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영국 글로스터셔 배드민턴 하우스에 소장된 한 그림이 주요 경매장과 박물관이 그동안 단순 복제품으로 판단했던 기존 평가를 뒤집고 인공지능(AI) 기술로 진품 카라바조(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의 작품임이 과학적으로 인증되면서 전 세계 미술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Independent, Art Recognition 공식 홈페이지, WebProNews에 따르면, 스위스 기술회사 아트 레코그니션(Art Recognition)이 리버풀 대학교와 협력해 진행한 AI 분석은 배드민턴 하우스에 소장된 이 작품 ‘루트 연주자(The Lute Player)’가 85.7%의 높은 확률로 17세기 바로크 거장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의 손에서 그려진 것이라고 잠정 결론 내렸다. 이는 수십 년간 이어진 전문가들의 합의가 뒤집혔고, 작품의 가치가 수천만 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생긴 셈이다. 카라바조는 현존하는 작품이 약 60여점에 불과할 정도로 희소성이 높은 작가다. 2019년 새로 발견된 카라바조 작품은 약 9600만 파운드(한화 약 1500억원) 가치로 평가된 바 있다. 이 그림은 1969년 소더비 경매에서 ‘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의 해양 장비 기업 베이징 하이라인더 디지털 테크놀로지(Beijing Highlander Digital Technology Co)는 인공지능(AI) 수요의 급증에 대응해 10월 중순 상하이 해상에 혁신적인 상업용 수중 데이터센터를 배치할 예정이다. Channel News Asia, People’s Daily, Scientific American, China Daily, Free Malaysia Today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기존 육상 데이터센터에 비해 냉각 에너지 소비를 약 90% 절감하고 전체 에너지 사용도 30~40% 줄이는 친환경 인프라를 목표로 한다. 이번에 설치되는 대형 노란색 캡슐 형태의 서버는 해류에 의해 자연 냉각되고, 95% 이상의 전력은 인근 해상 풍력 발전소에서 공급받아 ‘완전한 지속가능 컴퓨팅 생태계’를 구현한다. 기존 에어컨과 수분 증발 시스템 대신 해수를 라디에이터로 순환시켜 열을 흡수·방출하는 방식으로, 전력 소모와 담수 사용을 대폭 줄인다. 이로 인해 중국 하이난에서 2023년 가동을 시작해 2025년 2월 확장된 전례를 잇는 두 번째 해저 데이터센터가 상하이에서도 선보이게 된다. 기술적 도전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국내 5대 그룹의 자산이 최근 5년 새 445조원 가량 증가한 158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5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47개 그룹의 자산은 367조원 늘어난 1121조원에 그쳐, 5대 그룹으로의 자산쏠림이 더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 SK, 현대차가 자산 증가액 톱3 체제를 굳혔다. 반면, 교보생명보험, 부영, 두산 등 3곳은 자산이 축소됐다. 자산 외에 매출과 영업이익 등 실적 증가세도 5대 그룹이 47개 그룹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차는 5년간 매출액이 100조원 이상 증가해 증가액 1위를 기록했고, 삼성과 SK도 매출이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태영·두산·DL·부영 등 6개 그룹은 지난해 매출액이 5년 전보다 줄어들며 역성장했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2019년과 2024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비교가 가능한 52곳을 대상으로 자산 규모와 실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52개 그룹의 전체 자산규모는 2019년 1897조2869억원에서 2024년 2709조8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이 혈액 채취만으로 50여종의 암을 조기 진단하는 미국 바이오기업 ‘그레일(Grail)’에 1억1000만 달러(약 1550억원)를 전략 투자했다고 10월 16일(미 현지 시간) 밝혔다. 이번 투자는 삼성의 AI와 유전자 기반 헬스케어 사업을 본격 강화하는 중대한 행보로 평가받는다. 그레일은 혈액 속 수억개의 DNA 조각 중에서 암과 연관된 미세 DNA 조각을 최적 선별하고, AI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암 발병 여부뿐 아니라 암 발생 장기의 위치까지 정확히 예측하는 첨단 기술을 보유했다. 대표 제품 ‘갤러리(Galleri)’는 단 한 번의 혈액 검사만으로 50여종의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으며, 2021년 출시 이후 현재까지 약 40만건의 누적 검사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췌장암, 난소암 등 기존 표준화된 선별 검사가 없는 암도 조기 발견 가능성이 커 의료계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삼성물산은 이번 투자와 함께 한국 내 ‘갤러리’ 독점 유통 권리를 확보했으며, 싱가포르와 일본 시장에서도 그레일과 협력해 사업 확대를 추진한다. 삼성전자는 그레일의 기술력 및 데이터와 자사의 삼성 헬스 플랫폼을 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사람 두뇌에 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칩 이식 임상 데이터를 담은 첫 동료평가(peer-reviewed) 논문을 미국 최고 권위 학술지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제출했다. Bloomberg, PCMag, captechu.edu, CNBC, SiliconANGLE, Health Tech World에 따르면, 이 논문에는 현재 임상시험 기관인 배로 신경학 연구소에서 두뇌 칩을 이식받은 3명의 환자 데이터가 담겼으며, 장치 안전성과 초기 성능에 관한 과학적 검증이 이뤄질 수 있는 첫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뉴럴링크는 2024년부터 사람 12명에게 N1 BCI 칩을 이식했으며, 이들은 1만5000시간 이상 장치를 사용해 디지털 및 물리적 기기를 생각으로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 임상 대상자는 주로 척수 손상이나 루게릭병(ALS) 환자로, 심한 마비 환자들이 자신의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 커서 조작, 영상 게임 플레이 등이 가능하도록 지원받고 있다. 이식 수술은 고도의 로봇 수술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네이버㈜가 글로벌 택시 호출 플랫폼 ‘우버 택시(Uber Tax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구독자에게 우버 택시의 유료 멤버십 서비스 ‘우버 원(Uber One)’ 혜택을 연계한다고 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30일부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구독자라면 별도의 추가 과금 없이 1년간 우버 원 멤버십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다. 우버 원은 택시를 자주 이용하는 고객을 위해 우버 택시가 지난 9월 초 국내에 새롭게 도입한 구독형 멤버십으로, 월 구독료 4900원(연 결제 시 4만9000원)에 제공되던 서비스다. 구독 회원은 우버 택시 이용 시 매 결제 금액의 최대 10%를 적립해 다음 승차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평가가 높은 기사 우선 배차, 다양한 프로모션 혜택 등을 받을 수 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사용자들은 우버 택시 첫 이용 시 최대 1만원 상당의 프로모션 혜택(1회)을 받으며, 우버 택시 요금의 최대 10%를 적립 한도 없이 우버 원 크레딧으로 적립받아 다음 승차 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평점이 높은 기사를 우선 배치받는 혜택도 있어, 사용자 편의성과 만족도를 동시에 제고했다. 우버 원 혜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Oracle)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을 대대적으로 확장하며 오픈AI와 5년간 3000억 달러(약 384조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AI 분야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클라우드 계약 중 하나로, 2027년부터 시행돼 오픈AI의 고성능 AI 모델 운영을 위한 4.5기가와트(GW)의 컴퓨팅 용량을 제공한다. wsj, RCR Wireless News, intellizence.com, Cloud Computing News, AIM Media House, oracle.com, heise online에 따르면, 오라클은 또한 Meta(메타)와 200억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파트너십도 공개하며, AI 인프라 사업의 다각화와 고객 기반 확장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최근 단 30일 만에 7건의 신규 클라우드 인프라 계약으로 65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약정을 확보했으며, 이 중 오픈AI 외 고객에서 발생한 계약이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오라클의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은 연평균 75% 성장해 2030 회계연도에 16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지난해 국내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한 환자가 사상 처음 3000명을 넘어섰다는 보건복지부 공식통계가 국회에서 공개되면서, 장기이식 기회의 절대적 부족과 생명나눔문화 확산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 장기이식 대기 사망자 급증 10월 10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 송파구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장기이식 대기중 사망자 수 추이'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자 수는 309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2191명 대비 41.3% 증가한 것으로, 주요 장기별로 신장 대기 사망자가 1676명, 간장 1117명, 췌장 72명, 심장 142명, 폐 88명 등으로 나타났다. 뇌사 기증자, 글로벌 대비 현저히 낮아 반면 국내 뇌사 기증자 수는 2020년 478명에서 2024년 397명으로 16.9% 감소했으며, 이식 실적도 2020년 5883건에서 2024년 5030건으로 853건 줄었다. 특히 미국·스페인 등 이식 선진국과 비교하면 인구 100만명당 뇌사기증 비율은 미국 28.40명, 스페인 26.22명, 스웨덴 17.10명, 독일 11.44명, 영국 1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 마틴 산하 시코르스키 부문은 2025년 10월 1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육군 협회 박람회(AUSA 2025)에서 완전 무인 헬리콥터 ‘S-70UAS U-Hawk’를 공개했다. Lockheed Martin News, Defense News, The Aviationist, Breaking Defense, NextGenDefense에 따르면, 이는 기존 UH-60L 블랙호크 헬리콥터를 기반으로 조종석과 승무원 좌석을 완전히 제거해, 25% 확장된 화물 공간과 자율비행 기능을 갖춘 무인 항공기 시스템(UAS)으로 재탄생한 모델이다. U-Hawk는 퇴역한 UH-60L 블랙호크 기체를 10개월 만에 신속하게 개조한 혁신작이다. 전통적인 조종석 대신 작동식 클램셸 도어와 전방 적재 램프를 설치해, 대형 화물이나 무인 지상 차량(UGV)을 손쉽게 탑재 및 하역할 수 있게 설계됐다. 이로써 기존 블랙호크 대비 약 25%의 내부 적재 공간이 증가했으며, 공기역학적 설계 개선으로 효율성도 높였다. 기체는 시코르스키의 MATRIX 자율비행 기술과 3세대 플라이 바이 와이어(비행전자제어) 시스템이 통합돼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스타트업 스페이스코인(Spacecoin)이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데이터를 위성을 통해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이는 암호학적 보안이 확보된 블록체인 거래가 지구 대기를 벗어나 우주 공간을 통과해 다시 지구에 무사히 도달한 최초의 사례로, 스페이스코인은 이를 통해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Starlink) 위성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분산형 대안의 가능성을 현실화했다. Reuters, Gulf New, finews.asia, businessamlive.com, cointrust, ETManufacturing, finance.yahoo, 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이번 테스트는 칠레 푼타아레나스에서 시작해 약 7000km 떨어진 포르투갈의 아조레스에 이르는 구간에서 스페이스코인의 CTC-0 나노위성을 거쳐 S-밴드 라디오파를 이용해 블록체인 거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거래는 Creditcoin 테스트 네트워크에서 검증돼 데이터 전송의 안전성과 프로토콜 무결성을 입증했다. 스페이스코인 창립자 오태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블록체인 거래가 지구를 완전히 벗어나 다시 온전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