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강남 청담동의 재건축 신축 아파트인 ‘청담르엘’이 2025년 8월 전용 84㎡(국민평형) 기준 입주권이 55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국평 50억’ 클럽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이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최고 분양가가 25억4570만원인 것과 비교했을 때 무려 30억원 이상의 시세차익이 입주 전부터 발생한 셈이다. 청담르엘은 한강 조망권이 영구 보장되는 입지와 1261가구 규모의 대단지라는 점에서 주변 청담동 기존 단지 대비도 최고가를 기록하며 청담동 대장 아파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서울 전역에서 국민평형 아파트가 50억을 넘는 거래 사례는 지속 증가 추세다. 특히 강남구 압구정동과 서초구 반포동, 잠원동 등 주요 재건축 및 신축 단지에서 50억대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진다. 예컨대 서초구 반포동의 래미안 원베일리는 지난 1년간 50억원 이상 거래가 30건을 넘어섰고, 8월 17일에는 전용 84㎡ 매물이 71억500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압구정동 역시 신현대9차(108㎡)가 50억원대 거래에 포함되며 국민평형 50억원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다. 이처럼 서울 내 ‘국평 50억’ 이상 거래는 강남권 대장 주택 중심으로 늘어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북한의 해킹그룹인 킴수키(Kimsuky)가 인공지능(AI) 기반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한국 국방 기관을 겨냥한 정교한 사이버 첩보 및 피싱 공격을 펼친 사실이 밝혀졌다. genians.co.kr, Infosecurity Magazine, Digital Watch Observatory, IRONSCALES, SpecialEurasia에 따르면, 2025년 7월, 대한민국 사이버 보안 전문기업 지니언스 보안센터(Genians Security Center)는 킴수키가 챗GPT의 최신 모델인 GPT-4o를 이용해 남한 군 신분증의 딥페이크 이미지를 생성, 이를 악용해 표적 맞춤형 공격을 감행한 사례를 최초 발견했다. 이번 공격은 AI가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수준으로 악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국가 차원의 대응 강화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킴수키는 챗GPT의 신분증 생성 제한 기능을 피해 “합법적인 목적의 샘플 디자인” 또는 “모형(mock-up)” 요청이라는 형태로 AI를 속여 실제 군 신분증의 딥페이크 이미지를 제작했다. 메타데이터 분석 결과 생성된 이미지는 AI 생성 확률이 98%에 달했으며, 악성 이메일의 발신 도메인은 실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전자가 2025년 9월 17일 TV 사업부에서 시작된 희망퇴직을 생활가전(HS), 전장(VS), 에코솔루션(ES) 등 전 사업부로 확대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만 50세 이상 혹은 수년간 저성과자를 대상으로, 자발적 신청에 한해 최대 3년치 연봉과 최대 2년치 자녀 학자금 등 파격적인 퇴직 조건이 제시됐다. 이는 2023년 이후 2년 만의 대규모 구조조정이다. 희망퇴직 확대 배경: 실적 악화와 중국의 위협 LG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 20조7352억원, 영업이익 6394억원을 기록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46.6% 감소하며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TV 사업 담당인 미디어엔터테인먼트솔루션(MS) 사업본부의 영업손실만 1917억원에 달하는 등, 전사적 실적 추락의 주 원인으로 지목된다. 업계는 올해 영업이익이 2조6834억원으로 작년(3조4197억원) 대비 약 21%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TCL, 하이센스 등 TV 업체들이 대규모 보조금을 바탕으로 미니LED TV 등 중저가와 프리미엄 시장 모두에서 공격적으로 점유율을 끌어올린 점이 치명타로 지적된다. 실제 글로벌 TV 시장에서 LG전자의 점유율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스리랑카 콜롬보로 향하던 카타르항공 여객기 안에서 85세 심장병 전문의 아쇼카 자야위라(Asoka Jayaweera) 박사가 기내식 질식 사고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국제 항공업계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평생 엄격한 채식주의자로 알려진 자야위라 박사는 예약 단계에서 ‘채식 기내식(Vegetarian meal)’을 요청했으나, 비행 당일 제공된 것은 일반 육류 포함 식사였다. 10월 8일(현지시간) NDTV World News, The Logical Indian, The Indian Express, People.com, The Independent, Hindustan Times의 보도와 유족들의 증언에 따르면, 2023년 6월 30일 승무원은 “채식 식사가 남아 있지 않다”며 일반식을 전달하며 “고기 부분만 피해 드시면 된다”고 안내했다. 자야위라 박사는 해당 안내에 따라 식사하던 중 음식물이 기도에 걸려 질식했으며, 즉각 승무원들이 응급조치를 시도하고 ‘MedAire’(항공 원격 의료지원 서비스)에 연락했으나, 산소포화도는 69%까지 하락했다. 약 3시간 30분 이상 의식이 돌아오지 않았고, 비행기는 중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코오롱그룹이 최근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의 완전 자회사 편입을 결정하며, 이규호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의 주가는 5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9월 9일 3225원이던 주식 가격이 9월 17일 오전 10시 현재 1만2980원을 기록중이다. 5거래일 연속 상한가로 300%이상의 수익률을 기록중인 셈. 코오롱모빌리티그룹 편입과 주가 급등 현황 코오롱은 올해 8월 초,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보통주 90.37%, 우선주 73.51%를 공개매수를 통해 확보하며 편입 작업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이사회 결의에 따라 2026년 1월 전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의 상장폐지와 함께 완전 자회사화될 계획으로, 이 과정에서 소액주주들은 코오롱 주식과의 교환 또는 현금 매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다. 공개매수 직후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주가는 단기간 내 약 300% 상승, 1만2980원까지 치솟았다. 그룹 승계 및 지배구조 개편 이슈가 시장의 기대감을 크게 자극한 결과로, 단기간 트레이딩 매수세가 몰리며 '상한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승계 작업과 사업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기차의 미래’로 불리며 수백만건의 예약을 자랑했던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 출시 5개월 만에 입문형인 롱 레인지 후륜구동(RWD) 모델(Long Range Rear-Wheel Drive)을 미국 온라인 구성기에서 슬그머니 내렸다. 이로써 미국 시장에서 가장 저렴한 사이버트럭 옵션이 사라졌다. 가격경쟁력 사라진 RWD…세액공제 만료로 '진입장벽' ↑ Notebookcheck, SSBCrack News, Drive Tesla Canada, Supercar Blondie, teslamagazine.org, Ford Authority, Futurism, EV.com에 따르면, RWD 모델은 4월 미국 시장에 6만9990달러(약 9400만원)로 출시됐고, 여기에 7500달러 연방 EV 세액공제가 적용될 경우 실구매가는 6만2490달러까지 내려갔다. AWD 롱 레인지(7만9990달러)와의 가격차는 약 1만 달러였다. 하지만 9월 30일로 예정된 세액공제 종료와 함께 이 가격 메리트가 사실상 소멸돼, 사실상 모델 존속의 동력도 사라진 셈이다. 국세청(IRS)에 따르면,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9월 30일 전에 계약 및 1회 이상 결제가 완료되어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뉴욕 회동에서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공지능(AI)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블랙록은 2025년 9월 22일(현지시간) AI 및 재생에너지 인프라 글로벌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향후 5년 동안 아태 지역 AI 및 재생에너지 전환에 필요한 대규모 투자를 공동 준비하며, 초기 파일럿 투자는 수조 원 단위 규모가 될 전망이다. 블랙록은 현재 운용자산(AUM) 12조5000억 달러(약 1경7000조원)로 최대 규모 자산운용사다.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xAI 등과 함께 AI 인프라 파트너십(AIP)을 구성해 글로벌 AI와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앞장서고 있다. 래리 핑크 CEO는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AI 수도’가 될 수 있도록 글로벌 자본을 연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 역시 한국의 AI 수도 도약에 대한 협력에 환영 의사를 표하며 핑크 CEO를 한국으로 초청했다. 주요 내용은 한국에 ‘하이퍼스케일(hyperscale)’ AI 데이터센터 허브 설립, 국내외 AI 수요 충족 및 전력 공급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9월, 세계를 대표하는 기술산업의 거인 세 명이 합산 1조300억 달러(약 1386조원)의 순자산을 기록하며 사상 초유의 부의 집중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일론 머스크 CEO, 오라클의 공동 창립자 래리 엘리슨, 그리고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Business Insider, Reuters, Forbes, Investopedia, AIWorld에 따르면, 이들의 총재산은 대기업 버크셔 해서웨이의 시가총액 1조700억 달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미국 내 대형 금융·소매기업인 JP모건과 월마트, 그리고 오라클 자체 시가총액을 능가하는 수준이다. 각자의 지분 가치를 토대로 산출한 거액의 재산 규모는 머스크가 테슬라의 약 13%, 스페이스X의 42%를, 엘리슨이 오라클의 41%, 그리고 저커버그가 메타의 13% 이상을 각각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머스크는 4190억 달러, 엘리슨은 3490억 달러, 저커버그는 2650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을 소유 중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기대가 폭발적인 성장에 불씨를 지폈다. 엘리슨의 재산은 올해 들어 거의 두 배 가까이 뛰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Gemini)를 설립한 윙클보스 쌍둥이 카메론과 타일러는 비트코인이 향후 10년 내에 100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강력한 낙관론을 제시했다. 로이터, 코인데스크, CNBC, 블룸버그, 야후파이낸스, 크립토랭크에 따르면, 이들은 9월 12일(현지시간) CNBC '스쿼크 박스'에 출연해 비트코인을 “골드 2.0”으로 규정하며, 디지털 자산의 가치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강조했다. 타일러 윙클보스는 “2015년 제미니 출범 당시 비트코인 가격이 코인당 350달러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11만6000달러를 상회한다”며 “여기서 10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동시에 제미니는 나스닥(GEMI)에서 주당 28달러에 IPO(기업공개)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초반 거래에서 주가가 37달러까지 오른 뒤 32달러 안팎으로 마감하며 공모가 대비 14% 상승을 기록했다. 이번 IPO로 약 4억2500만 달러를 조달했고, 기업 가치는 약 33억 달러로 평가받았다. 투자자들의 매수 열기는 극도로 뜨거웠는데, 공급주식보다 20배 넘는 주문이 몰렸으며, 나스닥은 5000만 달러를 사모로 전략적 투자해 협력 강화를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297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가운데, 피해 고객들의 집단소송 참여 규모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22일 현재 5700여명이 집단소송 참여 의사를 밝히며,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사상 최대 규모의 법적 대응이 예고되고 있다. 롯데카드는 이번 해킹 사고에 대한 보상안으로 10개월 무이자 할부 제공, 내년 연회비 면제, 금융피해 보상서비스 무료 제공 등을 내놨다. 하지만 피해 고객들은 이 같은 보상안이 피해 규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내년 연회비 면제 혜택은 전체 회원 297만명 중 CVC까지 유출된 28만명만 해당돼, 실제 혜택을 받는 고객은 10명 중 1명꼴에 불과하다. 한 피해자는 "수년간 연회비를 면제해줘도 될까 말까인데 어느 부분이 보상인 거냐"며 "불안해서 해지하려는 고객에게 무이자 할부 10개월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비판했다. 롯데카드의 초기 대응도 논란이 되고 있다. 회사는 지난 9월 1일 유출 규모를 1.7GB로 신고했지만, 금융당국 조사 결과 실제로는 200GB에 달하는 정보가 유출됐다. 해킹이 발생한 것은 지난 8월 14일이었으나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고 조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