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인터넷 해저케이블, 지진 감지기로 변신…"세계 최초 광섬유 기반 지진 조기 경보시스템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과학자들이 기존 인터넷 광섬유 케이블을 정교한 지진계로 전환하는 데 성공하며, 지진 탐지와 조기 경보 체계에 혁명적인 발전이 예고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과 캘리포니아주립공과대학 연구진은 2024년 멘도시노(Mendocino) 지진(규모 7.0)을 광섬유를 통해 '이미지'화하여 지진의 크기와 위치, 연성(rupture) 특성을 초정밀하게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Science 저널, 미국지질조사국(USGS), NBC News, San Francisco Gate, Nature Communications, 미국 ShakeAlert 시스템 연구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레이저 펄스를 기존 인터넷 케이블에 쏘아 반사되는 빛의 변화를 측정하는 분산형 음향 감지(distributed acoustic sensing, DAS) 기술을 핵심으로 하며, 연구팀은 2년 전 캘리포니아 아카타 경찰서에 설치한 장비의 케이블에서 지진파 신호를 감지해 세밀한 지진 파열 과정을 분석했다.

 

이 기술은 기존 육상 지진계가 닿지 못하는 해저 지진과 같은 치명적 ‘사각지대’를 메워 조기 경보의 시간을 늘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현재 지구 표면의 약 70%가 바다로 덮여 있으나, 전통적인 지진계 대부분은 육지에 집중돼 있어 해저 지진 탐지가 늦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UC 샌타크루즈의 에밀리 브로드스키 교수는 이러한 사각지대를 “흐릿한 안경을 쓰고 지진을 추정하는 것과 같다”라고 평가했다. DAS 기술은 광케이블을 따라 수미터 간격으로 지진 진동을 실시간 측정하며, 해저 케이블에 적용 시 최대 90마일(약 145km) 거리까지 신속한 감지가 가능하다.

 

한편, 워싱턴대학교 연구팀은 AI 기반 신호 증폭 기술로 배경 소음 속에서 2.5배 이상 신뢰도 높은 미세 지진 신호를 검출하는 데 성공, 상업용 인터넷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과학적 감지가 가능함을 2024년 시연했다. 아이슬란드 기상청은 이 기술을 활용해 화산 폭발 조기 경보를 운영 중이며, 알래스카 연구진도 기존 관측망에 나타나지 않았던 섭입대 지진을 감지해 의미 있는 성과를 냈다.

 

미국의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인 ‘셰이크얼러트(ShakeAlert)’는 위성 및 전통 지진계와 더불어 DAS 통합을 검토하고 있으며, 특히 해저 지진 발생 지역인 샌프란시스코 인근 해양 단층대에 적용하여 경보 정확도와 속도를 개선하고자 노력 중이다.

 

그러나 이 기술의 확대 적용에는 넘어야 할 과제도 존재한다. 통신사는 귀중한 인프라에 과학장비 부착에 관한 보안과 운영 문제를 우려하며, 정부 차원의 규제와 정책 프레임워크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이 지진파 중 느리게 도착하는 S파에는 민감하나 손상이 크고 초기 도달하는 P파 감지는 상대적으로 어려워, 기존 지진계와의 보완적 활용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전 세계에 1000만 킬로미터 이상 설치된 광섬유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이 기술이 해저와 육상 모두를 아우르는 최첨단 지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조기 경보 시간을 확대해 수천 명의 인명을 구할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 성과는 전 세계 지진 연구와 조기경보체계에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해저 지진 관측 능력 강화와 국민 안전 확보에 획기적인 진전을 가져올 전망이다.

 

최근 인터넷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지진 감지 기술이 급부상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국내외 핵심 기업들의 역할과 해저 케이블 시장 동향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먼저, 지진 감지 분야의 분산형 음향 감지(Distributed Acoustic Sensing, DAS) 기술에서는 미국의 Luna Innovations 산하 OptaSense가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최첨단 DAS 인터로게이터 장비를 제공하며, 해저 및 육상 광케이블을 활용해 지진 및 미세지진 감지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다. Schlumberger, Halliburton, Baker Hughes 등 글로벌 에너지 및 계측 기업들도 이 분야에서 핵심 선수로, DAS 기술을 석유 및 가스 탐사와 함께 지진 감지 기술에 적용 중이다.

 

국내 해저 케이블 시장에서는 LS전선이 단연 주목받는 기업이다. 일본과 한국을 연결하는 260km 해저 통신 케이블 프로젝트(JAKO 프로젝트)를 마이크로소프트, AWS 등 글로벌 IT 기업과 함께 주도하며, EPC(설계·조달·시공) 전 과정을 맡아 차세대 클라우드 및 AI 전송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또한, 2025년 충남 당진에 해저 케이블 생산 공장을 완공하며 국내 최초 상업용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 640kV급 초고압 전력 케이블 생산을 위한 신규 공장도 2027년 가동 예정이다. 이외에도 타이한과 같은 기업들이 해상 풍력과 연계한 고성능 해저 케이블을 제작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은 2024년 기준 약 1000만 달러 규모에 달하는 해저 케이블 시장에서 향후 2030년대까지 지속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 5G 백홀 및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간 초저지연 통신 요구가 확대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신형 광케이블과 네트워크 인프라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터넷 광섬유 기반 지진 조기 경보와 해저 케이블 시장은 상호보완적 혁신 생태계를 구축, 한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디지털 인프라 허브로 부상하는데 핵심 동력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젠슨 황 “中 반도체는 ‘나노 초’밖에 안 뒤진다"…미중 기술패권 속 경쟁 '불가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최근 BG2 팟캐스트 및 주요 언론 인터뷰에서도 중국 반도체 산업의 미국과 격차를 ‘단지 몇 나노초’에 불과하다고 평가하며, 미중간 기술 경쟁이 불가피함을 강도 높게 주장했다. 로이터, 야후파이낸스, 블룸버그, BBC, SCMP, ITIF, TrendForce에 따르면, 황 CEO는 중국의 거대한 인적자원, 근로문화, 그리고 지방간 경쟁시스템이 반도체 제조 역량과 AI 기술 발전을 가속화한다고 진단했다. 미중 기술 격차와 정책 변수 황 CEO는 “중국은 미국에 단지 ‘나노초’밖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을 막는 것보다 오히려 경쟁을 허용해야 미국의 경제적·지정학적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미 엔비디아가 설계한 중국 특화 AI 칩 H20 판매는 2025년 4월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규제로 중단됐으나, 7월 미중 협상을 통해 조건부로 다시 허용된 바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 AMD 등이 중국에 칩을 수출할 때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는 새 제도(수출 라이선스 조건)가 시행되면서 반도체 분야의 국제 경쟁 규칙이 변화하고 있

[이슈&논란] 성범죄자 엡스타인 명단에 머스크 "초대받았지만 거절했다"…일정표의 진실 놓고 '갑론을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민주당은 최근 성범죄자로 알려진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새로운 방문자 명단 문건을 공개하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유명 인사의 이름이 또다시 대중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영국 스카이뉴스는 2025년 9월 27일(현지시간) 미 하원 감독위원회 민주당의 발표를 인용해 머스크가 2014년 12월 6일 카리브해 '리틀 세인트 제임스' 엡스타인 개인 섬 방문자 명단에 올랐다고 단독 보도했다. 문건에는 ‘알림: 일론 머스크, 12월6일 섬 방문(아직도 진행되나요?)’라는 메모가 포함돼 있었으나, 머스크는 즉각적으로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 공식 입장을 밝혀 “스카이뉴스의 보도는 완전히 왜곡된 제목이다. 엡스타인은 나를 섬으로 초대했지만 나는 거절했다”며 강력히 부인했다. 머스크는 자신이 사실상 ‘섬 방문’ 자체를 거부했으며, “실제로 방문한 요크 공작(앤드루 왕자)보다 내 이름이 먼저 언급된 것은 부당하다”고 비판했다. 앤드루 왕자(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동생)는 2000년 5월 12일 뉴저지에서 플로리다 팜비치로 향하는 엡스타인 전용기에 동승했다는 기록이 이번 문서에 포함됐다. 탑승자 명단에는 앤드루 왕자, 엡스타인, 당시 여자

[내궁내정] 삼성 갤럭시S·갤럭시노트·갤럭시폴드 시리즈 암호명(코드명)에 숨겨진 의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보안 유지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암호명을 사용한다. 이는 단순히 보안측면의 의미뿐만 아니라 제품의 철학과 기능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돼 많은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는 장치가 되기도 한다. 특히 이 암호명(코드명, 프로젝트명)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기기의 혁신성과 기술적 성취를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갤럭시 S10의 '비욘드'는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을, 갤럭시 S20의 '허블'은 카메라 성능을, 갤럭시 S25의 '패러다임'은 삼성의 모바일 기술과 AI 통합에서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갤럭시 노트 10의 ‘다빈치(Da 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