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1.4℃
  • 구름많음강릉 4.7℃
  • 구름많음서울 2.8℃
  • 구름많음대전 4.3℃
  • 구름많음대구 3.4℃
  • 구름많음울산 4.6℃
  • 흐림광주 6.2℃
  • 흐림부산 8.1℃
  • 구름많음고창 4.8℃
  • 제주 11.3℃
  • 구름많음강화 3.6℃
  • 흐림보은 -0.2℃
  • 흐림금산 5.2℃
  • 흐림강진군 6.4℃
  • 구름많음경주시 1.4℃
  • 흐림거제 7.1℃
기상청 제공

빅테크칼럼

전체기사 보기

[빅테크칼럼] "지브리 화풍"덕분에 ‘챗GPT’ 가입자 5억명· 오픈AI 몸값 3000억불…유료 2000만명 통해 매달 6000억원 '수익'

출시 2년 4개월 만에 새 이정표 지브리화풍 서비스 후 가입자 확 늘어…3개월 새 30% 이상 늘어 올트먼 "1시간 동안 100만명 추가" 소프트뱅크 오픈AI에 400억달러 투자 오픈AI의 기업가치 3000억달러 달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오픈AI가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이용자가 2022년 11월 첫 출시 이후 5억명을 넘어섰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는 3월 31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소트프뱅크그룹으로부터 400억 달러(약 59조원)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면서 “이로써 오픈AI의 기업가치는 3000억 달러(약 439조원)로, AI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컴퓨팅 인프라를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매주 챗GPT를 사용하는 가입자는 5억명으로, 이들을 위한 점점 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오픈AI의 기업가치는 지난해 10월 1570억 달러로 평가받았지만 이번 투자 유치로 3000억 달러까지 올랐다. 가입자 역시 지난해 말 가입자 3억5000만명과 비교해 3개월 만에 30% 이상 증가한 것이다. 게다가 유료 가입자 수도 지난해 말 1550만명에서 2000만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오픈AI가 매달 최소 4억1500만 달러(약 6090억원)의 수익을 내는 것이라고 투자 전문매체 시킹알파는 추산했다. 오픈AI는 올 연말까지 가입자 10억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챗GPT는 올해 들어 신형 AI 모델을 꾸준히 출시하면서 가입자를 빠르게



[빅테크칼럼] 韓 퓨리오사AI는 美 메타의 1.2조 인수를 왜 거절했을까?…"투자유치해 독자 AI 칩 개발"

메타와 인수 이후 사업방향 등서 이견 좁히지 못한 듯 독자 개발·양산으로…레니게이드 성능 평가·투자 유치 영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기업 퓨리오사AI가 메타의 1.2조원 인수 제안을 거절했다. 업계에 따르면,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24일 사내 공지를 통해 메타와 인수 협상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인수 거절 의사는 메타 측에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퓨리오사가 8억달러(약 1조2000억원) 규모인 메타의 인수 제안을 거절하고 독립된 기업으로서 성장하는 방안을 선택했다고 전했다. 퓨리오사AI의 기업 가치는 8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미국 반도체 기업 AMD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등을 거친 백준호 대표가 2017년 4월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실리콘밸리 지사의 15명의 직원을 포함해 약 15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인수 이후 사업 방향이나 조직 구성 등에서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협상이 최종 결렬된 것으로 알려졌다. 퓨리오사AI는 엔비디아 AI 반도체 대비 비용 효율적인 신경망처리장치(NPU) 워보이, 레니게이드를 개발했다. 레니게이드는 AI 반도체 최초로 SK하이닉스 고대역폭 메모리 HBM3를 탑재했고 하반기에 본격적인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퓨리오사AI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