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편집자주> 지금 이순간에도 강남으로의 이주를 꿈꾸며 ‘강남 환상’ 혹은 '강남의 찐가치'에 사로잡혀 있는 비강남 사람들에게 진실된 모습을 알리고자 한다. 때론 강남을 우상화하고, 때론 강남을 비화하는 것처럼 느껴질 지도 모르지만, 언젠가 강남의 가치가 급등해 비자를 받아야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서 '강남VISA'라 명명한다. 나아가 강남과 강북간의 지역디바이스를 극복하는데 일조하고 이해의 폭을 넓혀 허상도 파헤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 개인의 사적인 의견이니 오해없이 그냥 가볍게 즐겨주길 바란다.
서울시 부동산 시장이 강남권 중심으로 거래량이 급증하며 가격급증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올해 서울시 재산세의 43%를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가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9월 토지·주택분 재산세로 전년 대비 2.4% 늘어난 4조1780억원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집값 상승으로 전년 대비 비중도 0.14%포인트 올랐다. 아울러 재산세 고지서 430만건도 발송했다.
지난 7월 부과된 1조5339억원을 합쳐 올해 주택분 총재산세는 3조515억원으로 집계됐다. 토지분 재산세는 개별공시지가(전년 대비 1.33%↑) 상승으로 전년보다 0.41% 늘어난 2조6604억원을 기록했다.
물건별로 살펴보면 토지분 2조6604억원, 주택분 1조5176억원이다. 재산세는 과세기준일인 6월 1일 현재 주택·토지·건축물 등을 소유한 자에게 매년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부과된다. 7월에는 주택분 절반과 건축물·항공기·선박에 재산세가 부과되고, 9월에는 나머지 주택분 절반과 토지에 대해 징수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공동주택 가격이 전년 대비 3.25% 오르는 등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라 재산세 부과액도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역시 강남 3구의 재산세 기여도는 43%로 25개 중에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강남구 22.4%(9338억원), 서초구 12.0%(5006억원), 송파구 8.4%(3526억원) 등 세 개 자치구 비중은 서울시 전체 재산세의 42.8%에 달했다. 전년(42.66%)에 비해서도 기여도가 확대됐다.
그 뒤를 이어 중구 5.9%(2458억원), 영등포구4.8%(2001억원), 용산구 4.7%(1971억원)로 파악됐다.
7위~10위는 마포구, 종로구, 강동구, 강서구 순이었다.
11위~15위는 성동구, 양천구, 동작구, 광진구, 동대문구가, 16~20위는 성북구, 구로구, 관악구, 서대문구, 노원구로 나타났다.
21위~25위는 은평구, 금천구, 중랑구, 강북구, 도봉구 순이었다.
반면 재산세 부과 비중이 낮은 자치구는 도봉구(0.9%·396억원), 강북구(1.0%·406억원), 중랑구(1.3%·527억원) 등으로 모두 강북권이었다.
전년 대비 재산세 증가율이 가장 높은 자치구로는 청량리역 등에서 대규모 재건축이 완료됐거나 진행 중인 동대문구가 꼽혔다. 동대문구의 재산세 부과액은 827억원으로 전년(795억원) 대비 4.03% 늘었다. 정비사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양천구(3.97%), 동작구(3.29%), 영등포구(3.25%)도 재산세 비중 상승률이 높은 편에 속했다.
재산세를 납부하는 외국인도 소폭 늘었다. 올 9월 재산세를 내는 외국인은 2만2942명으로 지난해(2만2406명)보다 500명가량 많다. 언어별로는 영어 61.7%(1만4151명), 중국어 36.3%(8322명), 일본어 1.2%(269명), 독일어 0.4%(98명)로 나타났다.
김진만 서울시 재무국장은 “바쁜 일상, 추석 연휴 등으로 재산세 납부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서울시 지방세 인터넷납부시스템(ETAX), 모바일 앱(서울시 STAX),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토스페이 등을 활용해 9월 30일 기한 내 꼭 납부해 주시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세금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을 지속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