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골드번호 1만개의 주인공을 찾는 '골드번호 프로모션’을 매년 시행한다. [SK텔레콤]](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41040/art_17280879022759_ce226a.jpg)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현재 사용되는 010 휴대전화 번호 개수가 2032년 최대치를 찍을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인구 감소 영향으로 010 번호의 고갈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4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이동통신 전화번호 이용 전망에 따르면, 예측 결과 010 번호 수요가 2032년에 최대치인 6457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32년 사용 가능한 전체 010 번호의 80.7%로, 최대치에 도달해도 20% 가까이 가용 번호가 남는다. 또 필요한 010 번호 개수는 2032년 최대치를 찍은 뒤 인구 감소로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010 번호 사용량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인구 감소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번호 소진 위험은 없다는 연구결과다. 하지만 듀얼번호 및 멀티번호 수요, 국내 유입 외국인 증가 등의 변수는 장기 예측모형에 반영되지 않아 향후 수요 변동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010 번호는 2023년 10월 기준 6370만개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용 가능 번호 자원의 79.6%로 역대 최대치다. 이동통신용 010 번호 자원 총 8000만개(010-AYYY-YYYY) 중 7392만개(92.4%)가 통신 사업자에 할당된 상태다.
반면 시내전화(02, 031 등) 번호의 사용률은 21.3%, 인터넷전화(070) 번호 사용률은 23.6%로 비교적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LG유플러스가 2024년 9월 25일부터 10월 8일까지 선호번호 1만개 추첨 이벤트를 진행한다. [LG유플러스]](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41040/art_17280879028301_6dc72c.jpg)
또 기존 01X 번호(011, 016, 017, 018, 019) 회수는 SKT와 KT가 2022년 8월에 완료했고, LG유플러스는 2023년 7월에 마무리했다.
번호 소진 시 후속 번호에 대한 국민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011’ 번호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2023년 10월 1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전국 20~69세 남녀 10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됐다.
이는 과거 011 번호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와 향수로 분석된다. 하지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결과는 "정책 일관성과 번호체계 신뢰성 유지 측면에서 011을 포함한 01X 번호보다는 020 번호를 후속 번호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최수진 의원은 “010 번호 고갈 위험성은 크지 않지만, 장기적인 예측에서 멀티 번호 수요 증가 등의 변화가 반영되지 않았다”며 “한정적인 이동통신 번호 자원에 대해 정부의 철저하고 면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