 ‘인간 선심’이 완전히 사라지고, AI 기반 라인 판독 시스템이 모든 코트에서 인·아웃 판정을 맡는다는 점이다.

 

AI 심판은 코트 주변에 설치된 고성능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공의 궤적을 실시간으로 추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인’과 ‘아웃’을 즉각적으로 판정한다.


BBC와의 인터뷰에서 윔블던 조직위원회는 “기술의 발전이 경기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AI 심판 도입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미 2023년 US오픈, 2024년 호주오픈 등 일부 메이저 대회에서 부분적으로 도입된 바 있으나, 윔블던처럼 모든 코트에서 선심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심판은 판정의 일관성과 신속성, 그리고 인간 오심 논란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수와 팬 모두에게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AI 챗봇 ‘매치 챗’…실시간 경기 데이터 분석·소통 강화

 

또 다른 혁신은 ‘AI 챗봇’의 도입이다. ‘매치 챗(Match Chat)’으로 명명된 이 시스템은 경기 중 팬들이 실시간으로 선수의 서브 성공률, 랠리 패턴, 다음 경기 흐름 예측 등 다양한 질문을 할 수 있고, AI가 즉시 데이터를 분석해 답변을 제공한다.


The Guardian과의 인터뷰에서 윔블던 조직위는 “AI 챗봇은 팬 경험을 혁신적으로 바꿀 것”이라며, “경기장 안팎에서 팬들과의 상호작용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통’과 ‘혁신’의 공존…윔블던의 도전


윔블던은 ‘흰색 복장’, ‘잔디 코트’, ‘딸기와 크림’ 등으로 대표되는 전통을 중시해온 대회다. 그만큼 AI 심판 도입은 내부적으로도 큰 논쟁거리였다.

 

영국 타임스는 “윔블던이 보수적 전통에서 벗어나 기술 혁신을 수용한 것은, 스포츠 전체에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선수·팬 반응과 글로벌 파급효과

 

조코비치, 알카라스 등 톱랭커들은 “판정의 일관성과 신속성이 높아져 경기 집중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팬들의 반응은 의견이 갈렸다. 일부 팬들은 “윔블던의 전통이 사라진다”는 아쉬움을 표했으나, 대다수는 “오심 논란이 줄고, 경기 몰입도가 높아졌다”고 환영했다.

 

이번 윔블던의 AI 심판 전면 도입은 전 세계 테니스 대회뿐 아니라, 축구·야구 등 다른 스포츠의 심판 시스템 혁신에 중요한 선례가 될 전망이다.

 

주요 경기·스타 플레이어 이슈


38세 노바크 조코비치(세르비아)는 이번 대회에서 우승할 경우, 1972년 호주오픈 켄 로즈월(37세 2개월)을 넘어 메이저 단식 최고령 우승 기록을 세우게 된다. 또한, 윔블던 남자 단식 최다 우승(8회) 기록 보유자인 로저 페더러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다.

 

신예 대결도 볼만하다. 카를로스 알카라스(22·스페인), 얀니크 신네르(24·이탈리아) 등 신예들이 조코비치의 대항마로 주목받고 있다. 알카라스는 최근 프랑스오픈과 ATP HSBC 챔피언십을 연달아 제패하며 잔디 코트 승률 90%를 자랑한다.

 

이번 사건의 의미와 향후 전망

 

윔블던의 AI 심판·챗봇 도입은 ‘전통’과 ‘혁신’의 경계에서 스포츠의 미래를 제시하는 상징적 사건이다. 스카이뉴스는 “윔블던이 신기술과 접촉면을 넓히며, 스포츠의 공정성과 팬 경험 모두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평가했다.

 

향후 메이저 스포츠 대회에서 AI 심판 시스템이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윔블던의 실험이 스포츠계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에 관심이 집중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혈당을 넘어 당뇨병 합병증 근본 해결"…NYU 연구진, 염증 원천 표적하는 혁신 약물 RAGE406R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 뉴욕대학(NYU) 랭곤 헬스 연구진이 혈당 조절과 무관하게 당뇨병 합병증의 근본 원인을 표적하는 혁신적 저분자 화합물 RAGE406R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약물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염증과 조직 손상, 특히 상처 치유 지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2025년 11월 14일 생화학 분야의 권위지 ‘Cell Chemical Biology’에 발표됐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는 주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집중되어 있으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만성 염증과 같은 합병증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RAGE406R은 당뇨병 환자의 세포 내에서 염증 신호를 촉발하는 RAGE(최종당화산물 수용체)와 DIAPH1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이 상호작용이 억제되면서 염증 매개물질 CCL2의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어 대식세포 내 염증 반응이 완화됐다.​ 특히, 비만형 제2형 당뇨병 생쥐에 국소 적용된 실험에서 RAGE406R은 상처 치유 속도를 대폭 높여, 치유 지연으로 고통받는 당뇨환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했다. 남녀 당

[빅테크칼럼] 테슬라, 美 전기차 생산서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미중갈등 지정학 리스크 대응차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미국 내 생산 전기차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중국산을 전면 배제하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분쟁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CBS, 배터리테크온라인, 테슬라매그에 따르면, 테슬라와 주요 공급업체들은 이미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일부 중국산 부품을 현지 혹은 타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했으며, 앞으로 1~2년 내에 모든 중국산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한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결정은 2025년 초 확정됐으며, 공급망 다변화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 수급 차질 경험과 올해 들어 미국 정부가 중국산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영향이 컸다.​ 특히 테슬라가 대체에 가장 난항을 겪는 부문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다. 기존에 중국 CATL이 주요 공급사였던 LFP 배터리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세액공제 대상에서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제외되면서 사용이 중단됐다. 이에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10GWh 규모의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