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이 8월 26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중성미자 검출기 장먼 지하 중성미자 관측소(JUNO, Jiangmen Underground Neutrino Observatory)를 공식 가동하며 중성미자 물리학 분야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고에너지물리연구소(Institute of High Energy Physics, IHEP)와 중국과학원이 주도한 이 프로젝트는 17개국 74개 기관에서 700명 이상의 국제 연구자가 참여한 글로벌 협력으로, 2만톤 규모의 액체 신틸레이터 검출기를 700미터 지하에 설치해 중성미자의 비밀을 풀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Chinese Academy of Sciences Headquarters, ScienceDaily, JUNO official website and reports, Interactions.org의 공식 발표와 SCMP, China Daily HK, EurekAlert의 보도에 따르면, JUNO는 35.4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아크릴 구체 안에 투명하고 순도 높은 액체 신틸레이터를 가득 채워 놓았으며, 4만5000개 이상의 초고감도 광전자증배관이 미약한 빛의 섬광을 탐지한다. 이는 기존 검출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이하 반얀트리 서울)이 9월 13일 오아시스 야외 수영장에서 ‘어텀 마켓(Autumn Market)’을 진행한다. 어텀 마켓은 청명한 가을 하늘과 단풍으로 물들어가는 남산을 배경으로 평소 회원과 투숙객에게만 제한적으로 개방되는 오아시스를 일반 고객에게도 개방해, K-술 시음과 라이브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가을 축제로 선보인다. 방문객들은 피크닉을 즐기듯 여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가을 정취와 함께 감성을 만끽할 수 있다. 어텀 마켓은 전국 각지의 양조장과 전통주 스타트업이 참여해 탁주·청주·증류주 등 약 30여 종의 K-술을 소개한다. 무제한 시음이 가능하고, K-술로 제조한 칵테일도 맛볼 수 있으며, 마음에 드는 제품은 현장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디저트, 스낵, 음료, 커피 등 식음료 부스도 함께 운영되어 풍성한 볼거리와 체험을 선사한다. 반얀트리 서울은 어텀 마켓을 통해 지역 양조 산업과의 연결을 강화하고, 전통주에 담긴 문화적 가치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고자 했다. 특히 호텔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을 비롯한 글로벌 고객에게도 K-술을 매개로 한국 고유의 문화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NASA의 퍼시비어런스(Perseverance) 화성 탐사 로버가 시속 12마일(약 19km)로 빠르게 이동하는 먼지 회오리(더스트 데블)를 생생히 촬영하며 화성의 역동적인 대기 현상을 드러냈다.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Nature Communications, Smithsonian, NASA 발표 자료와 Space.com 보도에 따르면, 8월 30일 퍼시비어런스는 약 4km(2.5마일) 떨어진 토로페어 리지(Thorofare Ridge)에서 가로 61m에 이르는 대형 먼지 회오리를 84초간 촬영했다. 이 회오리는 최대 높이가 118m에 달해 미국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높이의 5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과학자들은 화성 대기 상대밀도와 낮은 중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먼지 회오리는 매우 빠르게 이동하며 화성 먼지 순환과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퍼시비어런스는 먼지 회오리뿐 아니라, 2025년 8월 5일 매스트캠-Z(Mastcam-Z)를 사용해 중세 전투용 헬멧과 닮은 독특한 '호른플리아(Horneflya)'라는 바위를 촬영했다. 이 바위는 표면이 작은 구형 광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NASA가 오는 9월 22일 휴스턴 존슨 우주센터에서 2025년 신규 우주비행사 후보생 명단을 공개하며, 50여 년 만에 첫 유인 달 비행 임무인 아르테미스 II(Artemis II)에 대한 상세 브리핑도 함께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달 복귀와 화성 탐사를 향한 미국 우주개발의 중대한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NASA, SPACE & DEFENSE, Inspenet, Space.com, AmericaSpace, SpacePolicyOnline에 따르면, NASA는 8000건 이상의 지원서 중 엄선된 후보생들의 모습을 공개하며, 이들은 약 2년간의 집중 훈련을 거친 후 지구 저궤도, 달, 그리고 화성 탐사 임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행사는 NASA+,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NASA 공식 유튜브 채널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생중계된다. 아르테미스 II, 2026년 2~4월 발사 목표…달 주회 10일 임무 착수 예정 아르테미스 II 임무는 현재 2026년 4월까지 발사를 목표로 하며, 최적 시나리오에서는 2월 조기 발사 가능성도 열려 있다. NASA 측은 “안전 최우선 원칙 하에 SLS(스페이스 런치 시스템) 로켓과 오리온 우주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경기 용인특례시가 수도권과 전국을 잇는 8개 광역 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본격 추진하면서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협력해 진행 중인 이번 사업은 고속도로 8건과 진출입 나들목(IC) 4건 신설 계획을 포함하며, 국책사업 2건과 민자사업 6건이 병행된다. 이를 통해 반도체산업단지 간 원활한 교통망을 구축하고 시민의 교통 편의를 크게 제고할 전망이다. 국책사업으로는 경부지하고속도로(용인 기흥~서울 양재, 26.1㎞)와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총 30㎞ 중 21.1㎞ 지하화)가 대표적이다. 경부지하고속도로 사업은 이미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고, 현재 타당성 평가가 진행 중이며, 이 사업이 완성되면 기흥에서 양재까지 통행시간이 30분가량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민자사업에는 반도체고속도로(화성 양감~용인~안성 일죽, 45.3㎞), 용인~성남, 용인~충주, 제2용인~서울, 제2영동연결, 오산~용인 고속도로 등 6개 사업이 포함되며 총 연장은 174.5㎞에 달한다. 반도체고속도로의 경우 9월 중 민자적격성 조사가 완료될 예정이며, 나머지 사업들도 민자적격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실시협약 절차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2025년 8월 31일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28기의 스타링크 V2 미니 위성을 저지구 궤도에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올해 최다인 108번째 임무를 완수했다. 이번 스타링크 10-14 임무에 사용된 1단 부스터 B1077은 23번째 비행을 기록하며, 대서양의 무인선 ‘Just Read the Instructions’에 무사히 착륙했다. 이로써 2019년 이래 발사된 스타링크 위성은 9575기 이상이며, 궤도에서 활성화된 위성은 8280기가 넘는다. 2025년 스페이스X의 108회 발사는 지난해를 뛰어넘는 빠른 속도로, 8월 한 달 동안에만 9번의 스타링크 미션과 총 14번의 플로켓 9번 발사를 플로리다에서 감행했다. 스페이스 코스트를 중심으로 한 올해 발사 건수는 이미 70회를 넘어섰으며, 연간 100회를 뛰어넘는 최초의 기록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는 2024년 스페이스 코스트 지역의 93회 발사 기록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스타링크 네트워크는 현재 150개 이상의 국가와 영토에서 700만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며, 1년 전 400만명에서 급성장했다. 워싱턴 레드몬드 시설에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과학자들이 전자 컨트롤러와 센서를 결합한 사이보그 해파리를 개발하며 심해 탐사 및 환경 모니터링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이 해파리 로봇은 살아있는 해파리와 미세 전자장치를 융합한 바이오하이브리드 형태로, 해파리의 뛰어난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해 해양 깊숙한 곳까지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살아있는 해파리와 소형 전자 부품을 결합해 해파리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해양 환경에서 해양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준다. Nature, ScienceJapan, ZME Science, Tech Explorist, Ars Technica, colorado.edu, Los Angeles Times, 3DPrinting.com등의 보도에 따르면, 콜로라도 볼더대학교의 기계공학자 니콜 쉬 연구팀은 달 해파리에 박동 조절기 역할을 하는 전자장치를 적용해 수영 근육을 자극, 해파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실험실과 해양 현장 시험에서 자연 상태 해파리보다 최대 3배 빠른 속도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니콜 쉬 박사는 “우리 장치는 해파리 수영 근육을 자극해 수축을 유발하고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고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2025년 기준 약 115~118조원 자산 보유)의 딸 피비 게이츠(Phoebe Gates)와 비틀즈 멤버 폴 매카트니(2025년 약 1.025~1.3조원)의 손자 아서 도널드(Arthur Donald and)가 2년간의 교제 끝에 공식 결별했다. PEOPLE, Hindustan Times, Hello Magazine, Forbes, Sunday Times에 따르면, 피비는 자신의 팟캐스트 ‘The Burnouts’에서 “새로운 연인이 있다. 지금까지 경험해본 적 없는 완전히 새로운 사람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인스타그램조차 하지 않는 소셜 미디어 비활성 사용자이며, 내가 운영하는 쇼핑 브랜드 ‘Phia’ 관련 영상을 보며 유대감을 쌓고 있다”고 직접 언급했다. 이에 따라 피비와 아서의 결별은 완전히 공식화됐다. ‘네포베이비’는 ‘족벌주의’를 뜻하는 영어 단어 ‘네포티즘(nepotism)’과 ‘아기(baby)’가 결합된 신조어로, 유명한 부모나 가족의 명성이나 영향력을 통해 쉽게 성공하거나 혜택을 받는 자녀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부모의 권력·재력·명성과 같은 특권으로 기회를 얻어 사회적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8월 27일과 9월 3일(현지시간), 토론토에 위치한 University Health Network(UHN)의 토론토 웨스턴 병원에서 캐나다 최초로 뉴럴링크(Neuralink) 뇌 이식 수술이 성공적으로 시행됐다. 이는 일론 머스크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미국 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임상 적용된 사례로, 전 세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및 상용화의 새로운 이정표가 됐다. 캐나다 UHN 공식 발표 자료, 뉴럴링크 임상시험 소개, Global News, CNW Group, ALS News Today의 보도에 따르면, 이 시술은 CAN-PRIME 연구(캐나다 정밀 로봇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이식 연구)의 일환으로, 뉴럴링크의 N1 이식체와 R1 수술 로봇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획됐다. 목표는 사지마비 환자가 자신의 생각만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외부 기기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UHN의 뇌신경외과 앨런 & 수잔 허드슨 코너스톤 석좌교수인 안드레스 로사노 박사가 수술팀을 이끌었으며, 이로써 UHN은 미국 밖에서 뉴럴링크 수술을 시행한 최초 병원으로 기록됐다. 로사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주한 에스토니아 대사관과 에스토니아 기업청은 한국과 에스토니아 양국 간 해양산업의 협력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한국 해양산업 웨비나’를 성료했다고 2일 밝혔다. 8월 28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웨비나는 한국 해양산업의 글로벌 경쟁력과 에스토니아의 혁신적인 해양기술 역량에 기반해, 양국의 상호 협력을 위한 인사이트를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마렉 루스터(Marek Roostar) 에스토니아 기업청 아시아 총괄 매니저의 개회사로 막을 올린 웨비나는 딜쇼드 아크바로프(Dilshod Akbarov) 인트라링크코리아 프로젝트 디렉터와 문건필 한국선급 대체연료기술연구팀장 그리고 배순희 에스토니아 기업청 한국 대표의 발표 세션으로 이어졌다. 이후 참가자들의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어지며 모든 식순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딜쇼드 아크바로프 매니저는 ‘한국 해양산업의 동향과 기회’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한국의 해양산업이 조선·에너지·물류·서비스를 축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은 물론 연료 규제 강화, 스마트 선박·스마트 포트 확산, 2030년 해상풍력 확대 목표를 중심으로 친환경 전환이 동시에 가속화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