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흐림동두천 4.6℃
  • 구름많음강릉 12.9℃
  • 서울 6.7℃
  • 대전 6.3℃
  • 구름조금대구 11.7℃
  • 맑음울산 13.0℃
  • 흐림광주 8.6℃
  • 맑음부산 13.1℃
  • 흐림고창 9.1℃
  • 구름많음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8.7℃
  • 흐림보은 6.7℃
  • 흐림금산 6.7℃
  • 흐림강진군 9.7℃
  • 맑음경주시 13.5℃
  • 맑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이슈&논란] 톰 크루즈 26세 연하와 ‘우주결혼식’, 인생이 '미션 임파서블'…우주결혼 시장 열리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적인 할리우드 배우 톰 크루즈(63)가 이번엔 ‘미션 임파서블’도 넘는 파격 행보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최근 미국 연예 매체 레이더온라인(Radar Online) 등 다수 해외 언론 보도에 따르면, 크루즈는 26세 연하의 쿠바 출신 배우 아나 디 아르마스(37)와 함께 영화 속에서나 가능할 듯한 우주 결혼식을 실제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은 현실로”…톰 크루즈와 아나 디 아르마스, 우주 결혼식 추진


미국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두 배우는 결혼식을 지구가 아닌 우주에서 올리는 전례 없는 아이디어를 논의 중이다. 이는 단순한 언론의 상상에 가까운 풍문이 아니라, 크루즈 특유의 모험심과 상상을 초월하는 연출 욕구가 실제 계획에 반영된 것으로 전해진다.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서 실제 비행기 매달리기, 고층 건물 외벽 활보 등 액션의 한계를 끊임없이 갱신해온 크루즈는 자신이 직접 우주를 무대로 뛰는 최초의 배우가 되겠다는 포부도 꾸준히 드러낸 바 있다.

 

레이더온라인은 “두 사람 모두 평범한 결혼식은 원치 않는다. 수중 결혼식, 스카이다이빙 결혼식 등 초현실적 이벤트도 고려 대상이었으나 '우주 결혼식' 아이디어가 가장 톰 크루즈다운 선택”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크루즈는 2020년 나사(NASA), 스페이스X, 유니버설 픽처스와 함께 ‘우주에서 촬영하는 최초의 영화’ 프로젝트에 착수하며 민간 우주여행 대열에 적극 동참한 바 있다. 당시 그의 우주 영화 프로젝트 비용은 약 2억 달러(한화 약 2700억원)가 투입될 예정이었으며, 2025년까지 실행을 목표로 준비 중이었다.​

 

버진 갤럭틱·스페이스X, 민간 우주결혼 시장 열리나


현재까지 실제 우주결혼식은 한 번도 치러진 적이 없다. 2003년 미국 텍사스의 우주비행사 유리 말렌첸코가 지상에 있는 약혼자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화상 연결을 통해 결혼식을 올린 사례가 있다. 그러나, 신랑신부가 모두 우주에 올라가 예식을 하는 ‘현실판’ 우주 결혼식은 전례가 없다. 업계에서는 만약 크루즈 커플이 실제로 우주 결혼식을 성사시킨다면, 민간 우주관광 시장의 새로운 판로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민간 우주관광 리더인 버진 갤럭틱(Virgin Galactic),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Blue Origin) 등은 연간 수십억 달러 규모의 크루즈 시장을 염두에 두고 VIP 고객과의 협의를 확대 중이다. 2025년 기준 버진 갤럭틱 상업 비행권 가격은 1인당 약 45만 달러(한화 약 6000만원)에 달하며, 1시간 내외의 우주 체류를 할 수 있다. 이른바 ‘우주 웨딩’이라는 극단적 이벤트가 현실화될 경우, 부유층 시장의 특별 수요 창출이 예상된다.

 

영화 같은 인생, 다양했던 크루즈의 결혼史


톰 크루즈는 그동안 세 번의 결혼과 이혼, 그 후의 철저한 사생활 비공개로도 유명하다.

 

1987년 첫 부인 미미 로저스(Mimi Rogers)와 결혼, 1990년 이혼

1990년 호주 출신 배우 니콜 키드먼(Nicole Kidman)과 재혼, 2001년 이혼. 두 사람은 입양한 자녀 2명을 두었다.

2006년 여배우 케이티 홈즈(Katie Holmes)와 세 번째 결혼, 2012년 이혼. 슬하에 딸 수리(Suri)가 있다.

케이티 홈즈와의 이혼 이후 크루즈는 플로리다 등지에서 극도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며 사랑이나 연애설이 좀처럼 공식화되지 않았다.​

 

아나 디 아르마스…‘007’·‘블레이드 러너’의 차세대 스타


아나 디 아르마스는 쿠바와 스페인 출신으로, ‘블레이드 러너 2049’ ‘007 노 타임 투 다이’ ‘그레이 맨’ 등 화려한 필모그래피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그는 2020~2021년 할리우드 배우 벤 애플렉과의 연애로도 국내외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평범함과의 결별’ 선언한 커플


소식통에 따르면 두 배우는 약혼 상태는 아니지만, “결혼식은 단순 예식이 아니라 ‘삶의 열정’과 ‘모험’을 증명하는 이벤트여야 한다”는 신념 아래 파격적 선택을 벼르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들이 우주 결혼식을 실제로 성사시킨다면, 우주 산업과 웨딩 산업의 역사가 모두 새로 쓰일 것이라 내다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장보고함 바치고 공들인 韓 한화 잠수함 수주전 좌초"…폴란드, 8조원 규모 ‘5세대 잠수함’ 사브 A26 선택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종화 기자] 폴란드 정부가 발트해 안보 강화를 위한 신형 잠수함 사업 ‘오르카(Orka) 프로젝트’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스웨덴 사브(Saab)의 A26 블레킹급 잠수함을 공식 선정했다. 결국 한화오션을 중심으로 한 한국 측 수주 전략은 사실상 좌초됐다. 한국 정부가 우리 해군 첫 잠수함인 1,200톤급 장보고함(ROKS Jang Bogo·SS‑061)의 무상 이전까지 카드로 꺼내들며 수조원대 방산 패키지 수출을 노렸지만, 폴란드는 ‘발트해 맞춤형 5세대 잠수함’과 스웨덴·나토 네트워크를 택했다.​ 폴란드, 3척·최대 14조5000억원 투입…2030년 첫 인도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아크‑카미시 폴란드 국방장관은 26일(현지시간) 내각 회의 직후 “신형 잠수함 사업자로 스웨덴 사브를 선정했다”며 “늦어도 내년 2분기까지 최종 계약을 체결하고 2030년께 첫 함정을 인도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폴란드 정부가 밝힌 기본 계약 규모는 약 100억 즈워티(PLN·약 4조원)지만, 무기체계 통합과 유지·정비, 수명주기 비용까지 포함한 전체 사업비는 최대 360억 즈워티(약 14조5000억원)로 추산된다.​ 오르카 프로젝트는 노후 소련제 킬로급 잠

[이슈&논란] 177명 탄 이스타항공 여객기, 화물칸 문 열린 채 제주공항 착륙…국토부 조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177명의 승객을 태운 이스타항공 ZE217편 여객기가 지난 24일 오후 3시45분 김포공항을 출발해 제주공항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앞쪽 화물칸 문이 일부 열린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되어 국토교통부가 이에 대해 전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사고는 기내 압력을 유지하는 여압 시스템에는 이상이 없었고, 비행 중 화물칸 문이 열린 상태였던 것은 아닌 것으로 국토부는 잠정 판단하며, 착륙 충격으로 인한 화물칸 잠금장치 부품의 손상으로 문이 벌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운항 전 점검 과정에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운항 중 구조상 화물칸 문이 열릴 수 없고, 조종실에 화물칸 문이 열렸다는 경고등이 점등돼 알게 됐다"고 밝혔다. 또 "착륙하면서 일부 잠금장치 부품에 문제가 생겨 문이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안전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조종사들이 항공기 매뉴얼에 따른 절차를 제대로 수행했는지, 정비사들이 적절한 정비를 시행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중이며, 사고 여파로 인해 해당 항공기의 다음 연결편 운항은 52분, 그 다음 연결편은 114분 지연됐다. 항공업계 전문가들은 비행 중 화물칸 문이

[우주칼럼] 누리호 11월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우주서 바이오 신약 단서 찾는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예정되어 있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가 싣혀 우주로 발사된다. 특히 이번 4차 발사부터는 우주 의료와 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다. 주목받는 큐브위성 ‘BEE-1000’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백질 결정화 과정을 미세중력 환경에서 관찰하여 신약 개발 고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1~3차 발사와 동일한 3단 로켓 구조이지만,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하는 특수 임무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 탑재를 위해 야간(새벽) 발사를 최초로 추진한다. 발사 성공률은 전문가들이 약 90%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 조건과 우주 물체 충돌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한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주로 오로라 관측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수행하며, 탑재된 ‘바이오캐비닛’은 한림대 연구팀이 개발한 3D 줄기세포 프린팅과 세포 분화·배양 기술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