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9 (토)

  • 맑음동두천 1.7℃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김천 자두·문경 오미자 철도역에서 만난다"…코레일유통, '지역 특화 상품'으로 새로운 고객 경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최근 기업 활동의 주요 트렌드는 '상생'과 '지속 가능한 성장'이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에 대한 긍정적 반응이 확대되면서, 기업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와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 흐름에 발맞춰 코레일유통(대표 이택상)이 공공자원인 철도 인프라를 활용해 지역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 올해 6월부터 ‘로코노미200+ 프로젝트’팀을 운영하며, 지역 상생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코레일유통이 추진 중인 프로젝트는 전국 철도역에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각 지역의 특색을 담은 상품을 통해 철도 이용객에게 특별한 여행의 즐거움을 선사하고 지역경제 성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레일유통은 지난 5월 문경시와 협력해 ‘문경 오미자에이드’를, 9월에는 김천 자두를 활용한 ‘김천 자두 애플티’를 한정 출시해 소비자에게 새로운 맛을 선보이고 지역 특산물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경제적 기회를 창출했다. 

 

문경 오미자에이드는 5,000잔 이상 판매되며,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재고가 소진될 정도로 인기를 끌어 오미자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내년 시즌 음료로 재출시를 검토 중이다.

 

김천 자두 애플티 역시 상품성이 낮아진 자두를 활용해 농가를 지원하는 동시에 ‘안녕자두야’ 캐릭터가 담긴 컵홀더를 적용해 기존 티백 음료 보다 높은 매출을 기록하며 고객과 지역사회 모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또한, 코레일유통은 청년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경제와 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익산시 ‘청년의 날’ 행사에서 코레일유통의 PB 생수 ‘행복할수’와 열차 모형 블록을 지원하고 전국 철도역에서 홍보를 진행해 청년과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었다.

 

또한 지난 10월에는 강화군 청년마을의 ‘잠시섬 어드벤처’ 프로그램에 자사의 PB 생수와 간식을 후원해 강화도의 매력을 알리고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코레일유통은 청년과 연계한 지역 상생 프로젝트를 보다 체계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지난 15일 행정안전부와 협력해 ‘청년마을’ 사업의 지역 상품 개발, 유통, 프로그램 운영 등을 지원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코레일유통 관계자는 “철도인프라를 활용해 지역사회와 청년 모두에게 의미 있는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협력 사업을 통해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상품과 프로그램을 널리 알릴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日고교 교과서 "독도는 일본땅" 주장...서경덕 "선 넘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6년 봄부터 일본 고등학생이 사용할 사회과 교과서 상당수에 '독도는 일본땅'이라는 억지 주장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 일본 지지통신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날 교과서 검정 조사심의회 총회를 열어 일선 고등학교가 2026년도부터 사용할 교과서 심사 결과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검정을 통과한 사회과 교과서는 지리총합(종합) 7종, 역사총합 11종, 공공 12종, 정치·경제 1종 등이다. 공공(公共)은 사회 체제와 정치, 경제 등에 관한 과목을 말한다. 새로운 고교 사회과 검정 교과서 대부분에는 4년 전 검정을 통과해 현재 사용되는 교과서처럼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 정부 견해가 그대로 실렸다. 이 매체는 지리·역사와 공공 교과서 모두가 독도를 다뤘다고 전하며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기술이 검정을 거쳐 추가된 사례도 있다고 소개했다. 이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초중 교과서에 이어 고등 교과서까지 독도에 관한 억지 주장을 펼치는 꼴"이라며 "일본이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서 교수는 "우리도 초중고 교과서에 일본의 억지 주장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반박하면 되는지를 상세히 기

[지구칼럼] 아보하가 쏘아올린 네잎클로버 열풍…네잎클로버 생성원인, 확률, 의미, 숨겨진 비밀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가 껌이라는 일상의 간식을 매개로 일상 속 소소함에서 행복을 찾는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 트렌드 마케팅을 펼친다. 2025년 떠오르고 있는 소비 트렌드 아보하는 일상 속 특별함에서 행복을 찾는 ‘소확행’ 트렌드와 달리 평범한 일상을 온전하게 잘 해내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트렌드다. 행운의 상징인 네잎클로버를 활용했고, 속 포장지는 종이접기로 네잎클로버를 만들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과거 껌 포장지로 종이접기를 해봤던 기성세대에게는 반가움을, 종이접기가 낯선 MZ세대에게는 색다른 즐거움을 준다. 럭키 롯데껌 3종을 합치면 총 108가지의 종이접기 디자인이, 조합해 만들 수 있는 네잎클로버 종류는 5778가지에 달한다. 행운의 상징인 네잎 클로버의 꽃말만 좋을까? 세잎 클로버의 꽃말은 행복이고, 다섯잎 클로버의 꽃말은 부(富)을, 여섯잎 클로버의 꽃말은 기적 혹은 명예, 일곱잎 클로버은 장수를 뜻한다. 클로버들은 모두 좋은 꽃말을 갖고 있다. 1. 세잎클로버와 네잎클로버의 생성 원인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토끼풀(Trifolium repens)인 클로버(Trifolium repens)는 주로 세 개의 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