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지금 이순간에도 강남으로의 이주를 꿈꾸며 ‘강남 환상’ 혹은 '강남의 찐가치'에 사로잡혀 있는 비강남 사람들에게 진실된 모습을 알리고자 한다. 때론 강남을 우상화하고, 때론 강남을 비화하는 것처럼 느껴질 지도 모르지만, 언젠가 강남의 가치가 급등해 비자를 받아야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서 '강남VISA'라 명명한다. 나아가 강남과 강북간의 지역디바이스를 극복하는데 일조하고 이해의 폭을 넓혀 허상도 파헤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 개인의 사적인 의견이니 오해없이 그냥 가볍게 즐겨주길 바란다.
올들어 서울시 부동산 시장은 거래량이 급증하며 가격급증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서울시의 재산세 부과액이 지난해보다 700억원 이상 늘어났다.
시장 선호도가 높은 강남, 서초 등 강남지역은 6% 이상 증가하고, 동대문은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서울시는 주택·건축물·선박·항공기 소유자에게 부과할 7월분 재산세 486만건(2조1763억원)을 확정해 고지서를 발송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년 대비 3.7%(768억원)가 늘었다. 주택공시가격 상승으로 6억원 초과 주택이 작년보다 5.9%(7만건) 늘었다.
7월분 재산세를 서울시 25개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가 3867억원으로 가장 많은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서초구 2429억원, 3위는 송파구 2125억원 순이다. 강남3구가 금은동메달을 모두 가져간 셈이다.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의 점유율을 모두 합치면 38.8%로 나타났다. 서울시 재산세의 40%가량을 강남3구가 내고 있는 셈이다.
4위~10위는 영등포구, 강서구, 용산구, 마포구, 양천구, 강동구, 성동구로 나타나 TOP10을 형성했다.
1위~5위(강남, 서초, 송파, 영등포, 강서)까지의 점유비율은 49%에 달해, 서울 전체 25개 자치구 중 상위 5개가 절반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위~15위는 중구, 동작구, 구로구, 광진구, 성북구, 16위~20위는 은평구, 노원구, 동대문구, 종로구, 금천구 순으로 파악됐다.
25위는 가장 적은 강북구 210억원이며, 24위는 도봉구 251억원, 23위는 중랑구 327억원으로 나타났다.
22위 관악구, 21위 서대문구로 조사됐다.
자치구별 재산세 부과액은 편차가 컸다. 동대문구에는 올해 475억원을 부과해 전년(432억원)보다 10.0% 증가, 유일하게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시장의 관심이 높은 서초구(2282억원→2429억원, 상승률 6.4%), 강남구(3640억원→3867억원, 6.2%), 강동구(740억원→785억원, 6.1%) 순이었다. 송파구(2056억원→2125억원)도 3.4% 증가했다.
재산세는 과세 기준일인 6월 1일 현재 과세 대상인 주택·토지 등을 보유한 소유자에게 매년 7월과 9월 부과된다.
7월에 재산세 고지서를 받은 납세자는 31일까지 납부해야 한다. 납부 기한을 넘기면 3%의 납부 지연 가산세를 추가 부담한다.
올해 7월분 재산세의 과세 물건별 세액은 주택분 1조5339억원, 건축물 6311억원, 선박·항공기 재산세는 113억원이다. 재산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분은 지난해(1조4494억원) 대비 5.8%(845억원)나 증가했다.
서울시는 "공동주택과 개별주택 공시가격이 각각 3.25%, 1.13% 상승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건축물 재산세는 지난해(6384억원)보다 1.1%(73억원) 감소했다.
납세자들은 인터넷(서울시 이택스)과 모바일 앱(서울시 STAX), 간편결제사 앱(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 등), 전용계좌, 은행 현금인출기(CD/ATM) 또는 무인공과금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