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2025년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상용화 중인 자율주행 시스템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가 정의한 5단계 중 대부분 '레벨 2' 이하에 머무르고 있다. 예컨대 테슬라의 대표적인 자율주행 지원 시스템인 '오토파일럿'과 그 진화판인 'FSD(Full Self-Driving)' 베타 버전 역시 실제로는 '레벨 2'에 해당하며, 운전자의 지속적인 주시와 개입이 필수적이다. 이로 인해 '완전한 자율주행'이라는 명칭이 사용자들 사이에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은 운전자의 개입 정도와 시스템의 자동화 수준에 따라 0단계에서 5단계까지로 구분된다. 각 단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레벨 0 (비자동화): 운전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2025년 8월 12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약 362마일(582km) 구간을 운전자 개입 없이 완전 자율주행(Full Self-Driving, FSD) 소프트웨어로 주파하는 데 성공하며 자율주행 기술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Drive Tesla Canada, TESLARATI, eletric-vehicles.com, Electrek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7시간 동안 진행된 이번 여정은 242마일 지점에서 단 한 차례 충전만 이뤄졌으며, 운전자는 내내 차량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착했다. 테슬라는 이 과정을 소셜미디어에 공개하며 “테슬라가 모든 운전을 해주면 7시간 장거리 여행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번 주행은 테슬라의 ‘감독(Supervised)’ 조건 하에서 진행된 FSD 시스템을 활용했다. 이는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상주하며 항상 주의를 유지하지만, 실제 제어를 전혀 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차량 내부의 시선 추적 기술을 통해 운전자가 도로를 주시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확인하며, 비상 상황에 대비토록 설계되어 있다. 완전 무감독 운전 수준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연구진이 개발한 AI 강화 청진기가 심혈관 진단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있다. 기존 1816년 발명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던 전통 청진기는,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기술 접목을 통해 단 15초 만에 심부전, 심방세동(부정맥), 심장 판막 질환 등 세 가지 주요 심장질환을 동시에 감지하는 수준까지 진화했다. 이 혁신 기기는 결국 미진단 환자의 빠른 치료 개입을 가능케 하면서, 심장질환 진단의 ‘게임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다. 200년 전통의 도구, AI로 재탄생 Eko Health의 발표와 BBC, BHF, The Independent, MedTechDive, DI Cardiology,Sk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AI 청진기는 흉부피스 대신 디지털 유닛이 장착되어, 마이크로 혈류의 미세한 소리와 동시 심전도(ECG) 신호를 수집한다. 순식간에 취합된 정보는 수만 명의 환자 임상데이터로 사전학습된 클라우드 AI 알고리즘에 전송되어, 질환유무를 ‘15초 이내’로 판별한다. 이 디지털·AI 융합형 청진기는 FDA 인증까지 획득하여 일부 GP(General Practitioner) 진료소에서는 이미 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스위스 연구진이 생물학적 나이를 측정하는 땀 센서를 개발했다. 스위스 취리히공대(ETH Zurich), 엠파(Empa),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 바젤 대학병원이 참여한 국제 연구진은 2025년 8월, 땀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나이 측정용 웨어러블 센서 개발 프로젝트인 'AGE RESIST'를 공개했다. SWI, News Medical, Blue News, Translational Science, Noe Brasier's Post, The Lancet Healthy Longevity, nature의 연구와 보도에 따르면, 스위스 국립과학재단(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지원을 받는 이 프로젝트는 기존의 혈액 분석에 의존하던 생물학적 나이 측정 방식을 대체할 비침습적이고 실시간 데이터 기반 접근법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ETH 취리히의 노에 브라지어 박사가 이끄는 이번 프로젝트는 실제로 인간의 신체가 얼마나 젊고 회복력이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나이 시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연도로 측정하는 연령을 넘어서는 개념이다. 전통적으로 생물학적 나이는 혈액 샘플 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 로봇 퍼서비어런스가 최근 붉은 행성 화성의 '커라구나(Kerrlaguna)' 지역에서 비활성 상태의 대형 모래 물결인 '메가리플(megaripples)'을 정밀 조사했다. 이 연구는 오늘날에도 활발히 작용하는 화성의 바람이 어떻게 지형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지를 이해하려는 최신 시도로, 2025년 8월 중순 완료됐다. 로버는 높이 약 1미터(3피트)까지 솟은 모래언덕들을 분석하며, 퍼서비어런스의 SuperCam, Mastcam-Z, MEDA 등 첨단 과학 장비를 활용해 모래 알갱이 크기와 화학적 조성, 소금 껍질 여부 등을 계산·측정했다. 현대 화성 환경과 메가리플의 역할 NASA 공식 블로그, ScitechDaily, Mirage News, Journal of Geophysical의 연구발표와 보도에 따르면, NASA 연구진은 "화성에서 과거는 암석에 새겨져 있지만 현재는 모래에 기록되고 있다"며, 커라구나 메가리플은 작은 리플과 거대한 모래 언덕 사이에 위치한 중간 규모의 지형으로, 간격은 5~40미터에 이른다고 밝혔다. 퍼서비어런스가 현장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이미지는 이 모래언덕이 먼지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 30대 중견그룹의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이 18%로 나타났다. 넥센은 52.1%로 최고였고, F&F도 40%를 넘었다. 특히 현대·동화그룹처럼 특수관계인 지분이 높은 계열사일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았다. 8월 13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지난해 말 현재 자산 5조원 미만 상위 30대 중견그룹의 내부거래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들 그룹에 소속된 348개 계열사의 매출 총액 82조2933억원 중 18.3%(15조220억원)가 내부거래를 통해 발생했다. 30대 중견그룹 중 내부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넥센그룹이었다. 넥센은 지난해 전체 매출액 2조7226억원의 절반을 넘는 1조4178억원(52.1%)이 계열사간 내부거래로 나타났다. 패션 그룹인 F&F 역시 내부거래 비중이 높았다. F&F는 전체 매출액 1조7463억원 중 40.4%에 해당하는 7048억원이 내부거래였다. 자동차 부품 그룹인 PHC의 내부거래액도 전체 매출액 2조9769억원의 30.2%(8997억원)에 달했다. 이어 식음료 대표기업인 SPC그룹과 오뚜기그룹 내부거래 비중이 나란히 29.3%를 기록했다. SPC는 7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분양시장에서 브랜드 단지가 모여 있는 이른바 ‘브랜드 타운’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누구나 알 수 있는 브랜드 아파트가 대거 밀집되면서, 지역의 시세를 주도하는 새로운 부촌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인천 연수구 송도동 일원 ‘송도 더샵 파크애비뉴(‘18년 11월 입주)’ 전용면적 84㎡는 3월 15억5,000만원에 거래돼 올해 인천에서 거래된 ‘국민평형’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22일 기준). 동기간 단지가 위치한 연수구에서 실거래된 동일 면적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6억1,953만원으로 이보다 약 2.5배 높은 금액에 거래된 셈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이 단지 반경 1km 내에 9개 단지, 6,000여 가구의 ‘더샵’ 브랜드 타운을 이루고 있다. 이는 지방도 마찬가지다. 전북 전주시 일원 ‘포레나 전주에코시티(‘23년 5월 입주)’ 동일 면적은 올해 5월 7억3,000만원에 거래돼 올해 전북에서 거래된 동일 평형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동기간 단지가 위치한 전주시에서 실거래된 동일 면적 아파트 평균 가격은 3억6,177만원으로 이보다 2배 이상 높은 금액에 거래된 것이다. 단지가 위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이 광둥성 선전에서 세계 최초의 광자 양자컴퓨터 전용 공장 착공을 공식 발표했다. 글로벌 양자 컴퓨팅 산업의 판도가 크게 변할지를 놓고 관심이 모아진다. Xinhua, China.org.cn, Ainvest, The Quantum Insider 등의 데이터와 보도에 따르면, 이 공장은 베이징 기반의 양자 컴퓨팅 선도 업체 QBoson이 운영하며, 완공 시 매년 수십 대의 광자 양자 컴퓨터를 생산해 대량생산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현재 공사 중이며, 장비 설치는 2025년 10월 말부터 시작된다. QBoson의 창립자 웬카이(Wen Kai)는 신화통신을 통해 “광자 양자 컴퓨팅은 빛의 양자 속성을 활용해 계산을 수행하며, 초전도 방식에 비해 극저온 냉각이 필요 없어 실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기술은 다수의 큐비트를 구현할 수 있고, 긴 코히런스 시간과 뛰어난 병렬처리 성능을 제공해 특정 계산이 불가능했던 문제들을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며 광자 양자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이번 공장은 크게 모듈 개발, 전 시스템 생산 및 조립, 품질 관리와 테스트의 세 부서로 운영된다. 이는 중국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최근 NASA 연구진은 왜소행성 세레스가 단순한 얼음과 암석 덩어리가 아니라, 과거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었던 조건을 갖춘 ‘해양 세계’였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NASA의 공식발표, CBC, Science Advances, Sci.News등의 보도에 따르면, NASA의 우주생물학 전략 수석 과학자인 데이비드 그린스푼 박사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NASA의 Dawn(던) 미션이 관측한 세레스의 데이터를 인용하며, 지하의 방대한 염수 저장소와 유기 탄소 분자, 그리고 수십억 년 동안 지속된 화학 에너지 공급원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는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3대 요소로 평가된다. 1. 숨겨진 해양 세계의 실체 Dawn 탐사선은 세레스 표면에서 두드러진 밝고 반짝이는 얼룩들이 소금 퇴적층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이 퇴적물은 수백 마일에 걸쳐 약 40km 깊이의 거대한 염수(소금물이 섞인 물) 저장소에서 지하수가 올라와 증발하며 형성된 것으로, 2020년 후속 연구에서 확인됐다. 이러한 염수 저장소는 세레스의 오카토르 분화구 아래 저밀도 지역에 존재하며, 이는 액체 상태의 물이 여전히 일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에르누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