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가 생명체가 거주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인 지하 바다를 품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획기적 연구 결과가 2025년 11월 7일 Science Advances 저널에 발표됐다.
Phys.org, Space.com, ScitechDaily, Astrobiology.com, ESA.int, Science Advances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엔셀라두스 북극에서 측정된 열흐름 데이터가 당초 예측치보다 약 섭씨 7도 높아, 두 극 모두에서 열이 유출되고 있음을 밝히며 지하 바다가 지질학적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왔음을 시사한다. 위성 전체에서의 열 손실은 총 54기가와트에 달해, 토성의 조석력에 의한 열 발생량과 거의 일치해 해양이 수억 년에서 수십억 년 동안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이 열 흐름은 단위 면적당 46밀리와트(mW/m²)로, 이는 지구 대륙 지각을 통한 단위 면적당 열 손실의 약 2/3 수준이다. 전체 방출량은 35기가와트에서 54기가와트로 추산되는데, 이는 약 6600만개의 530와트 태양광 패널이나 1만1000여대의 3.4MW 풍력 터빈 출력에 상응하는 규모다. 이러한 정밀한 열 균형은 엔셀라두스의 두꺼운 얼음 껍질(20~23km) 아래 액체 해양이 오랜 기간 존재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생명의 구성 성분 역시 엔셀라두스의 거주 가능성 강화를 뒷받침한다. 2025년 10월 발표된 별도의 연구에서는 카시니 우주선이 포착한 엔셀라두스 남극의 분출구에서 방출된 신선한 얼음 입자들 속에서 복잡한 유기 분자인 에스터, 알켄, 에테르 및 질소·산소 화합물이 발견됐다.
이들 유기 분자는 지구에서 생명체 형성에 중요한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엔셀라두스 해양 내부의 활발한 화학작용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이 해양은 액체 상태의 물과 조석가열에 의한 열, 인 및 복잡한 탄화수소 등 생명체 필수 화합물을 갖춘 것으로 확인됐다.
엔셀라두스 해양의 기원으로는 해저 열수 분출구(하이드로열 벤트) 가설도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뜨거운 물과 암석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이곳의 환경은 지구 초기 생명의 기원지로 여겨지며, 우주 생명 탐사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 환경 중 하나다.
이에 더해 유럽우주국(ESA)은 엔셀라두스를 유럽의 대형 탐사 임무(L4)의 주요 목표로 선정했으며, 2040년대 초 발사, 2050년대 중반 도착을 목표로 궤도선 및 착륙선을 통한 심도 있는 탐사를 계획 중이다. 이 임무는 엔셀라두스의 분출 플룸에서 직접 물질을 채취·분석하고 해양의 생명 거주 가능성을 본격 탐색할 예정이다.
NASA 역시 2024년 10월 발사한 유로파 클리퍼 임무로 목성 해양 위성 유로파를 조사하며, 2030년 도착 예정으로 바다 거주 가능성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옥스퍼드 대학의 카를리 하웨트 박사는 "처음으로 엔셀라두스가 안정적인 상태임을 확신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생명체 거주 가능성에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며 "향후 탐사선이 엔셀라두스 해양에 생명이 출현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있었는지 규명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처럼 엔셀라두스는 태양계 내 가장 유망한 외계 생명체 탐사 대상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며, 미래 우주 탐사의 핵심 목표로 부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