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5.7℃
  • 맑음강릉 11.4℃
  • 구름조금서울 4.7℃
  • 구름많음대전 8.1℃
  • 구름많음대구 9.7℃
  • 흐림울산 10.4℃
  • 흐림광주 9.1℃
  • 구름많음부산 14.9℃
  • 흐림고창 8.1℃
  • 흐림제주 12.0℃
  • 맑음강화 4.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많음금산 8.2℃
  • 흐림강진군 9.9℃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공간사회학] 버섯 균사체 활용 '세계 최초' 무수(無水) 화장실 ‘MycoToilet’ 공개…3.4억명 위생사각지대 '해법제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BC)가 세계 최초로 버섯의 균사체를 활용한 무수 변기 ‘MycoToilet(마이코 토일릿)’을 9월 26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공개하며 지속가능한 위생 기술 분야에 새 지평을 열었다.

 

UBC News, Karmact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Sanitation, New Atlas에 따르면, 이 신개념 화장실은 기존 화학약품과 물 없이 인분을 분해해 영양분이 풍부한 퇴비와 액체 비료로 변환, 연간 약 600리터의 토양과 2000리터의 액체 비료를 생산할 전망이다.

 

9월 26일부터 UBC 식물원에서 6주간 시범운영 중인 이 프로젝트는 미생물과 버섯 균사가 협력해 악취를 90% 이상 제거하며 폐기물 관리를 생태계 재생으로 전환하는 혁신성을 입증 중이다.

 

이 프로젝트를 이끈 UBC 건축 및 조경건축학부의 조셉 다멘 부교수는 “우리는 누구나 잘 아는 일상적인 습관을 생태적 순환과의 연결성을 일깨워주는 기분 좋은 경험으로 바꾸고 싶었다"라고 연구배경을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니세프(UNICEF) 최신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34억명이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 중 3억5400만명이 야외 배변이라는 열악한 현실에 놓여 있다.

 

이로 인한 수인성 질병으로 매년 140만 명이 사망하는 상황에서, MycoToilet은 환경 유해성과 유지보수 비용이 높은 기존 화학식 변기에 견줘 획기적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화학식 변기가 주간 서비스 유지가 필요한 반면, MycoToilet은 연간 네 차례 유지보수로도 운영이 가능해 비용과 관리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MycoToilet의 설계는 삼나무 외관과 자연 항균 처리를 통해 부패 저항성을 확보하고, 휠체어 접근성을 갖춘 모듈형 구조다. 내부는 액체와 고체를 분리하는 혁신적 시스템을 적용해, 고형 폐기물은 균사체가 깔린 구획에 투입된다. 여기서 버섯의 균사체와 관련 미생물이 효소를 분비해 인분을 빠르고 위생적으로 분해한다.

 

UBC 미생물학과 스티븐 할람 교수는 “균류는 인간과 동물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뛰어나다. 이들은 효소를 생성해 폐기물을 단순 화합물로 전환하는데, 이는 혐기성 퇴비 처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획기적으로 줄인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특히 수도 인프라가 열악한 외딴 지역과 개발도상국, 공원, 지방자치단체에 적용 가능해 폐기물 관리의 사회적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조셉 다멘 부교수는 “MycoToilet은 폐쇄형 시스템으로서 공공장소와 난민 캠프 같은 긴급 인도적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비용과 유지보수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 대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초기 프로토타입은 난민 캠프 위생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설계돼 인도주의적 활용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다.

 

UBC의 이 프로젝트는 건축학부와 미생물학과의 협업으로 탄생했으며, 캐나다 연구기금(NSERC)의 신연구프런티어펀드와 UBC 캠퍼스를 실험실로 활용하는 ‘캠퍼스 에즈 어 리빙 랩’ 프로그램 등의 지원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MycoToilet이 지속가능한 위생 인프라 혁신으로서 세계 위생 사각지대 해소에 획기적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연구 및 개발은 전통적 화학식 및 혐기성 퇴비화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경 친화적인 폐기물 자원 전환 기술을 새로 개척하는 사례로 자리매김했다. 향후 기술 고도화와 확산을 통해, 2030년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중 ‘모든 이에게 안전한 위생 시설 제공’ 달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공간혁신] HDC현대산업개발,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파크오아시스 2025 굿디자인어워드 코리아 은상 수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HDC현대산업개발이 선보여 올해 말 입주를 앞둔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단지 내 파크오아시스(티하우스, The Circle of Connection)가 2025 굿디자인어워드 코리아에서 은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도심 속 휴식과 정서적 회복을 위한 건축적 실험이 높은 완성도와 미학적 가치를 인정받은 결과로, 주거 단지 내 감성적 건축 공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굿디자인어워드 코리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디자인상으로, 제품·공간·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성과 사회적 의미를 지닌 디자인을 선정해 수여한다.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의 파크오아시스(야외음악당)은 도심 속의 정서적 안식처를 주제로, 밀도 높은 도시 환경 속에서도 잠시 멈춰 숨을 고를 수 있는 여백의 공간으로 기획됐다. 단순한 공연 시설을 넘어, 개인과 공동체가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감각이 깨어나는 감성적 커뮤니티 공간으로 기능한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파크오아시스는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을 넘어, 누구에게나 열려 있으면서도 사적인 안식이 가능한 도시 속 자연의 무대를

[핫픽] 땡큐베리마취 통증의학과·강약중강약 약국·옥수수 치과…병원·약국 이름 "웃어야 기억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국내 병원과 약국에는 옛날과는 다른 독창적이고 기발한 이름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단순히 의사의 이름이나 지역명을 빌리던 관행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뇌리에 남을 ‘이색 네이밍’이 자주 목격된다. 실제 수도권의 한 통증클리닉은 한글명과 영어명을 혼합해 ‘땡큐베리마취 통증의학과(THANK YOU PAIN CLINIC)’라는 센스 넘치는 간판을 내걸었다. 또, ‘강약중강약 약국’처럼 이름 자체에 웃음을 유발하는 사례도 SNS, 커뮤니티마다 화제가 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단지 ‘유머’의 수준을 넘어 실질적으로 병의원, 약국 매출 증대 효과까지 낳는다. 데일리팜 보도에 따르면, 잘 지은 약국 이름이 지역사회 내에서 인지도를 높여 매출 증가에 도움이 된다는 약국 경영자의 의견이 보도된 바 있다. 실제 약국 업계 설문조사에서도 "재미있고 기억하기 쉬운 상호가 재방문율을 높인다"는 답변이 절반을 넘어섰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의약분업 이후, ‘병원·의원 이름을 딴 약국 상호’는 금지되고 있지만, 독창적 네이밍은 규제 대상이 아니므로 순발력과 위트로 무장한 작명전쟁이 계속된다. 해외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미국, 영국

[공간사회학] 완공 10개월 만에 붕괴됐다고?…中 홍치대교, ‘두부공사(철근빼돌리기)’가 빚어낸 人災 '논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남서부 쓰촨성과 티베트를 연결하는 758미터 길이의 홍치대교가 개통 10개월 만에 붕괴되는 충격적인 사고가 발생했다. 글로벌타임스, 뉴스위크, 뉴욕포스트, 로이터, 중국중앙방송(CCTV),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현지 시간 11월 11일 오후, 다리 진입부와 인근 경사면에서 균열이 발생한 지 하루 만에 교량 일부가 산사태로 인해 무너졌다. 다행히 당국이 사전에 통행을 전면 차단해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대형 기반 시설의 안전 관리와 시공 품질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붕괴 과정과 현장 상황 홍치대교는 쓰촨성 마얼캉시에 위치한 G317 국도 구간에 건설된 대형 교량으로, 총 길이 758미터, 높이 172미터에 달한다. 올해 1월 완공된 이 다리는 중국 중부와 티베트를 잇는 핵심 교통망으로, 쓰촨도로교그룹이 시공을 맡았다. 그러나 지난 10일 순찰 중 다리 진입부와 인근 경사면에서 균열과 지반 변형이 확인되자 당국은 즉각 교통을 통제하고 현장 차량을 모두 대피시켰다.​ 11일 오후, 산사태가 발생하면서 교량 접근로와 도로 기반이 함께 무너졌고, 현장 영상에는 다리 상판과 잔해가 계곡 아래로 추락하며 흙먼지가 치솟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