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스페이스X는 오는 9월 23일 오전 7시 32분(EDT)에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 센터 39A 발사대에서 NASA의 인터스텔라 매핑 및 가속 탐사선(IMAP) 임무를 수행할 세 대의 첨단 우주선을 실은 팰컨 9 로켓을 발사할 예정이다. 이번 임무는 태양계 가장자리를 둘러싼 자기 보호막인 헬리오스피어의 경계를 최초로 본격적으로 지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pace.com, NewsBytes, NASA Science, SciTechDaily에 따르면, IMAP 탐사선은 태양과 지구 사이 약 93만 마일 떨어진 안정 궤도인 라그랑주 점 1(L1)에 자리 잡고 태양풍, 성간 먼지, 대전된 입자 등을 10개의 과학 장비를 통해 상세히 측정한다. 27개 국제 파트너 대학 및 연구기관 협력으로 개발된 IMAP은 우주 공간에서의 입자 가속 메커니즘과 태양풍과 성간 물질의 상호 작용을 규명할 예정이다. 특히 IMAP은 향후 NASA 아르테미스 달 탐사 임무에 대비해 태양 폭풍으로 인한 유해 방사선 위험을 사전 경고하는 우주 기상 관측 능력을 갖춘 첫 전문 탐사선이기도 하다. NASA 과학임무국의 니키 폭스 부국장은 이번 임무가 "아르테미스 2,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의 갈리시아 고에너지 물리학 연구소(IGFAE, 스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 연구팀이 2019년 관측된 GW190412 사건을 통해 블랙홀 병합 후 남은 블랙홀의 탈출 속도와 방향을 세계 최초로 완전하게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 발견은 중력파 연구가 시작된 지 10년 만에 이룬 중요한 이정표다. 이 내용은 2025년 9월 9일 네이처 천문학저널에 발표됐다. Calderón-Bustillo et al., Nature Astronomy, Phys.org, IGFAE 공식 발표, Albert Einstein Institute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와 홍콩 중문대 연구진과의 국제협력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대상인 GW190412는 질량이 크게 다른 두 블랙홀의 병합에서 발생한 중력파다. 연구진은 병합 후 블랙홀이 초속 약 50km로 튕겨져 나갔다는 사실과 그 반동 방향을 고차원 중력파 모드를 활용해 처음으로 정밀하게 규명했다. 이는 구상성단 탈출에 충분한 속도로, 블랙홀의 은하 내 진화와 병합 역학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기술적으로 이번 성과는 ‘중력 오케스트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주의약 전문기업 스페이스린텍(Space LiinTech, 대표 윤학순)이 개발한 국내 최초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이 지난 8월 25일 성공적으로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한 후 현재 미세중력 환경에서 우주의약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9월 9일 밝혔다. BEE-PC1은 8월 24일(미국 동부시간 오전 2시 45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33번째 상업 보급 서비스 미션(CRS-33)을 통해 발사되었으며, 대한민국 우주의학 연구 사상 최초로 우주정거장에서 우주의약 실험을 수행하는 역사적 이정표를 세우고 있다. ISS에서 가동 중인 BEE-PC1은 자동화된 우주의약 연구 플랫폼으로, 기존 우주바이오 실험이 우주비행사의 수동 개입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단백질 결정 성장 과정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경쟁사 대비 뚜렷한 기술적 차별화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 우주 실험을 통해 지상에서는 확보하기 어려웠던 고정밀 단백질 구조 데이터를 직접 획득하는 길이 열리게 되어, 항암제 및 난치병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글로벌 제약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1976년 NASA의 바이킹 미션이 최초로 화성에 착륙한 이래, 인류는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하는가'라는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놓고 여전히 팽팽한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 즉, 쌍둥이 우주선이 1976년 붉은 행성에서 생명의 징후를 감지했는가에 대한 것이다. NASA Ames 연구논문, 큐리오시티 로버 결과, BARSOOM 모델 발표를 비롯해 Space.com, The Conversation, Wikimedia Foundation, thejournalofcosmology, Unikalneobrazy에 따르면, 바이킹 탐사선이 실시한 생명 탐지 실험의 해석은 최근 엄밀한 데이터 분석과 기술적 발전에 힘입어 과거보다 더욱 다층적이고 객관적으로 검증되고 있다. 바이킹 탐사선 생물실험, 미스터리의 재해석 NASA Ames의 크리스토퍼 맥케이, 리처드 퀸, 캐롤 스토커 연구진은 이카루스(Icarus) 최근 논문에서 바이킹 결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과염소산염(perchlorate)"을 지목했다. 2008년 피닉스 탐사선은 화성 토양의 0.5%가 과염소산염임을 밝혔고, 이 화합물이 실험 과정에서 유기분자를 파괴해서 바이킹 탐사선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수행한 최근 관측 결과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은 외계 행성 TRAPPIST-1e의 대기 존재 가능성을 다시 검토하고 있다. 9월 8일(현지시간) NASA 공식 발표, New Scientist, Space.com, MIT News, Astronomy Now, Sky News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미국, 영국, 인도 등 30명 이상의 과학자들이 참여한 국제 프로젝트 JWST-TST DREAMS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됐으며, 2023년 중반~후반에 실시된 네 차례의 트랜싯(통과) 관측 데이터를 활용했다. 초기 기대와 달리, 망원경 데이터에 따르면 이 잠재적으로 거주 가능한 세계는 과학자들이 기대했던 견고한 대기가 없을 수 있으며, 연구자들은 대기 구조에 대한 대안적 시나리오에 신중한 낙관론을 유지하고 있다. 대기 신호, 아직은 ‘불확실’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TRAPPIST-1e 주변에 기대했던 견고한 대기가 명확히 발견되진 않았다. 브리스톨 대학교 해나 웨이크퍼드 박사는 "처음 네 번의 JWST 관측으로 이전 허블 망원경 결과를 더 정확히 보완할 수 있었다. 지금으로선 대기 존재를 단정할 수 없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최초로 국방 로봇체계 양산에 들어간다. 위험한 임무에 로봇을 투입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군 입대 자원 부족 현상도 장기적으로 기술로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위사업청과 약 2700억원 규모의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양산 계약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폭발물 탐지제거로봇은 원격으로 지뢰를 탐지하고 급조폭발물(IED)도 탐지 및 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대한민국군에 국산 국방 로봇이 전력화되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올해부터 양산에 돌입하는 폭발물 탐지제거로봇은 다양한 작전 상황에 맞춰 모듈을 교체해 투입할 수 있다. 기본 탑재된 집게 조작팔과 감시장비는 360도의 모든 방향에서 위험물을 다룰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작전상황에 따라 X-레이 투시기, 지뢰탐지기, 무반동 물포총, 산탄총, 케이블 절단기, 유리창 파쇄기 등도 부착해 활용할 수 있다. 그동안 지뢰탐지는 장병들이 직접 지뢰탐지기를 든 채 지뢰를 탐지하거나, 급조폭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조가 직접 투입돼 위험한 상황에 노출됐다. 외국산 IED 제거 로봇을 쓰기도 했지만, 도입 수량은 소수에 불과한 현실이다. 방위사업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9월 8일 새벽 진행된 개기월식 전 과정이 담긴 사진 한 컷. 간밤에 날씨가 흐린 지역이 많았는데, 경북 영천시 보현산천문대 인근에서 촬영한 모습이다. 한국천문연구원 등에 따르면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 속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천문 현상이다.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의 반대쪽에 있을 때 발생하며 지구의 한 지점에서 관측할 때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 속에 완전히 가려진다. 대개 달빛이 주황빛으로 물드는 '블러드문' 현상이 발생한다.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서 태양을 모두 가릴 때 발생하는 개기일식과는 달리 달이 뜨는 지구의 모든 장소에서 관측할 수 있다. 이번 개기 월식은 8일 오전 1시 26분 48초 부분월식을 시작으로 오전 2시 30분 24초에 달이 완전히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등 본격화한다. 이와 함께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장 깊게 들어가는 ‘최대식’은 오전 3시 11분 48초다. 이날 월식은 오전 3시 53분 12초까지 이어진다. 이후 달은 점차 모습을 되찾아 오전 5시 56분36초에 전 과정이 마무리된다. 이번 개기월식은 지난 2022년 11월 8일 관측 이후 약 3년 만이다. 특히 이번 개기월식은 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명소노그룹에 인수된 티웨이항공이 '트리니티항공(TRINITY AIRWAYS)'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하스피탈리티 업계 내 항공 서비스의 혁신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시너지 발현을 위한 첫 여정을 시작한다. 9월 8일 티웨이항공은 사명 변경과 브랜드 공개하는 등 리브랜딩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그룹 통합 서비스 구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트리니티(TRINITY)'는 라틴어 'Trinitas'에서 유래하여 ‘셋이 하나로 모여 완전함을 이룬다’라는 의미를 담은 단어로, 기존의 항공을 넘어 숙박과 여행이라는 영역을 결합해 고객에게 보다 풍요로운 경험을 제공한다는 상징성을 가진다. 특히 이번 사명 변경은 한가족이 된 티웨이항공과 대명소노그룹의 본격적인 시너지를 발현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양사는 국내를 넘어 아시아와 유럽, 미주를 아우르는 항공 노선과 호텔·리조트 인프라를 결합한 전략적 협업과 차별화된 패키지 상품을 출시하는 등 실질적인 시너지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나아가 고객에게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통합된 여행 경험을 제공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공통 멤버십 프로그램을 통해 혜택을 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국제 가전 및 전자제품 박람회인 IFA 2025가 9월 5일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면서, 중국 로봇 기업들이 첨단 휴머노이드 기술부터 혁신적인 청소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기술로 전시장을 장악했다. Homecrux, Yahoo Finance, CoinCentral, Silicon UK, China Daily HK에 따르면, 이번 박람회를 통해 중국이 글로벌 소비자 로봇 시장에서 ‘혁신 선도국’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이번 박람회 현장에서 CUHK T-Stone Robotics Institute에서 분사한 스타트업 xLean Robotics는 세계 최초의 ‘듀얼 폼 변환 바닥 세척 로봇’인 TR1을 선보여 큰 관심을 모았다. TR1은 전기 잠금 메커니즘을 통해 1초 만에 바닥 세척 로봇과 핸드헬드 클리너 모드 사이를 변신하며, 듀얼 모터 직접흡입 기술과 인간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Self-Evolving Intelligence)으로 청소 패턴을 학습하고 스스로 진화한다. 더욱이 오므니 스테이션에서 60도 이상의 고온수로 자동 세척과 건조까지 이루어져 고객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아동 디지털 안전을 중점적으로 감시하는 비영리 단체인 커먼센스미디어(Common Sense Media)가 구글의 인공지능(AI) 챗봇 ‘제미나이(Gemini)’에 대해 어린이·청소년 대상 ‘고위험(High Risk)’ 등급을 부여하며 심각한 경고 신호를 보냈다. TechCrunch, Economic Times, Wall Street Journal,Mashable, CyberSafeKids에 따르면, 이 단체는 보고서를 통해 "제미나이의 어린이용(Under 13)과 청소년용(Teen Experience) 버전 모두 사실상 성인용 AI의 단순 변형이며,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특히 성, 마약, 알코올 등 부적절한 콘텐츠를 유포할 가능성이 있고,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 인식에 실패하는 등 근본적인 설계 결함이 지적됐다. Common Sense Media의 AI 프로그램 총괄 수석 로비 토니는 "아이들의 발달 단계별로 맞춤 설계돼야 하는 AI 플랫폼이 모든 연령층을 동일하게 다루면서 세부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제미나이는 어린 아동과 청소년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취급하며, 프라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