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바다 위 군사기지" 트럼프 2기 들어 美항공모함 '칼빈슨함' 첫 방한…"철통같은 확장억제 이행"

美 해군 항공모함 '칼빈슨함' 부산 입항,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처음
지난해 6월 루즈벨트함 이후 약 8개월 만
미국 정부 재확인 '항구적이고 철통같은 확장억제 공약' 이행 차원
軍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강력하게 응징할 것"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바다위의 군사기자"라는 닉네임을 가진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이 2일 한국을 찾았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입항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 동맹의 약화에 따른 한반도 안보 위협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양국간 흔들림 없는 연합방위태세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란 평가다.

 

2일 해군에 따르면 미국 해군 제1항모강습단 소속 항공모함인 칼빈슨함(CVN)과 순양함 프린스턴(Princeton), 이지스구축함 스터렛(Sterett)은 이날 오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미국 항공모함의 입항은 지난해 6월 루즈벨트함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칼빈슨함은 2023년 11월에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입항한 바 있다.

 

칼빈슨함은 미국의 세번째 니미츠급(10t급) 항공모함으로 길이 333m, 폭 77m, 비행갑판 76.4m 규모로 2기의 원자로로 운행한다. 

 

특히 이 항모에는 미 해군 최초로 5세대 스텔스 전투기인 F-35C 스텔스 전투기가 배치돼 있으며, F/A-18 슈퍼호넷 전투기, E-2C 호크아이 조기경보기, EA-18G 그라울러 전자전기, MH-60S 시호크 해상작전헬기 등 80여 대의 항공기를 탑재하고 있다. 승조원은 6000여명이다. 

 

해군은 "이번 방한은 최근 미국 정부가 재확인한 항구적이고 철통같은 확장억제 공약을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지속되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한미동맹의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현시하고, 한미 연합전력의 상호운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훈련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한반도 근해에서 이달 중 실시될 것으로 보이는 한·미·일 해상훈련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해군은 칼빈슨함(CVN) 정박기간 중 양국 해군 간 우호증진을 위한 함정 상호방문, 유엔기념공원 참배 등 다양한 교류협력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남규 해군작전사 해양작전본부장 준장은 "우리 군은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강력하게 응징할 것이며, 한미동맹은 긴밀한 공조체계를 바탕으로 한반도 및 역내 평화와 안정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서울대, 2035년 AI 우주정거장 발사 목표…K-우주 견인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대학교가 2035년 무인 AI 기반 우주정거장 발사라는 혁신적 목표를 내걸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6년부터 시작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 사업에는 총 6년간 4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기술관은 1979년 준공된 풍동실험동1(40동)을 증개축해 연면적 8280㎡ 규모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우주융합기술관에는 서울대 ‘우주연구단’(가칭), AI 우주기술연구센터, 국방공학센터 등이 입주해 첨단공학·AI·기초과학·의학·법·정책 등 융복합 연구와 고급 우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대표기업, 미국 스페이스플로리다,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등과 국제 협력연구 공간도 마련, 본격적인 글로벌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서울대가 목표로 하는 2035년 무인 AI 우주정거장은 바이오·반도체·의학·농업 등 첨단 우주 실증연구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 우주 환경에서 생성되는 쓰레기를 회수하는 무인 우주 수송선도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국이 우주정거장 주권 경쟁을 벌이는 현실에서 한국이 도약을 위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우주강국 인도도 20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