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0.5℃
기상청 제공

Opinion

신체 부위와 닮은 음식의 효과 '시그니처 의학'…호두와 뇌·옥수수와 잇몸·토마토와 심장·아보카도와 자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현대 영양학과 전통 의학에서는 신체 부위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식품이 해당 부위의 건강에 유익하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고대의 '시그너처 의학(Doctrine of Signatures)'에서 유래하며, 현대의 과학적 연구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신체와 닮은 식품이 실제로 특정 부위에 어떤 건강 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통해 소개한다.

 

1. 호두와 뇌 건강 : 기억력과 인지력 증진

 

호두는 주름진 외형이 인간의 뇌와 유사하여 뇌 건강에 유익하다는 오래된 믿음이 있다. 현대 연구에서도 호두에 포함된 오메가-3 지방산과 항산화 물질이 뇌의 염증을 줄이고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해 인지 기능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미국 로마 린다 대학 연구에서는 하루 한 줌의 호두 섭취가 인지력 향상과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억력과 같은 뇌 기능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처: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 옥수수와 잇몸 건강 : 옥수수 추출물의 항염 효과

 

옥수수의 알갱이 모양이 치아와 유사해 잇몸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실제로 최근 연구들은 옥수수에서 추출한 특정 성분이 잇몸 염증을 줄이고 구강 내 세균 활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준다. 일본 교토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옥수수에서 얻은 폴리페놀 성분이 잇몸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치주염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치주질환이 만성 염증 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옥수수가 항염 효과를 통해 잇몸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처: Kyoto University).

 

 

3. 토마토와 심장 건강 : 라이코펜이 심장병 예방

 

토마토를 잘랐을 때 나타나는 붉은 색과 심장 방 구조와 유사한 형태는 심장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는 전통적인 생각을 뒷받침한다. 실제로 토마토의 라이코펜은 강력한 항산화제 역할을 하며, 하버드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라이코펜 섭취가 심장병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출처: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4. 아보카도와 자궁 건강 : 엽산의 여성 생식 건강

 

아보카도의 자궁과 닮은 모양은 고대부터 여성 생식 건강에 좋다고 여겨졌다. 현대 연구는 아보카도의 엽산이 태아의 신경관 결손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자궁 염증을 줄이는 효과도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스탠포드 의대 연구에 따르면 아보카도가 생식 건강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임산부에게도 유익한 음식으로 추천되고 있다. (출처: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 당근과 눈 건강 : 베타카로틴이 시력 보호

 

당근의 길고 홍채를 닮은 형태는 눈 건강과의 연관성을 암시한다. 실제로 당근에는 눈의 망막을 보호하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해, 비타민 A로 전환되면서 야맹증 예방에 기여한다. 영국 왕립 안과학회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당근의 베타카로틴이 노화로 인한 시력 손실과 황반 변성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The Royal College of Ophthalmologists)

 

 

6. 콩과 신장 건강 : 이소플라본의 신장 보호

 

콩의 신장과 닮은 모양은 실제로 신장 기능 개선과 연관이 있다. 콩에 포함된 이소플라본 성분은 만성 신장 질환 환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시아 보건기구의 연구에서는 신장 염증과 손상을 줄이는 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출처: Asia-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이들 식품과 신체 부위간 연관성에 대해 전문가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의 영양학 교수 마이클 리(Michael Lee)는 "식품의 형태와 효능 간의 연관성이 입증되기 위해서는 식품 내 활성 성분의 인체 영향에 대한 명확한 과학적 증거가 필요하다"면서 "이러한 상관관계는 흥미롭고 가능성은 있지만, 실질적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선 더 많은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탠포드 의과대학의 식품 연구원인 에밀리 킴(Emily Kim)은 시그너처 의학 이론이 가진 의의를 높게 평가하면서도 "고대 이론이 현대 과학적 연구와 결합할 때 혁신적인 결과를 낼 수 있다"면서 "특히 생리학과 유전학적 접근이 결합되면 특정 식품이 특정 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더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교토대 의학부 치주학 전문가인 타카시 야마다(Takashi Yamada) 박사는 "각 식품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섭취 방법이 중요하다"며, "예를 들어 옥수수 추출물의 경우, 꾸준한 섭취와 더불어 구강 위생을 병행하는 것이 잇몸 건강 유지에 최적화된 접근법"이라고 피력했다.

 

이들은 향후 더욱 깊이있는 연구와 다양한 임상 실험을 통해 이러한 식품들의 구체적인 건강 기전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마음공간] 무인도에 간다면 무엇을 가져가고 싶으신가요?

영화 <김씨표류기>를 기억하시나요? 밤섬이었죠? 지하철도 머리 위로 지나고 한강변에…암튼 낄낄대며 때론 박장대소하며 그 작품이 안겨준 페이소스에 참으로 즐거워하던 기억이 납니다. 사실 셀프 고립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죠. 물론 영화 속이라 망정이지 정말 실제 현실이었다면 웃음 대신 눈물만 가득했을 듯 합니다. 여러분, 혹시 무인도에 가셔야 하고 뭐 하나를 갖고 갈 수 있다면 그건 무엇일까요? 본래 뭐 하나 갖고 싶냐는 질문이라면 대뜸 열에 아홉은 ‘돈’이라고 하겠으나 이 질문 막상 받아보면 쉽사리 답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무인도라는 환경과 복수가 아닌 단수로 딱 하나를 챙겨야 하니 묘안이 딱 떠오르진 않더라구요 (물론 통신이 터진다면 단연 휴대폰일 듯 합니다) <쇼펜하우어 인생수업>(쇼펜하우어 저 / 김지민 엮음, 주식회사 하이스트그로우) 그 34 번째 주제는 ‘가장 강력한 즐거움의 원천은 건강’ 입니다. 우리가 행복을 느끼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정도는 주관적인 것이 객관적인 것보다 비교 불가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책은 말합니다. 그리고 그 즐거움의 원천 중 가장 강력하고 거대한 것이 바로 ‘건강’이라고 일깨워줍니다. 사실 건강해야 뭘 하

[마음공간] 뭐든지 적당한 것이 좋다…그것이 의심일지라도

마음공간을 써 내려간 지 제법 된 듯 한데 덩달아 이 주제를 제공하는 쇼펜하우어 형님의 챕터도 후반부를 향해 갑니다. 앞서 칼럼에서도 말씀 드린 바, 전반부는 정말 명심보감같은 명제가 많아 그의 진면목을 엿보기 쉽지 않아 조금 아쉬웠는데 후반부는 정말 제대롭니다. 우리가 습득하는 지식, 최근엔 각종 포털을 비롯 소셜미디어는 물론 유튜브를 통해 많이들 익히고 퍼뜨리곤 합니다. 그러고보니 하루 중 대다수 소통은 카톡인데 여기서도 많은 것들이 오가고 있지요. 과거처럼 책을 심독한다든지 매일 아침 신문을 양손에 쥐고 대자로 펼쳐 읽는 건 정말 역사의 한 장면으로 전락한 듯 합니다. <쇼펜하우어 인생수업>(쇼펜하우어 저 / 김지민 엮음, 주식회사 하이스트그로우) 그 33 번째 주제는 ‘모든 지식을 적당히 의심해보아야 한다’ 입니다. 어디서 무엇을 듣고 그걸 배운다고 가정해 볼때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우선은 조금이나마 의문을 가져보라고 하네요. 이는 단지 옳고 그름의 척도를 살피란 일차원적 이야기는 아닙니다. 많은 이들이 왜곡된 사실을 바탕으로 마치 사실인양 떠들면서 그들의 돈벌이로 이용하기도 하니 이를 조심하란 뜻입니다. 그나저나 그 형님이 사셨던

[마음공간] 사실이 아닌 진실에 집중해야 하는 까닭

저는 홍보맨 입니다. 그래서 늘 ‘팩트’란 단어를 기자처럼 입에 물고 살고 있습니다. “그거 팩트래? 팩트야? 팩트 아니지?…” 팩트는 곧 사실이니 실제라 여겼고, 실제는 실존하는 사실이니 거짓이 아니라 여겨집니다. 그래서 진실과 통용되기도 하지요. 하지만 좀 더 들여다 보면 아주 미묘해 보여도 차이가 있고 그 차이가 정말 큰 또 뭔가를 만들어 낸다는 걸 나이가 들어가며 깨우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저 사람이 잘못한 게 팩트인데 그렇다고 그 사람이 나쁜건 팩트가 아니더라구요. 진실은 그 작자가 잘못할 수 밖에 없던 형국이고 그는 거기 맞서 싸우다 진 것일 뿐 진실의 관점에선 그가 옳았던 적을 우리는 수없이 봐왔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챕터를 만났는데 전반부의 쇼펜하우어 형님이 좀 지루하거나 너무 명제적 명제를 남발했다면 후반부엔 정말 꼬집어 주고 일깨워 주시네요. <쇼펜하우어 인생수업>(쇼펜하우어 저 / 김지민 엮음, 주식회사 하이스트그로우) 그 32 번째 주제는 ‘진실과 거짓을 판별할 줄 알아야 한다’ 입니다. 힘들고 힘든 현대의 도심생활에서 소위 말하는 승자가 될 수록 점점 더 외톨이가 되었다고 말씀하시는 부분에선 무릎을 탁 쳤습니다.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