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세계적인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94)과 자녀들 간의 20년 넘는 상속 분쟁이 2025년 9월 8일(현지시간), 약 33억 달러(약 4조6000억원) 규모의 극적 합의로 최종 마무리됐다. BBC, 뉴욕타임스, CNN, NPR, 위키피디아, 스카이뉴스, DW, 유로뉴스, 알자지라 등에 따르면, 이번 합의로 보수 성향의 장남 라클런 머독(54)이 폭스 코퍼레이션과 뉴스 코퍼레이션의 단독 경영권을 확보하며, 향후 2050년까지 안정적인 가족 신탁체제로 운영하게 됐다. 이번 분쟁은 라클런과 정치적으로 대립해온 차남 제임스 머독(53), 장녀 프루던스(67), 차녀 엘리자베스(57) 간의 갈등이 핵심이었다. 이들은 각각 약 11억 달러(한화 약 1조5300억원)의 현금 합의금을 받고 폭스 및 뉴스 코퍼레이션 클래스 B 주식을 매각하는 조건으로 가족 신탁에서 완전히 물러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두 명의 막내 이복여동생 그레이스(24)와 클로이(22)가 포함된 새로운 가족 신탁이 설립돼 라클런이 그 신탁을 통해 미디어 제국의 실질적 통제권을 행사한다. 루퍼트 머독의 주요 목표는 자신의 언론 제국이 유지해온 보수적 정치 노선을 사후에도 지속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인공지능 기업 앤트로픽(Anthropic)이 자사의 AI 비서 클로드(Claude)에 엑셀 스프레드시트, 워드 문서,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PDF 파일을 대화형 채팅 인터페이스 내에서 직접 만들고 편집하는 기능을 지난 9월 8일 (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이 기능은 기존 텍스트 답변 중심에서 문서 생성 및 데이터 분석까지 아우르는 능동적 협업 파트너로서 클로드를 진화시키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Anthropic 공식 뉴스, CNET, ZDNet, The Decoder, VentureBeat, Forbes, Menlo Ventures, Simon Willison, TechCrunch 등에 따르면, 클로드의 이 신기능은 Max, Team, Enterprise 사용자 대상으로 프리뷰 형태로 선보였으며, 향후 몇 주 내 Pro 사용자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기능 구현은 오픈AI의 코드 인터프리터와 유사한 비공개 서버 컴퓨팅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클로드가 Python, Node.js 기반 코드를 작성 및 실행해 작업 파일을 생성한다. 앤트로픽 공식 문서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파일을 동시에 다룰 수 있으며, 작성된 산출물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JP모건 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CEO가 미국 노동부의 고용 수치 대폭 하향 조정 발표 직후, 미국 경제가 명확히 약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노동부가 2025년 3월까지 12개월간의 비농업 일자리 증가 수치를 기존 발표보다 91만1000개 축소 발표하면서, 이는 2002년 이후 최대 규모 수정으로 월스트리트 예상치(60만~100만 개 감소) 상단에 해당한다. 다이먼은 CNBC 인터뷰에서 “경제가 약화되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며 “이런 상황이 경기침체로 이어질지, 아니면 단순한 둔화인지 확신할 수 없지만, 이 데이터는 우리가 이미 예상했던 점을 확증해 준다”고 말했다. 그는 JP모건이 소비자 행동과 기업 활동, 글로벌 무역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정보를 갖고 있는 만큼, 현재 여러 불확실성이 교차하는 경제 환경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NBC, Reuters, Moody's, Goldman Sachs, 연방준비제도, 노동부 등 주요 외신 및 기관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부 수정은 2024년과 2025년 초 고용 시장이 예상보다 훨씬 약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월별 일자리 증가 폭은 평균 7만6000개 줄어들어, 월평균 14만70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2025년 9월 8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Las Megas’ 행사에서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인 ‘메가팩 3(Megapack 3)’와 ‘메가블록(Megablock)’을 공개하며, 설치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통한 에너지 저장 사업 재도약을 노리고 있다. Solar Power World, PV Magazine USA, Teslarati, Drive Tesla Canada, Wood Mackenzie, Market Report Analytics, Energy Storage News, 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메가팩 3는 기존 메가팩 2XL(3.9MWh) 대비 약 28% 증가한 5MWh의 단일 유닛 저장 용량을 제공하며, 열관리 구역을 78% 간소화해 신뢰성과 유지보수를 개선했다. 각각의 메가팩 3 유닛은 약 39톤(8만6000파운드) 무게로 글로벌 운송이 가능하고, 미국, 동남아시아, 중국에서 공급받은 배터리 셀을 사용한다. 영하 40도에서 영상 60도까지 극한 온도에서의 작동이 가능하며, 25년 이상 약 1만 사이클을 견디는 내구성을 갖췄다. 더 획기적인 제품인 메가블록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와 맞춤형 AI 칩 제조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논의는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체결한 165억 달러 규모의 AI6 칩 생산 계약의 성공을 바탕으로 한 행보로, 한국 파운드리 사업의 실적 반등과 글로벌 AI 칩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계약은 머스크가 지난 7월 발표한 테슬라 AI6 칩 생산을 위한 165억 달러, 2033년까지 장기간 협력 계약과 같은 맥락에서 삼성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서 진행된다. AI6 칩은 성능은 12%, 전력 효율은 25%, 칩 면적은 8% 개선된 삼성의 2nm SF2 공정으로 생산되며, 테슬라의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대형 AI 연산 인프라에 탑재될 예정이다. 머스크는 "165억 달러는 시작일 뿐, 실제 생산 규모와 매출은 이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xAI와의 협상은 맞춤형 AI 칩에 대한 업계 전반의 선호 증가 추세와도 맞물린다. 최근 AI 클라우드, 대규모 모델 연산 등에 특화된 ASIC(주문형 반도체)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오라클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래리 엘리슨이 2025년 9월 9일(현지시간) 하루 만에 자산 700억 달러(한화 약 97조원)를 불리며 일론 머스크와 세계 최고 부자 타이틀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로이터, 야후파이낸스, 비즈니스인사이더, 마켓워치의 보도와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엘리슨의 자산은 이날 3640억 달러(약 505조원)로 세계 2위를 유지했으나, 1위 머스크(3840억 달러, 약 533조원)와의 격차는 200억 달러(약 28조원)로 대폭 줄었다. 이날 오라클은 2026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정규시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26% 폭등하며, 오라클 주식 80% 이상을 보유한 엘리슨의 자산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는 1999년 이래 오라클의 최대 일일 주가 상승폭으로 기록됐다. 특히 ‘잔여 이행 의무’(Remaining Performance Obligation, RPO)가 전년 동기 대비 359% 급증하며, 미래 매출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영업이익과 주당순이익(EPS)도 시장 전망을 상회했다는 점이 주가 폭등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엘리슨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HD현대에서 조선업 분야에서는 최초로 부자(父子) 명장을 배출했다. HD현대는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호텔에서 열린 ‘2025년 숙련기술인의 날 기념식’에서 HD현대중공업 소속 고민철 기사와 HD현대삼호 소속 유동성 기원이 각각 판금제관 직종과 기계정비 직종에서 대한민국 명장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명장으로 선정된 고민철 기사는 같은 HD현대중공업에서 근무한 고윤열 명장의 아들로 조선업 분야 최초의 부자 명장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됐다. 대한민국 명장은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해 15년 이상 산업 현장에서 쌓아온 뛰어난 기술과 경험으로 국가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장인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영예다. 올해에는 총 11명의 명장이 선정됐는데, HD현대는 이 중 2명을 배출했다. HD현대중공업의 고민철 기사는 2012년 입사해 플랜트설비생산부를 거쳐 현재 SMR·ITER 생산부에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제작 생산파트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현장에 3차원 측정기기인 ‘레이저 트래커(Laser Tracker)’를 도입하고, 이를 제관구조물의 품질 측정에 접목해 생산성과 정밀도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혁신의 아이콘, 공간이노베이터 '발뮤다'가 이번에는 제품이 아닌 철학을 들고 나왔다.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발뮤다(BALMUDA)가 새로운 글로벌 슬로건 ‘just because.’를 공식 발표했다. 이는 브랜드의 본질을 재조명하고, 발뮤다의 철학을 공유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2003년 일본 도쿄에서 설립된 발뮤다는 ‘가전제품’이라는 도구를 통해 일상 속에서 가슴 뛰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해온 브랜드이다. 발뮤다는 공기청정기 '퓨어', 죽은 빵도 살린다는 토스터기 '토스터', 무선주전자 '팟', 선풍기 '그린팬 S' 등 한국에 출시될 때마다 신혼부부와 주부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잇템 가전으로 자리잡았다. 현재 일본을 포함한 12개 국가에서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는 제품 개발, 커뮤니케이션, 세일즈 전 영역에 걸쳐 글로벌 전략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슬로건 발표는 그 여정의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 ‘just because.’, 한국에서 피어나는 발뮤다의 본질 새로운 슬로건 ‘just because.’는 “스스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만든다”는 발뮤다의 철학을 표현한 문장이다. 이는 단순한 기능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오픈AI가 2025년 9월 10일 서울 광진구에서 공식적으로 ‘오픈AI 코리아’를 출범시키며 한국을 아시아 3번째, 전 세계 12번째 지사로 확장했다. 제이슨 권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이 뛰어난 인프라와 혁신 기업, 빠른 디지털 수용력을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임을 강조하며 산업, 학계, 정부 전반과의 협력을 통해 AI 대전환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삼성전자, SK와의 데이터센터 건설 및 반도체 분야 파트너십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시사했다. 권 CSO는 “데이터센터 수준 파트너십과 하드웨어 칩 분야에서 SK, 삼성전자와 유망한 협력 기회가 많다”고 밝히며,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 부대행사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두 그룹 최고경영진과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한편, 오픈AI 코리아는 9월 11일 서울대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학계와 연구 협력을 본격화한다. 더불어 한국 정부와 ‘오픈AI 포 컨트리’(OpenAI for Countries) 이니셔티브를 통해 AI 주권 정책에 협력할 계획이다. 권 CSO는 “한국은 AI 분야에서 풀스택 역량을 갖춘 강력한 시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대한민국 대표 기업 삼성 일가 4세 이지호 씨가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해군 장교로 입대한다는 소식이 2025년 9월 10일 공식화되면서 재계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대한 관심이 재조명되고 있다. 삼성가 4세, 미국 시민권 내려놓고 해군 장교 선택 이지호 씨는 오는 9월 15일 139기 해군 학사사관후보생으로 입영해 경남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11주간의 제식·기본소양·전투기술 등 장교 교육훈련을 받고 12월 1일 해군 소위로 임관 예정이며, 이후 총 39개월간 군 복무를 이어간다. 삼성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그는 국방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미국 시민권을 포기했다. 복수 국적자는 일반적으로 한국 국적을 포기해 병역을 면제받거나, 복수 국적을 유지한 채 짧은 기간 일반 병사로 복무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이에 반해 이 씨는 복수국적의 특권을 내려놓고 2배 이상 긴 기간 책임이 무거운 장교의 길을 택했다는 점에서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으로 평가받는다. 실제 미국 영주권·시민권 보유자가 자원 입영을 신청하는 사례는 연 평균 100명 내외에 불과하다. 주요 국내 재벌가, 후계자 병역 이행 사례 국내 재계에서는 오너가 자녀들의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