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공간사회학] 전국 1만4735개 유·초·중·고교 중 최고(最古)의 학교는?…반포 계성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시에는 사립초등학교가 총 38곳이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부자들이 많이 살고 가장 교육열이 높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이른바 강남3구에 의외로 사립초가 1곳뿐이라는 점이다.

 

그곳은 바로 계성초등학교. 

 

고등교육통계서비스(kess.kedi.re.kr) 사이트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현재 전국의 유치원은 8441개, 초등학교는 6345개, 중학교는 3279개, 고등학교는 2381개다.(폐교 제외)

 

전국 초등학교 6345개 중에 서울에 608개, 경기에 1350개, 인천에 270개, 부산에 305개 있다.

 

2023년 현재 전국의 대학교는 총 185개이고(분교,캠퍼스 제외) 이 중 서울에 38개, 경기에 30개, 인천에 3개, 부산에 12개 등이 있다. 올해 기준 전국에 전문대학은 133개 있으며 기능대학은 33개, 4년제 사이버대학은 17개가 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전국 1만4735개의 유치원·초등·중등·고교 중 가장 역사가 오랜 학교는 어디일까?

 

눈치챘겠지만, 개교 140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국내의 현존 초·중·고등학교를 통틀어서 가장 오래된 학교는 계성초등학교다. 가장 오래된 학교가 강남의 한복판,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들인 반포 원베일리, 아크로리버파크, 래미안퍼스티지, 반포센트럴자이 등이 위치한 반포에 있는 것.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인 서울계성초등학교(서울 서초구 소재, 사립)의 최초 설립일은 1882년 9월 8일로 명동성당 근처에서 개교했다. 조선시대 말기인 고종 19년으로 조선교구 제6대 교구장인 펠릭스 클레르 리델(Felix Clair Ridel, 한국명 李福明)이 인현서당 개교(학생 11명)해 1883년 8월 종현(현재의 명동)으로 옮기고, 1909년 9월 계성학교로 개명했다. 2006년 2월 명동에서 반포로 학교를 이전했다. 관할은 서울특별시 강남서초교육지원청이다.

 

계성초등학교(啓星初等學校)는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소속의 미션스쿨로,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사장은 가톨릭학원의 이사장이기도 한 추기경이 겸한다. 학교명 '계성'은 '샛별(계명성)'이라는 뜻이다.

 

국공립 가운데 가장 오래된 학교는 서울교동초등학교(서울 종로구 소재)로 최초 설립일은 1894년 9월 18일이다. 고종 31년 갑오개혁이 일어난 해에 관립교동소학교로 문을 열어 지난 3월 2일 제127주년 입학식을 거행했다.
 

설립 110년 이상으로 구한말에 개교한 학교는 270개 정도이고, 1945년 이전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학교는 2101개에 달한다. 이 중 현재까지 운영 중인 학교의 20.2%는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 설립된 것이다. 

 

계성초는 서울의 어떤 사립초등학교들 중에서도 비교 대상이 없을 정도로 뛰어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각종 대형 행사들을 치르는 학교의 대강당인 바오로관이 유명하다. 바오로관 의자는 리모콘 하나로 조종된다. 무려 1억5000만원이다. 리모콘 작동 하나로 470석 규모의 공연장으로 변신한다.

 

계성초 설립당시 200억원대의 공사비와 4300평의 강남 학교부지만으로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당시 계성초등학교 관계자는 "10년동안 호주.뉴질랜드.싱가포르, 미국 등 해외 유명 사립학교를 찾아 좋은 부분만 벤치마킹하느라 공사비 200억원도 빠듯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한국 부자 2400명 해외로·21조원 금융자산 유출…백만장자 순유출국 TOP4, 영국·중국·인도·한국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의 부자들이 급속도로 해외로 이주하며 2025년에는 약 2400명의 백만장자가 한국을 떠날 전망이다. 닛케이, 블룸버그, 헨리 앤 파트너스 보고서(2025)​에 따르면, 이는 3년 전 400명에 비해 6배나 증가한 수치로, 영국,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4위의 백만장자 순유출국으로 기록된다. 이에 따른 금융자산 유출액은 약 152억 달러(한화 약 21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대규모 이주의 배경에는 한국의 높은 상속세, 불리한 사업 및 거주 환경,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 부자들의 해외 이주의 주된 원인 부자들은 한국을 떠나는 이유로 ‘세계 최고 수준의 상속세율’을 가장 크게 지적한다. 한국의 상속세는 최대주주 할증까지 포함하면 최대 60%에 달해 OECD 국가 중 가장 높으며, OECD 내 14개국은 아예 상속세가 없는 상황과 대조된다. 이 외에도 낮은 세금, 호의적인 사업 환경, 양질의 거주 여건을 이유로 들고 있다. KB경영연구소가 10억원 이상 자산가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26.8%가 ‘해외 투자이민을 고려해봤다’고 답한 점이 이를 방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