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랭킹연구소] 서울 한강 다리는 모두 몇개?··· 통행량·자살률 1위는?

한강의 다리 [두산백과사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서울은 한강을 기준으로 강남, 강북으로 나뉜다. 그렇다면 한강의 다리는 모두 몇개일까?

 

우선 최초의 한강다리는 노량진과 제물포를 잇는 경인선이 1899년 만들어지면서, 노량진에서 한강 북쪽의 용산으로 가기 위해 다리가 필요해 1900년 한강다리가 최초로 만들어졌다. 그 다리가 바로 한강철교다.

 

2024년 2월 현재 한강에는 현재 32개의 다리가 있다. 2023년 개통된 월드컵 대교를 포함해 2024년 기준 32개인 셈. 행정상으로 서울시에는 28개가 있다.

 

2024년 개통을 목표로 강동구와 구리시 사이에 놓인 고덕대교가 곧 완공하면 33개의 된다.

 

현재 한강 다리는 서쪽부터 일산대교, 김포대교, 신행주대교, 방화대교, 마곡철교, 가양대교, 월드컵 대교, 성산대교, 양화대교, 당산철교,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 한강 철교, 노량대교, 한강대교, 동작대교, 반포대교, 잠수교, 한남대교,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잠실대교, 잠실철교, 올림픽대교, 천호대교, 광진교, 구리암사대교, 강동대교, 미사대교, 팔당대교 이렇게 33개가 있다.

 

그렇다면 서울 한강 다리 중 차가 가장 많이 다니는 곳은 어딜까? 이른바 통행량 1위 다리는 바로 한남대교(용산구 한남동~강남구 신사동)다. 1일 평균 19만 대 이상으로 한강 다리 중에서 통행량이 가장 많다. 한남대교는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고속도로에 진입 가능한 관문 역할을 하기도 한다.

 

통행량 2위는 성산대교(마포구 망원동~영등포구 양평동)다. 한남대교에 이어 통행량이 가장 많은 한강 다리 2위다. 하루 통행량 16만 대에 달한다. 

 

그렇다면 한강 다리 중 통행량이 가장 적은 곳은 어디일까? 정답은 서강대교(영등포구 여의도동~마포구 신정동)다. 서강대교가 한강다리 중 차량 통행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월드타워 123층에서 바라본  한강과 한강교량들 [뉴스스페이스DB]

 

또 한강 다리 중 자살 시도 건수가 가장 많은 다리 1위는 마포대교다. 2위는 한강대교, 3위가 양화대교, 4위가 한남대교, 5위가 동작대교다. 

 

반면 조사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가장 자살 시도 건수가 가장 적은 다리는 동호대교인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그 이유는 동호대교가 전철, 버스등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올라가다 떨어져 죽을가능성이 높아서가 이유인 것으로 분석된다. 자살과 자살소동과의 아이러니한 상관관계가 재미있는 포인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송파구 아파트 지하에 국내 첫 ‘핵 벙커’ 짓는다…“최대 14일 생존, 1020명 동시 수용” 2028년 완공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는 송파구 가락동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조성 중인 송파 창의혁신 공공주택의 지하 3층에 연면적 2147㎡(약 649평) 규모의 핵·화생방 대피시설을 독자적으로 건설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벙커는 최대 1020명이 동시에 수용 가능하며, 핵·화생방 공격 발생 시 14일간 생존이 가능한 각종 위생·급수 시설, 청정구역, 제독구역, 청정기계실 등이 마련된다.​ 핵·화생방 벙커 주요 사양 및 특징 이 벙커는 국내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 건설하는 첫 민방위 시설로,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약 34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평상시에는 주민 운동시설 등으로 활용되며, 비상시에는 현대화된 공조설비와 정수·위생시스템, 체류 인원을 위한 침상과 의료설비, 외부 오염 차단 기능이 적용된다.​ 배경 및 사회적 의미 이 프로젝트는 북한의 핵·화생방 위협,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커진 도시안보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서울시는 ‘디펜스 서울 2030’ 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유럽, 미국 등에서 핵·생존 벙커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스페인의 경우 2022~2025년 민간 벙커 건설이 200

[랭킹연구소] 한국 부자 2400명 해외로·21조원 금융자산 유출…백만장자 순유출국 TOP4, 영국·중국·인도·한국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의 부자들이 급속도로 해외로 이주하며 2025년에는 약 2400명의 백만장자가 한국을 떠날 전망이다. 닛케이, 블룸버그, 헨리 앤 파트너스 보고서(2025)​에 따르면, 이는 3년 전 400명에 비해 6배나 증가한 수치로, 영국,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4위의 백만장자 순유출국으로 기록된다. 이에 따른 금융자산 유출액은 약 152억 달러(한화 약 21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대규모 이주의 배경에는 한국의 높은 상속세, 불리한 사업 및 거주 환경,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 부자들의 해외 이주의 주된 원인 부자들은 한국을 떠나는 이유로 ‘세계 최고 수준의 상속세율’을 가장 크게 지적한다. 한국의 상속세는 최대주주 할증까지 포함하면 최대 60%에 달해 OECD 국가 중 가장 높으며, OECD 내 14개국은 아예 상속세가 없는 상황과 대조된다. 이 외에도 낮은 세금, 호의적인 사업 환경, 양질의 거주 여건을 이유로 들고 있다. KB경영연구소가 10억원 이상 자산가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26.8%가 ‘해외 투자이민을 고려해봤다’고 답한 점이 이를 방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