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러시아가 11월 1일(현지시간) 세베로드빈스크 세브마시 조선소에서 최신 원자력 잠수함인 프로젝트 09851 '하바롭스크'를 진수했다. Newsweek, Euronews, Reuters, Firstpost, Economic Times에 따르면, 이 잠수함은 세계 최초로 핵 추진 자율 잠수정인 '포세이돈' 핵 드론(일명 '최후의 날' 무기)을 전용 탑재할 목적으로 설계된 전략 플랫폼으로, 모스크바의 수중 핵 억제력을 크게 강화하는 중대한 진전으로 평가받는다. 하바롭스크 잠수함과 포세이돈 핵 드론 특징 하바롭스크는 길이 약 113미터, 배수량 1만톤 규모로, 전통적 대형 탄도미사일 전략잠수함과 달리 최대 6기의 포세이돈 드론을 탑재할 수 있다. 최대 잠항 속도는 30~32노트(약 55~60km/h)이며, 원자력 추진으로 90~120일간 수중 작전이 가능해 사실상 무제한 활동이 가능하다. 포세이돈은 길이 20미터, 직경 약 1.6~2미터의 자율 핵 추진 무인 잠수정으로, 1000미터 깊이에서 시속 최대 100~185km(54~100노트)의 고속 항행이 가능하다. 내부 소형 원자로를 가동해 장거리·장시간의 독자적 작전 수행이 가능하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글로벌 인공지능(AI) 산업의 격전지로 서울이 떠오르고 있다. 최근 미국의 대표적 생성형 AI 기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강남에 아시아태평양(APAC) 세 번째 거점을 2026년 초 개설한다고 공식 발표함에 따라, 오픈AI와 코히어(Cohere) 등 메이저 AI 기업들의 ‘서울 입성’이 가속화되고 있다. 서울, 글로벌 AI 허브로 부상 앤트로픽은 AI 언어 모델 ‘클로드(Claude)’와 코딩 전문 ‘클로드 코드(Claude Code)’로 잘 알려진 기업으로, 오픈AI·퍼플렉시티(Perplexity)와 함께 세계 AI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올해 초 이미 ‘앤트로픽코리아’라는 법인을 설립해 내실을 다졌으며, 콕스웨이브와의 협력 등을 통해 국내 인력 확장과 네트워크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오픈AI 역시 최근 “한국은 미국에 이어 챗GPT 유료 가입자 수 2위 국가”라고 공식 인정하며 서울 사무소를 개소했다. 코히어도 LG CN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다국어 모델 공동 연구를 강화하는 등, AI 서비스와 기술개발의 실질적 허브로 서울을 낙점했다. ‘클로드’·챗GPT, 한국에서의 사용량 급증 앤트로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지난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에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22.4%나 늘어났다. 반도체 업황 호조로 SK하이닉스가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유가 약세로 적자를 본 석유화학 업종은 흑자전환했으며, 조선‧기계‧설비 업종도 전년 동기 대비 72.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11월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매출 500대 기업 중 지난 14일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39개사를 대상으로 올 3분기(7월~9월)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3분기 영업이익은 73조2047억원으로 전년동기(59조7992억원) 대비 13조4055억원(22.4%)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3분기 매출액도 831조1613억원으로 전년동기(785조8194억원) 대비 45조3419억원(5.8%) 늘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 규모가 컸다. 특히 이들은 반도체 업황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9조1834억원) 대비 2조9827억원(32.5%) 늘어난 12조1661억원을 기록했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5년 중반까지 그리스는 국제 관광객 도착이 22.4%나 증가하며 스페인(14.9%), 포르투갈(20.4%), 이탈리아(13.5%) 등 유럽 주요 관광국을 크게 앞서 유럽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관광지로 부상했다. 유럽여행위원회(European Travel Commission)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 "European Tourism: Trends & Prospects"에 따르면, 그리스는 경쟁력 있는 가격과 다양한 관광 경험, 그리고 과밀 관광지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으로서의 위치를 통해 유럽 관광 회복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Bank of Greece, Travel and Tour World, Greek Reporter에 따르면, 그리스 관광은 특히 독일 관광객들이 경제성과 안전 문제로 터키를 재고하면서 크게 호황을 맞았다. 경쟁력 있는 가격과 문화 체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이 혼합된 그리스는 예산 중심 여행객에게 매력적인 대안으로 작용하며 방문객 증가를 견인했다. 유럽여행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전체 여행자의 28%가 극심한 날씨와 혼잡함, 높은 물가를 피해 여행 날짜를 조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그리스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회사 xAI가 차세대 AI 모델 ‘Grok 5’의 출시를 2026년 1분기로 연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당초 2025년 말까지 출시하겠다고 했던 계획에서 큰 폭으로 지연된 것이다. The Information, Morningstar, CNBC, 9to5Mac, NAACP, Politico, MarketWatch,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회사는 이번 출시 연기의 배경에 높은 정확성 확보와 허위정보 정화 작업 등 품질 개선에 주력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머스크는 Grok 5가 인공지능 일반화(AGI)에 도달할 가능성을 약 10%로 보고 있다. 이번 지연으로 인해 오픈AI, 구글 등 경쟁사들의 추격을 허용하는 양상이다. 법적 공방 가열…애플·오픈AI 상대 반독점 소송 xAI와 모기업 X Corp은 미국 텍사스 서부지방법원에 애플과 오픈AI를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애플이 iPhone과 기타 기기에 오픈AI의 챗GPT를 독점적으로 통합해 AI 시장 경쟁을 저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수십억 달러 규모의 손해배상을 청구 중이다. 애플과 오픈AI는 이 소송을 기각해달라는 요청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이끄는 우주 기업 블루오리진의 대형 재사용 로켓 ‘뉴 글렌(New Glenn)’이 2025년 11월 13일(현지 시각)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NASA의 화성 탐사선 두 기를 싣고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특히, 발사 9분 후 1단 부스터를 약 600km 떨어진 해상 플랫폼에 핀포인트 수직 착륙시키며 재사용 기술 완성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 뉴 글렌이 NASA 탐사 임무를 맡아 이처럼 성공적으로 부스터를 회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뉴 글렌은 높이 98m, 지름 7m 규모의 대형 로켓으로, 7기의 메탄-액체산소 엔진(BE-4)을 1단에 장착했으며 최대 저궤도(LEO) 투입 능력은 약 45톤으로 알려져 있다. 2단은 BE-3U 엔진 2기로 구동되며, 정지궤도 전이(GTO) 능력도 약 13.6톤에 이른다. 첫 시험 비행(2025년 1월) 때는 궤도 진입과 재사용 부스터 회수 시도에 실패했지만, 이번 임무에서는 회수에 성공하며 재사용 로켓 시장에서의 기술적 입지를 강화했다. 이번 발사에 탑재된 탐사선은 NASA와 UC 버클리 우주과학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에스커페이드(ESCAPA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고액·상습 체납자들이 납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금을 고의로 회피하며 호화생활을 누리고 있어 국세청과 7개 광역자치단체가 합동 수색을 통해 대대적인 재산 압류에 나섰다. 이번 합동수색은 2025년 10월 20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됐으며, 18명의 국세와 지방세 모두를 체납한 고액·상습 체납자를 대상으로 했다. 이들의 총 체납액은 약 400억원에 달한다. 이들 중 한 명인 A씨는 고가의 상가 건물을 매각하고도 양도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아 100억원 이상의 세금을 체납했으며, 양도 대금으로 대출금을 상환했으나 대출금 사용처는 불투명했다. A씨와 배우자는 소득이 없음에도 고액의 소송 비용, 자녀의 해외 유학 및 체류비용을 부담하며 호화생활을 해 재산은닉 혐의로 추적조사 대상이 됐다. 국세청과 서울시 합동수색반은 A씨가 실제 거주하는 주소지를 금융거래 내역 분석과 탐문을 통해 찾아내 수색했다. 그 결과, A씨의 실거주지에서는 오렌지색 상자에 담긴 명품 에르메스 가방 60점, 현금, 순금 10돈, 미술품 4점 등 약 9억원 상당의 재산이 압류됐다. 추가로 다른 체납자 B씨는 금융거래 내역에서 의심스러운 현금 인출과 과다 소비 지출이 포
현대자동차가 국내 최대 쇼핑 축제 ‘2025 코리아 세일 페스타(Korea Sale FESTA)’를 맞이해 11월 한 달 간 대규모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2일 밝혔다. 현대차는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통해 승용, RV 등 12개 차종, 총 차량 1만 2,000여대를 대상으로 할인을 제공하기로 했다. 주요 차종 별로 ▲쏘나타, 투싼 최대 100만원 ▲그랜저, 싼타페 최대 200만원 ▲아이오닉 9 최대 500만원의 할인이 제공된다. 제네시스 차종은 ▲G80, GV70 최대 300만원 ▲GV80 최대 500만원을 할인한다. 코리아 세일 페스타 연계 차량 계약은 각 차종 별 한정 수량에 대한 선착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현대차 공식 홈페이지와 현대차 전국 영업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대차는 고객 참여 이벤트도 실시한다. 현대차는 카마스터를 통해 차량 견적을 확인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500만원 상당의 LG전자 최신 77인치 올레드 AI TV(1명), LG전자 의류관리기 스타일러(4명), 고든밀러 고급 세차 키트(1,000명) 등의 경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는 올해 말로 예정된 ‘자동차 개별소비세 30% 인하’ 조치가 추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과일 자두가 농협 하나로마트 매장에 진열된 순간, 쇼핑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다름 아닌 ‘라벨 표기’였다. 해당 라벨에는 "자두 자두 졸려 [국산]"이라는 우스꽝스러운 문구가 적혀 있었다. 단순히 이름을 반복해서 표기한 것 같지만, '졸려'란 글자가 덧붙으면서 의도치 않게 한국어 운율과 언어유희가 결합된 셈이다. 자두를 여러 번 반복한 끝에 자기도 모르게 ‘졸려’진다는 라벨, 이는 소비자들에게 예상치 못한 미소를 선사했다. 어쩌면 직원의 단순한 입력 실수였겠지만, 이 실수조차 오히려 일상을 유쾌하게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특히 "100g당 500원, 총 808g"이라는 가격정보와 "4040원"이라는 계산은 효율적이면서도 직관적이다. 그럼에도 제품 라벨 하나에도 소비자와의 소통이 존재하고, 우연한 실수가 소소한 유머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단조로운 일상 속에서 이런 실수는 오히려 긍정적 소통의 창구가 된다. 자두를 먹다가 문득 미소 짓게 만드는 라벨 한 줄, "자두 자두 졸려"의 유쾌한 착시가 일상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오픈AI가 챗GPT가 지나치게 사용하는 em 대시(—) 문제를 마침내 해결했다. AI가 생성한 텍스트에서 반복되던 긴 대시 사용이 사용자 지시에도 무시되는 현상에 대한 수개월간 불만을 반영해, 이제 개인화 설정의 ‘사용자 지정 지침(Custom Instructions)’ 기능을 통해 em 대시 사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TechCrunch, Business Insider, TechBuzz, India Today, CryptoRank, ArsTechnica, MoneyControl에 따르면, 2025년 11월 13일(현지시간)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자신의 SNS(X) 계정에 “사용자가 em 대시 사용 금지를 지시하면 이제는 제대로 작동한다”라고 밝히며 알려졌다. 그는 이를 "작지만 행복한 승리(small-but-happy win)"라고 평가했다. 과도한 em 대시 사용 문제의 배경과 영향 em 대시는 놀람이나 대조를 강조할 때 활용되는 문장부호다. 하지만 GPT-4.1 이후부터 급증해 AI 생성 글에서 과도하게 사용되는 ‘챗GPT의 시그니처’처럼 인식되면서 “em 대시 전염병”이라 불렸다. 한 연구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