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애플이 오는 9월 9일 미국 현지 시각 기준 아이폰 17을 공개하면서, 2년 연속 한국을 1차 출시국에 포함시키는 전략적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는 9월 12일부터 사전 예약이 시작되며, 19일부터 정식 개통이 진행될 예정이다. 과거 아이폰 신제품 출시 시 한국은 주로 2차 출시국에 포함됐으나, 작년 아이폰 16부터 미국, 중국, 독일, 인도 등과 함께 1차 출시국 반열에 올랐다. 삼성 독주에도 불구, 애플 하반기 반격 노린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독주는 여전하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국내 스마트폰 누적 판매량에서 삼성전자는 무려 82%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 점유율이 80%를 돌파한 첫 사례로, 전년 동기 대비 4%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같은 기간 애플은 18% 점유율로 2위에 머물러 있다. 삼성의 고공 점유율은 갤럭시 S25 시리즈의 하드웨어 성능 향상과 갤럭시 Z 폴드 7의 초기 판매 호조가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비해 아이폰은 매년 3분기 하반기에 출시됨에 따라 상반기 판매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점도 존재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애플(AAPL)이 전직 센서 시스템 설계자 첸 시(Chen Shi)를 상대로 애플 워치 개발 관련 핵심 영업비밀 유출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첸 시는 2020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애플 워치팀에서 근무하며 고도화된 센서 시스템 설계 기술과 내부 설계 문서, 제품 로드맵 등 민감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South China Morning Post, 9to5Mac, MacRumors, The Verge, Android Authority등의 보도에 따르면, 첸 시는 퇴사 직전까지 회사에 자신의 퇴사를 숨기고 고령 부모를 돌본다며 거짓말을 한 반면, 2024년 10월 중순경 중국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제조사 오포(Oppo)의 채용 제안을 받아 이를 은폐한 채 내부에서 ‘기밀 정보 수집’을 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퇴사 3일 전 애플의 보호된 Box 폴더에서 63건의 파일을 다운로드해 USB로 이동시켰고, 이후 맥북 완전 삭제 방법과 공유 드라이브 내 파일 열람 흔적 감지 여부를 검색하는 등 증거 인멸 준비 정황을 보였다. 첸 시는 퇴사 전 애플 워치 팀 내 여러 핵심 연구개발 인력과 다수 1대1 면담을 가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장남 정창철(28)씨가 그룹 일본 현지법인 현대 모빌리티 재팬(HMJ)에 평사원으로 입사, 본격적인 ‘경영 수업’에 나섰다. 업계 일각에서는 경영 후계 구도 가시화와 함께, 과거 만취운전 사건 등 논란을 딛고 한일 시장의 첨병 역할을 맡을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일본법인 합류 배경과 향후 역할 정창철 씨는 2025년 초 HMJ 상품기획 파트에 합류해 요코하마 본사에서 미래차 개발과 상품성 평가를 주도하고 있다. 현대차는 2022년 일본 시장에 12년 만에 재진출해, 전기차와 카셰어링에 집중한 ‘미래 모빌리티’ 역량 강화를 추진 중이다. 올해 상반기 현대차는 일본에서 438대(2024년 연간 618대, 2023년 492대) 판매하며, 역대 최고 반기 실적을 기록했다. INSTER EV 등 신차 투입에 힘입어 전체 일본 수입차 시장 내 점유율도 소폭 상승했다(2025년 연간 680대 목표). 상품기획 부서는 연구개발부터 마케팅·기술까지 현업과 밀접히 연계된 핵심부서다. 한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여전히 ‘외산차 불모지’여서, 4세 경영인의 경험 축적 및 시장 개척 의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독일 저가 항공사 여객기가 비행 도중 엔진 주변에서 불이 났으나 다행히 이탈리아에 임시 착륙하며 승객 모두가 극적으로 살았다. 2025년 8월 16일(현지시간), 그리스 코르푸에서 독일 뒤셀도르프로 향하던 독일 저가 항공사 콘도르(Condor)의 보잉 757-300 여객기 DE 3665편이 오른쪽 날개 엔진 부근에서 불꽃과 화염이 치솟았다. 약 40분간 비상 상황을 겪은 끝에 이탈리아 남부 브린디시 공항에 긴급 착륙했다. 당시 여객기에는 승객 273명과 승무원 8명 등 총 281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독일, 이탈리아 현지 언론을 비롯해 Economic Times, New York Post, Kerala Kaumudi, Hindustan Times등의 보도에 따르면, 출발 직후 항공기 엔진에서 폭발음과 함께 불길이 시각 및 영상으로 포착됐다. 콘도르 측은 공식 설명에서 이것이 엔진 내부의 폭발이 아닌, 엔진 이상으로 인한 연소 과정이 외부에서 벌어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조종석에는 엔진 계기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는 경고가 떴고, 조종사는 즉시 엔진을 정지시킨 뒤 근처 브린디시로 우회해 안전 착륙을 결정했다. 비행 거리는 약 2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도심 한복판, 지하철, 그리고 험준한 산길까지. '반려견과의 동행'이란 말이 이보다 더 실감나는 순간이 있을까. 최근 SNS와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세 장의 사진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반려견 라이프의 현장을 보여준다. 첫 번째 사진은 '반려견 밀착 케어'의 진수다. 지하철 한복판, 얌전히 앉아 있는 승객들 사이에서 아기 띠를 두른 주인 품에 쏙 안긴 강아지! 사람들을 관찰하며, 누가 자신에게 말을 걸까 기대하는 듯한 그 눈빛. 아이 대신 강아지를 안고 출퇴근하는 일상이 이색적으로 다가온다. 지하철에서 만난 '특급 VIP 승객' 출현에, 주변 승객들도 소리 없는 미소를 선물한다. 두 번째 장면은 강남 도로 위를 경쾌하게 달리는 오토바이. 그러나 눈에 띄는 것은 운전자보다 더 여유로운 표정의 왕견 세 마리다. 노란 바구니에 올라탄 강아지들은 마치 "이게 바로 시티 투어지!"라고 외치는 듯, 꼿꼿하게 도시의 풍경을 감상하고 있다. 옆 오토바이 운전자도 놀란 듯 쳐다보고 있지만, 개들은 도로의 주인임을 의연히 증명한다. 세 번째 장면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열정적인 '등산러' 중 한 명일지도 모르는 웰시코기. 등산객들과 함께 바위길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구글이 최근 이미지 편집 기술 리더보드 1위를 차지한 ‘나노 바나나(nano banana)’ AI 모델을 공식 공개했다. 이 모델은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첨단 AI 이미지 생성 및 편집 기술로, 자사 AI 플랫폼 ‘제미나이(Gemini)’ 앱에 ‘제미나이 2.5 플래시 이미지(Gemini 2.5 Flash Image)’라는 이름으로 통합돼 2025년 8월 26일부터 모든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미지 편집의 ‘일관성’ 난제 해결 Google Official Blog의 발표를 비롯해 TechCrunch, Axios, AndroidAuthority, Reuters & Semrush via Nerdynav의 보도에 따르면, 딥마인드의 비주얼 생성 모델 제품 책임자 니콜 브릭토바는 이번 업그레이드의 핵심 혁신을 ‘피사체 일관성 유지’라고 강조했다. 일반 AI 편집 도구가 자주 겪는 문제인 얼굴이나 사물의 왜곡 없이, 예를 들어 셔츠 색상 변경 시에도 원본 인물이나 동물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기존 경쟁 모델들은 다중 편집 과정에서 미묘한 차이인 '비슷하지만 다른’ 불쾌한(?) 결과를 초래했으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사상 최초로 82%라는 경이적인 점유율을 달성했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가 8월 14일 발표한 자료로 확인된 수치며, 특히 2024년 동기 대비 전체 시장 판매량이 소폭 줄었음에도 삼성 스마트폰 판매가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애플은 18%의 점유율로 뒤를 쫓았으며, 양사의 격차는 사상 최대 폭을 기록했다. S25 시리즈 ‘광속행진’…300만대 돌파, AI 구독 효과 ‘직격탄’ 삼성의 독주는 차세대 갤럭시 S25 시리즈의 질주가 견인했다. S25 시리즈는 출시 5개월 만에 300만대 판매 대수를 돌파하며 전작 대비 두 달이나 빠르게 이정표에 도달했다. 특히 S25 울트라는 전체 시리즈 판매의 약 50%를 차지하며 프리미엄 수익성을 크게 끌어올렸다. 이번 성공에는 기존 갤럭시S 브랜드 경쟁력과 더불어 ‘AI 구독 클럽’이라는 혁신적 서비스 전략이 적중했다. 삼성은 1년 후 구매가의 최대 50% 환매를 보증하고, 독점 AI 기능을 제공하는 가입형 멤버십으로 구매욕을 자극했다. Z 폴드7·Z 플립7 ‘폴더블 붐’…사전예약 104만대, 초박형 Z 폴드7 ‘역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한화솔루션이 최근 자본금 12억원 규모의 이음자산운용 지분 100%를 인수하면서, 금융과 부동산 분야를 아우르는 투자 플랫폼 구축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음자산운용은 2021년 설립된 소형 운용사로, 자산규모는 작지만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부동산개발 컨설팅, M&A 자문 등 광범위한 금융업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어 사업 확장에 유리하다. 이번 인수는 한화솔루션 인사이트 부문의 태양광, 도시개발, 프리미엄 부동산 사업과 연계한 밸류체인 확장과 리스크 분담을 위한 전략적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한화솔루션은 2020년 에너지·석유화학 중심의 기업에서 최근 부동산 분야로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이미 사택 용지 개발을 위한 별도 법인 ‘에이치헤리티지’를 설립했으며, 연내 국토교통부 예비인가를 목표로 리츠(REITs) 자산관리회사(AMC) 설립을 추진 중이다. 특히 경기도 화성시에 3800억원 규모의 산업단지와 AI 데이터센터 개발 프로젝트와 연계한 5조원 규모의 리츠 조성도 준비 중인 상태다. 이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추진하는 미래 성장 동력 프로젝트와 맞닿아 있다. 더욱이 이번 자산운용사 인수는 김승연 회장의 3형제 경영구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주요 인공지능(AI) 연구자들이 인류의 미래를 두고 심각한 경고음을 내고 있다. 게다가 일부는 자신들이 은퇴 후 사용할 저축 자금을 쓸 만큼 오래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은퇴 저축을 중단하는 극단적인 결정까지 내렸다. The Atlantic, 뉴욕타임스, BBC, Scientific American, Forbes, McKinsey의 보도에 따르면, 기계 지능 연구소(Machine Intelligence Research Institute) 소장 네이트 소아레스는 최근 더 아틀란틱(The Atlantic)과의 인터뷰에서 "세상이 계속 존재할 거라고 기대하지 않는다"며 "더 이상 401(k) 은퇴계좌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AI 안전센터 소장 댄 헨드릭스 또한 은퇴할 무렵이면 “모든 것이 완전히 자동화되어 있을 것이다. 우리가 여전히 살아 있다면”이라고 전망했다. 이른바 "AI 파멸론자"로 불리는 이들은 AI 개발 속도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인류가 잠재적인 재앙적 AI 시스템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할 시간이 고갈됐다고 확신한다. AI 분야의 권위자인 'AI의 대부' 제프리 힌튼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영국에서 전통적인 부동산 매매 방식이 아닌, ‘복권(raffle) 형식’으로 주택을 판매하는 혁신적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SNS에서 화제가 된 “7억원짜리 집이 안 팔리자 복권으로 판매해 집값보다 더 많은 14억원을 벌었다”는 스토리는 실제로 영국과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현실에서 수차례 재현된 바 있다. 복권 티켓 판매로 집값의 두 배 수익…실제 사례도 존재 2025년 영국과 아일랜드 등의 매체들은 실제로 집주인이 부동산 경매 대신 유료 추첨 티켓(raffle ticket)을 판매해 일반 노동자가 주택을 당첨받은 사례를 자세히 보도했다. 아일랜드의 한 주택 소유주가 5파운드(약 8500원)짜리 티켓을 15만장 넘게 판매해 75만 파운드(한화 약 14억원)의 수익을 올렸고, 이는 해당 집의 시세(약 4억원대)를 훌쩍 뛰어넘는 기록이었다. 이 추첨에서 당첨자는 평범한 직장인이었고, 판매자는 통상적인 매매보다 더 많은 수익을 거뒀다. 영국에서도 ‘Raffall’ ‘WinMyDreamHome’ ‘PrizeVillas’ 등 경품 플랫폼에서 집이 오랜 기간 팔리지 않을 경우 복권 티켓(평균 3~10파운드)을 대량으로 판매, 추첨 방식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