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하얀 거짓말'이라는 표현에서 출발한 ‘색깔’로 구분되는 거짓말은 단순 언어유희를 넘어 다양한 사회적·심리적 함의를 품고 있다.
국내외 심리학·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주요 미디어 그리고 Advanced Autism, Changing Minds, Magnetaba, Sosyalarastirmalar, Sergio Mannino Studio의 자료에 따르면, ‘색깔의 거짓말’이라는 틀을 통해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인간 사회의 미묘한 진실·거짓의 작동 방식을 다시 바라볼 수 있다. 거짓말의 색깔 구분과 통계, 문화적 변이, 그리고 인간 행동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들도 드러났다.
색깔로 구분하는 거짓말의 유형
세계적으로 널리 인용되는 ‘거짓말의 색깔’ 공식을 따르면, 대표적으로 네 가지 색깔이 등장한다.
하얀 거짓말(White lie)은 타인을 배려하거나 사회적 조화를 위해 자신에게 불리한 점이 있더라도 해를 줄이기 위한 선의의 거짓말이다. 대개 사소하고 무해하며, 사회 전체의 90%가량의 거짓말이 여기에 속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회색 거짓말(Gray lie)은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이익과 해가 혼재하는 중간 성격의 거짓말. 관계에 따라 미묘하게 변화하며, 혼합적 동기를 지닌다.
검은 거짓말(Black lie)은 하얀 거짓말의 반대개념으로 자기 이익을 위해 타인에게 명백한 해를 끼치는 이기적 거짓말. 사회적 비난과 법적 책임을 동반하는 악의적 행위다.
붉은 거짓말(Red lie)은 복수·분노 등 감정에 기인해 타인을 다치게 하고 때로는 자기 자신까지 해치는 파괴적 거짓말. 오랜 갈등이나 배신 상황에서 주로 발생한다.
국내 심리학이나 커뮤니케이션 단체들도 이 색깔 분류는 인간 동기의 미묘한 균형을 이해하는 틀로 활용하는 추세다.

거짓말 빈도와 사회적 통계
글로벌 조사에서는 전체 인구의 약 75%가 하루 0~2회의 거짓말만 한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상위 1%의 ‘prolific liar(다중 거짓말자)’는 하루 평균 17번까지 거짓말을 하며, 거의 전체 거짓말의 30% 이상을 쏟아낸다. 특히 전체 거짓말 중 90%가 하얀 거짓말(white lie)이라는 점에서 일상적 거짓말은 대부분 무해한 사회적 기능에 집중된다는 분석이다.
또한 거짓말의 51%는 친구에게, 21%는 가족, 11%는 직장 동료, 8.9%는 낯선 사람, 그리고 8.5%는 지인에게 한다는 통계가 있다. 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전체의 79%를 차지하며, 전화·이메일·메신저 등 매개된 환경에서는 21%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재미있는 세계적 사례와 문화적 차이
색깔의 의미는 국가·문화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동아시아는 죽음의 색으로 하얀색을, 서구권은 검은색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하얀 거짓말’의 뉘앙스 자체도 문화적 맥락에 따라 변화한다.
집단주의 사회(한국 등)는 사회적 ‘품위 유지’를 위한 거짓말을 많이 용인하며, 개인주의 사회(미국·독일 등)는 진실성과 투명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아동의 거짓말 발달 과정에도 영향을 주며, 각국의 도덕 규범에 따라 ‘허용 가능한 거짓말’의 기준도 달라진다.
거짓말의 심리·생리적 특징
거짓말은 인지적 부담이 큰 행동임이 뇌과학 연구로 증명됐다. 거짓을 꾸미면 전두엽이 활성화되어 긴장·결정·억제 등 복잡한 뇌 활동을 동반한다. 하지만 일상적 하얀 거짓말은 이처럼 복잡한 사고보다 단순한 사회적 기능에 집중되어 있어 심리적 부담은 상대적으로 적다.
거짓말과 색깔 그리고 인사이트
‘거짓말의 색깔’이라는 분류는 단순 언어표현이 아니라, 인간의 동기·사회·문화·뇌과학적 원리를 반영한 살아있는 심리 지도다. 다수의 연구·통계·미디어 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루 0~2회, 주로 하얀 거짓말을 사용하며 사회적 조화와 관계유지를 목적으로 한다는 사실은, 거짓말이 반드시 악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극소수의 ‘다중 거짓말자’와 검은·붉은 거짓말의 사회적 위험성도 꾸준히 주목해야 한다.