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영국을 시작으로 일부 기업과 공공기관에 실제로 도입된 ‘기울어진 변기(Slanted Toilet)’가 전 세계적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BBC, The Guardian, Wired, Yahoo News, The Atlantic에 따르면, 이 변기는 좌석이 약 13도 앞으로 기울어져 있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도록 설계된 제품으로, 개발사 ‘StandardToilet’ 측은 직장인의 장시간 화장실 체류를 줄이고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혁신적으로 고안했다.
실제 영국에서는 직원들이 화장실에서 머무는 시간이 평균은 4분~28분이 걸려, 산업계가 연간 약 40억 파운드(약 6.7조원)의 손실을 본다는 통계도 공식적으로 언급됐다.
국내외 찬반 여론이 극명하게 갈린다. 찬성론자들은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여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개발 회사는 “좌석 경사로 5분 이상 앉아 있으면 다리가 아파져 자연스럽게 화장실 체류 시간이 줄고, 이는 기업의 이익으로 직결된다”는 설명했다. 실제로 이 변기는 업무용 사무실뿐만 아니라 공공 화장실 및 교통시설까지 시험적으로 도입 중이며, 구매가는 150~500파운드(약 24만~80만원) 수준으로 다양한 기관에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전문가들과 의료계에서는 “이러한 방식은 인간의 기본적 휴식권과 존엄성을 무시하고 생산성만을 강조한 조치”라며 “치질, 요로질환 등 의료적 이유로 장시간 앉아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건강상 위험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장애인, 노인, 어린이 등 신체적으로 불편을 겪는 이들에게는 현실적으로 이용이 어렵다는 점도 대두된다. 크론병 및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 단체(UK Crohn’s and Colitis) 역시 “토일렛 셰이밍”이라며 직장 내 화장실 출입 자체가 스트레스가 된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소셜미디어와 주요 매체에서도 ‘슬로핑 변기’의 등장에 유머와 비판이 뒤엉킨 혼돈의 반응이 나왔다. 일부 사용자는 “진정한 자본주의의 불친절함을 반영한 제품”, “100년 전에도 실패했던 디자인이 왜 다시 나오나” 등 냉소적 의견을 내놓았다.
이번 논란은 단순히 화장실의 편리함을 넘어, 기업이 과연 ‘생산성 관리’라는 명분 아래 어디까지 직원의 시간을 통제하고 감시할 수 있는지 윤리적, 인권적 질문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인류학자와 경영학자들 사이에서는 “기술이 효율만을 지향할 때 발생하는 불편의 극한값”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