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가 AI 챗봇 ‘그록(Grok)’ 개발을 위해 한 달에 10억 달러(약 1조3500억원)라는 천문학적 비용을 소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6월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와 인베스팅닷컴등 해외 보도에 따르면, xAI의 2025년 예상 매출은 약 5억 달러(약 6000억원)에 불과한 반면, 연간 지출은 130억 달러로 매출의 20배를 웃돈다. 이는 경쟁사의 AI 산업 내에서도 전례 없는 자금 수요가 현실화되고 있는 셈이다. “매출은 6억 달러, 지출은 130억 달러”…AI 산업의 ‘수익성 딜레마’ 일론 머스크의 xAI에 대한 엄청난 규모의 자금투입은 업계 1위인 오픈AI가 올해 127억 달러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xAI는 서버 인프라 구축, 10만대 이상의 엔비디아 H100 GPU 구매, 미국 멤피스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콜로서스’ 건설 등에서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경쟁사들이 서버·칩을 임대하는 것과 달리, xAI는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는 방식이라는 점도 자금 소모가 더욱 큰 것에 한몫하고 있다. “자금 조달, 지출 따라잡기 급급”…초대형 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애플이 아이패드 터치스크린에 의존하지 않고 사실상 모든 표면과 공중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차세대 애플 펜슬 특허(특허명 "Input Device With Optical Sensors")를 미국 특허청(USPTO)으로부터 최근 승인받았다. 이번 특허는 기존 애플 펜슬과 달리 3차원 공간 내 움직임, 방향, 위치를 정밀하게 추적하는 두 가지 첨단 광학 센서 기술을 중심으로 한다. 이로써 애플 펜슬은 최대 10cm 높이의 공중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며, 나무, 종이, 벽 등 터치스크린이 아닌 다양한 재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Patently Apple, Ainvest, Moneycontrol 등 해외 IT 전문 매체들이 보도했다. 혁신적 광학 센서 기술과 작동 원리 이번 특허 기술은 옵티컬 플로우 센서방식이다. 컴퓨터 마우스에 쓰이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빛의 프레임 간 변화를 분석해 움직임을 감지한다. 또 레이저 스펙클 플로우 센서가 있어 레이저의 미세한 반사 패턴 변화를 추적해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한다. 게다가 스타일러스 끝에 회전하는 트랙볼이 내장되어 있으며, 기존 기계식 추적 대신 내부 광학 센서가 볼의 위치 변위를 감지해 긁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하반기에는 총 10만323세대가 입주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상반기(14만537세대)보다 29% 적고, 전년 동기간인 2024년 하반기(16만3977세대) 대비 39% 감소한 물량이다. 직방(대표 안성우)조사에 따르면,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5만2828세대로, 상반기 대비 12% 적다. 서울 1만4043세대, 경기 3만379세대, 인천 8406세대가 입주한다. 경기는 상반기와 비슷한 물량이 입주하는 한편 서울과 인천은 상반기 대비 각각 20%, 27% 적은 물량이 공급된다. 지방은 상반기 대비 물량감소폭이 다소 크다. 총 4만7495세대 입주해 8만215세대 입주한 상반기보다 41% 정도 적다. 한동안 입주물량이 많았던 대전, 경남, 일대 입주물량이 감소할 예정이다. 월별로는 7월부터 10월까지는 월간 2만 세대 미만으로 입주물량이 공급되다 11월, 12월에 월간 2만2000여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특히 11월~12월 동대문, 광명 등 수도권 대규모 단지들의 입주가 예정돼 있어 연말 입주물량이 다소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세부 지역별로 서울은 ▲동대문구 4,169세대 ▲송파구 2,727세대 ▲성동구 1,8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코카-콜라사의 세계 1등 사이다 브랜드 스프라이트가 오는 7월 4일부터 6일까지 고양 킨텍스 야외 글로벌 스테이지에서 열리는 ‘워터밤 서울 2025’에 타이틀 후원사로 참여한다. 스프라이트는 올해도 여름을 대표하는 초대형 워터 페스티벌 ‘워터밤 서울 2025’에서 차원이 다른 상쾌함을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대대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올해 새롭게 스프라이트의 모델이 된 에스파(aespa)의 카리나가 ‘워터밤 서울 2025’에 전격 출연해 기대감을 더한다. 카리나는 7월 5일 워터밤 메인 스테이지에서 솔로 퍼포먼스를 펼친 뒤, 관객과 더욱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는 ‘스프라이트 스테이지’에 깜짝 등장해 시원한 소통을 이어갈 예정이다. 스프라이트 브랜드 체험을 강화한 다양한 공간도 새롭게 선보인다. ‘스프라이트 편의점’을 콘셉트로 한 대형 샘플링 존에서는 신제품 ‘스프라이트 제로 Chill’과 ‘스프라이트’를 시음할 수 있도록 하고, 더위를 잠시 식히고 갈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된다. 스프라이트 고유의 ‘톡 쏘는 상쾌함’을 물줄기로 구현한 이색 체험 시설도 대거 마련된다. 대형 디스펜서에서 복불복으로 물이 쏟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은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와 함께 6월 19일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한-아세안 디지털정부 협력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디지털정부 혁신을 위한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을 주제로기획되었으며, 한국과 라오스 간 수교 30주년을 함께 기념하는 뜻깊은 자리다. 이를 통해 아세안 협력국들과의 실질적인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인 협력 방향도 함께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포럼에는 ODA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디지털정부협력센터가 운영 중인 라오스와 캄보디아, 그리고 디지털정부 협력사업이 완료된 인도네시아의 고위급 공무원과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각국의 인공지능 정책, ODA 협력 사례, 한국의 디지털정부 우수 사례가 발표되며, 다양한 국제협력 모델이 공유될 예정이다. 포럼은 총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분야에서는 ‘디지털정부 혁신을 위한 인공지능 생태계’를 주제로, 한국, 라오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정부 대표들이 각국의 주요 정책과 전략 발표와 토론을 통해 상호 이해를 넓히고 협력 의제를 도출할 예정이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ODA 기반 디지털정부 협력’을 주제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태광산업이 1조5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전격 발표했지만, 시장과 주주들은 그 진정성에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투자 발표의 시점이 자사주 담보 교환사채(EB) 발행 논란과 맞물리면서, ‘주주가치 훼손’과 ‘상법 회피 꼼수’라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꼼수’ 논란의 중심, 자사주 EB 발행 태광산업은 6월 27일 이사회에서 보유 자사주 전량(24.41%)을 담보로 3186억원 규모의 교환사채(EB) 발행을 의결했다. 이 EB는 채권자가 교환권을 행사할 경우 자사주가 시장에 유통될 수 있는 구조로, 사실상 제3자 배정 유상증자와 유사한 효과를 낸다. 기존 주주들은 자사주 소각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를 기대했으나, 오히려 지분 희석과 가치 하락의 위험에 직면했다. 2대 주주인 트러스톤자산운용은 “명백한 상법 위반이자 배임 행위”라며 발행 금지 가처분을 법원에 신청했고, 자사주 처분 상대방과 발행 목적이 불분명하다는 점을 강하게 문제 삼았다. 트러스톤은 “자사주를 EB로 처분하는 것은 교환권 행사시 사실상 3자 배정 유상증자와 동일한 효과가 있어 기존 주주 이익을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시민사회·정치권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한국 병원들이 9개 평가 분야 중 6개 분야 1위를 차지하며 K-의료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와 글로벌 데이터 분석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가 공동 발표한 ‘2025 아시아·태평양 최고 전문병원(Best Specialized Hospitals Asia Pacific 2025)’ 평가에서 한국 병원들이 상당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며 K-의료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번 평가는 한국, 일본,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대만, 태국 등 10개국을 대상으로 현직 의료진 8000여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병원 인증 현황, 환자보고결과(PROMs) 도입 여부 등 다양한 지표를 종합해 진행됐다. 서울아산·삼성서울·서울대병원, 6개 분야 1위…일본 도쿄대는 3개 분야 서울아산병원은 심장(Cardiology), 내분비(Endocrinology), 정형외과(Orthopedics) 1위, 삼성서울병원은 종양(Oncology), 호흡기(Pulmonology) 1위, 서울대병원은 소아과(Pediatrics) 1위, 심장수술(Cardiac Surgery), 신경(Neurology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AI가 이제 인간의 선택까지 밝혀낼 전망이다. 독일 헬름홀츠 뮌헨 연구진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센타우르(Centaur)’가 전 세계 인지과학계와 AI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Nature, Science, TechXplore의 매체들이 연이어 보도했다. 센타우르는 160종 심리학 실험에서 6만92명의 참가자가 남긴 1068만건 이상의 선택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의 의사결정과 행동을 전례 없는 정확도로 예측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이 모델은 기존 심리학 이론이나 통계 모델을 뛰어넘어, 완전히 새로운 상황에서도 인간의 선택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상 실험실’로 불린다. 'Psych-101' 세계 최대 규모의 심리 실험 데이터셋 센타우르의 기반이 된 ‘Psych-101’ 데이터셋은 자연어로 전사된 160개 심리 실험의 데이터로, 각 실험의 텍스트, 실험 고유 식별자, 참가자 식별자 등 표준화된 구조를 갖춘다. 데이터셋 내 인간의 응답은 “>” 토큰으로 표시되어, AI 모델이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방대한 데이터는 실제로 1060만건이 넘는 인간의 선택을 포함하며, 이는 기존 인지과학 연구에서 찾아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In the first half of 2025, CJ Group stocks are recording a remarkable rise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drawing investors' attention. The government's policy to improve governance structure, K-content development policy, and expectations of large-scale mergers among key affiliates within the group are all working together to drive the stock price rally. CJ Group stocks are showing an unusual rise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in the first half of 2025. Investors' attention is focused on the government's policy to improve governance structure, foster the K-con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사상 최대인 약 4000억달러(한화 약 550조원) 기업가치로 내부자 주식 매각 및 신주 발행을 추진하며 글로벌 금융·우주산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거래가 성사될 경우, 스페이스X는 미국 비상장 기업 중 역대 최고 기업가치에 오르게 되며, 상장사와 비교해도 시가총액 20위권 내에 진입하게 된다. 4000억달러 평가, ‘비상장 기업의 왕좌’ 오르나 블룸버그,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내부자(임직원·초기 투자자) 주식 매각과 함께 신규 자금조달(신주 발행)을 병행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번 거래의 기준 기업가치는 4000억달러로, 2023년 12월(3500억달러) 대비 500억달러가 상승했다. 이 수치는 미국 대표 상장사인 홈디포, 프록터앤드갬블(P&G), 팔란티어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다. 미국 비상장사 중에서는 단연 독보적 1위이며, 글로벌로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오픈AI 등과 경쟁하는 ‘초거대 유니콘’ 반열에 올랐다. 기업가치 급등 배경: 스타링크·스타십의 폭발적 성장 이번 평가액에는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사업부 ‘스타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