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The Numbers] LG디스플레이, OLED 수혜로 4년 만에 흑자 전환 기대…주가 한 달 만에 31% 급등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디스플레이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사업을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에 성공하면서 4년 만에 적자의 늪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같은 실적 개선 전망에 힘입어 주가는 최근 한 달간 31.81% 급등하며 1만5620원을 기록, 1년 내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세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미국발 중국 제재가 공급망 재편을 촉진해 실적과 주가가 동반 상승하는 상황으로, 증권사들의 목표주가도 최대 2만원대까지 상향 조정됐다.​

 

13일 증권사들의 전망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2025년 3분기 영업이익은 4476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4147억원)를 큰 폭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가 예상된다. 3분기부터 OLED 패널 출하량 증가와 가동률 상승이 IT LCD 패널 적자를 상당 부분 상쇄하며 수익성 개선에 기여한다는 분석이다.

 

KB증권 김동원 연구원은 "중소형 OLED 출하 증가로 가동률이 상승하고 감가상각비가 감소, 원가구조가 개선돼 전사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간 실적 전망 역시 밝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집계 증권사 평균은 LG디스플레이의 2025년 영업이익을 약 8288억원으로 추정하며, 이는 2022년 -2조850억원에서 4년 만에 완전 흑자 전환하는 수치다.​

 

주가 상승 및 실적 개선에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미국발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 제재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025년 7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중국 BOE OLED 패널의 수입을 금지했고, 미국 국회는 적대국 OLED 조달 제한 법안(NDAA)을 통과시켜 LG디스플레이에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IBK투자증권 강민구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가 미국 OLED 공급망의 유일한 대안으로 부상했다"며 미국 주도의 디스플레이 산업 구조 개편이 중장기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외 시장조사 기관들도 OLED 패널 출하 확대를 뒷받침한다. 2025년 3분기에 LG디스플레이는 특히 애플 아이폰17 프로맥스용 패널 수요 증가에 힘입어 OLED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두 배 가까이 뛰어 오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한편 글로벌 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41%, LG디스플레이가 21%의 점유율을 굳건히 지키는 가운데 중국 업체들과의 격차 확대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경쟁 심화도 만만찮다. LG디스플레이는 과거 3년간 수익 변동성이 컸으나, 중형 패널 축소와 보수적인 설비투자를 통해 변동성을 완화하는 중이다. SK증권 권민규 연구원은 "북미 고객사의 OLED 채택 확대와 스마트폰 패널 디자인 변경으로 내년부터 높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동아쏘시오홀딩스 자회사 에스티젠바이오, BIX 2025 참가…글로벌 경쟁력 알린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에스티젠바이오(대표이사 사장 최경은)는 이달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바이오산업 전시회로 꼽히는 바이오플러스 인터펙스 코리아 2025(BIX 2025)에 3년 연속 참석해 기술력 홍보전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하고 서울특별시 및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BIX 2025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연구기관 및 학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다. 특히 혁신 신약 개발, 첨단 치료제, 의약품 생산 공정, 임상·비임상 연구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과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에스티젠바이오는 2023년부터 3년 연속 단독 부스를 마련해 활발하게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이어 나가고 있다. 부스 내 미팅 공간도 따로 마련해 잠재 고객사와 비즈니스 미팅을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에스티젠바이오는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 실사를 한 번에 통과하면서 우수한 품질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운영 중임을 입증했다. 또 미국과 유럽에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를 생산해 공급하고 있으며, 올해 국내외 제약사로부터 수주를 따내면서

아육대는 역시 NDY…에이피알, MBC 추석 특집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 NDY 공식 후원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글로벌 뷰티 기업 에이피알(대표이사 김병훈)의 패션 브랜드 NDY(엔디와이)가 MBC 추석 특집 ‘2025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 공식 후원사로 참여해 인기 아이돌과 패션 찰떡 궁합을 과시했다. NDY는 지난 10월 7일부터 9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추석 특집 프로그램 ‘2025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이하 아육대)’에 공식 후원사로 참여했다고 13일 밝혔다. ‘아육대’는 K팝 무대에서 활약하는 아이돌이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서 실력을 겨루는 색다른 모습을 담아낸 인기 명절 예능 프로그램이다. NDY는 브랜드명 변경 전인 지난 2019년 첫 공식 후원을 시작으로 6년 연속 아육대에 함께하고 있다. 올해로 15주년을 맞은 아육대는 총 61팀, 374명의 아이돌이 출전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 제로베이스원, 라이즈, 엔시티위시, 미야오, 아일릿 등 인기 아이돌 스타들이 아육대를 맞아 NDY 의상과 함께 치열한 경기와 다채로운 볼거리를 선보였다. 스포츠와 예능을 오가며 아이돌의 색다른 매력이 강조된 가운데, NDY가 최근 브랜드 리뉴얼과 함께 강조하고 있는 편안하면서도 스포티한 스타일 역시 시청자들에게 자연스럽게 각인됐다. NDY

연말 카톡선물 '다이슨' 어때?…홀리데이시즌 한정 ‘앰버 실크’ 에디션 출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다이슨코리아가 10월 31일까지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프트엑스(GiftX)’를 통해 홀리데이 시즌 한정 ‘앰버 실크(Amber Silk)’ 에디션 단독 패키지를 선보인다. 카카오톡 기프트엑스는 온라인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구매한 상품과 연계된 다양한 오프라인 체험을 결합해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선물 서비스다. 다이슨 앰버 실크 홀리데이 에디션은 영국 링컨셔 다이슨 파밍(Dyson farming)의 가을 풍경에서 영감을 받아 계절의 변화를 풍부하게 담아냈다. 반짝이는 구릿빛, 고급스러운 버건디, 은은한 샴페인 로즈가 어우러져 다가올 연말 시즌의 설렘을 드러내며, 모든 곡선은 빛 반사를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어 앰버 실크 특유의 고급스러운 광택을 한층 돋보이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기프트엑스 패키지는 ▲에어랩 i.d.™ 멀티 스타일러 앤 드라이어 ▲에어스트레이트 스트레이트너 ▲슈퍼소닉 뉴럴 헤어드라이어 등 다이슨의 대표 헤어 디바이스 3종의 앰버 실크 에디션과 함께 다이슨 헤어 에센셜 케어 제품으로 구성됐으며, 풍성한 혜택이 포함된다. 기프트엑스 대상 제품 구매 고객에게는 10월 30일부터 11월 9일까지 성수동에 위치한 팝업스토어인

[이슈&논란] "70분 기다려도 음식 안 주고 조롱"…맥도날드서 벌어진 교묘한 한국인 인종차별 '논란'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미국 뉴욕 맥도날드에서 한국인 유튜버 A 씨가 70분 넘게 주문한 음식을 받지 못하고 직원들로부터 조롱당하는 인종차별 경험을 공개해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해당 사건은 2025년 10월 8일(현지시간) 평일 한적한 오후에 발생했으며, 매장 내 다른 고객들은 모두 주문보다 늦게 도착했음에도 음식을 받는 가운데 A 씨 일행만 빈손으로 70분간 대기해야 했다. 직원들은 "곧 나온다"고 말하며 미소를 지었지만 실제 음식은 나오지 않았고, 주방 쪽에서는 "쟤들은 다시는 맥도날드 안 올 듯"이라는 비웃음 섞인 발언까지 들린 것으로 알려졌다. A 씨는 미국에서 6년 이상 영주권자로 거주하며 두 번째 겪는 교묘한 인종차별 사례라고 주장했고, 이미 맥도날드 본사에 공식 항의와 사과 요구, 직원 교육 의무화, 정신적 피해 보상 등을 요청한 상태다.​ 미국 내 아시아계 인종차별 실태와 경제적 영향 인종차별 사례는 팬데믹 이후 미국에서 급격히 증가한 실정이다. 2020년 당시 반중 정서가 확산되면서 아시아계 레스토랑들은 비아시아계 음식점보다 18.4% 더 큰 매출 하락을 겪었고, 이는 약 74억 달러의 매출 손실로 추산된다. 인종차별은 폭력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